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조지아 출신 한국전 참전용사 유해 귀환

한국전쟁에 참전한 조지아주 출신 로이 배로우 상사의 유해가 조지아로 70여년 만에 돌아와 27일 발도스타 맥레인 리버뷰 메모리얼 가든에서 안장식이 진행됐다. 이날 서상표 애틀랜타 총영사가 참석해 한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한 고인과 유족에게 감사를 표했다. 또 배로우 상사의 딸인 글로리아 씨에게 한국 정부를 대신해 평화의 사도 메달을 전달했다.     배로우 상사는 1950년 12월 장진호 전투에서 전쟁 중 실종상태(MIA)로 보고되었으며, 수년간의 테스트와 DNA 분석 끝에 신원이 확인되어 고향 조지아로 귀환할 수 있었다.참전용사 조지아 조지아주 출신 참전용사 유해 조지아 출신

2024.01.30. 14:06

썸네일

조지아 출신 연방하원 2명, 의회 내 '마스크 거부' 과태료 10만불 부과

의회에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지침을 위반한 조지아 출신 공화당 하원의원 2명에게 부과된 과태료 합계가 10만 달러를 초과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9일 코로나19 방역에 대한 적대감을 보여온 조지아주 출신 마저리 테일러 그린과 앤드루 클라이드 의원의 과태료가 각각 8만 달러와 3만 달러를 넘었다고 보도했다.   하원은 지난 1월 회의장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의원들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의 지침을 통과시켰다.   지침에 따르면 첫 번째 위반의 경우 500달러, 후속 위반부터는 2천500달러가 부과된다.   과태료는 해당 의원의 세비에서 공제된다.   그린과 클라이드 의원은 하원의 마스크 지침이 위헌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면서 펠로시 의장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이들은 소장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고 회의장에 입장하는 행위 자체는 회의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을 뿐 아니라 불법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마스크 지침은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이 정치적 반대파를 경제적으로 탄압하기 위한 도구라는 주장도 폈다.   NYT는 민주당이 주도한 마스크 지침에 대해 공화당에서 불만도 없지 않았지만, 대부분 의원은 지침을 준수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그린과 클라이드 의원은 반복적으로 지침을 위반했다.   30여 차례나 규정을 위반한 그린 의원은 지난 5월 한 인터뷰에서 마스크 착용 지침과 관련, 펠로시 의장을 향해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비난했다.   또한 마스크 착용 지침을 나치 독일이 유대인에게 금색 별 표식을 붙이도록 의무화한 조치와 비교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연합뉴스연방하원 조지아 조지아주 출신 조지아 출신 마스크 착용

2021.12.29. 16:0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