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월급의 3분의 1이 집값으로…‘하우스 푸어’ 전국 4위
LA가 소득 대비 주거비가 높은 ‘하우스 푸어’ 현상이 가장 심각한 주요 도시 중 하나로 꼽혔다. 소비자 정보매체 컨수머 어페어스가 최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LA는 전국 주요 도시 중 4번째로 주거비 부담이 높은 도시로 나타났다. 분석에 따르면 LA의 일반 가구는 월평균 약 1만855달러의 소득을 올리지만, 이 중 3523달러를 주택 관련 비용으로 지출하고 있었다. 이는 소득의 32.5%에 달하는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소득 대비 주거비 지출 비율이 30%를 넘을 때 ‘하우스 푸어’ 상태로 불린다. 전국에서 가장 ‘하우스 푸어’가 심각한 곳은 플로리다 하이얼리아로 소득의 36.9%를 주거비로 지출했다. 이어 뉴욕이 33%로 2위, 3위는 루이지애나 뉴올리언스로 32.6%였다. 매체는 LA가 상위 10개 도시 중에서도 월평균 주거비가 가장 비싸다고 지적했다. LA의 주택 보유 가구 연 소득 중간값은 13만265달러인데 반해, 주택 중간가치는 94만7900달러로, 높은 부동산 가치가 전체 부담을 키우고 있다. 비싼 집값에 재산세 부담도 컸다. LA의 재산세율은 0.69%로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재산세 납부액은 지난해 6918달러로 전국 중간치보다 93% 높았다. 소득 또한 정체되면서 상황은 열악한 상태다. LA의 주거비는 2023년에서 2024년 사이 3.8% 상승했지만, 주택 소유주의 소득은 0.1% 감소해 주거비 부담률은 31.2%에서 32.5%로 1년 새 빠르게 악화했다. 컨수머 어페어스의 데이나 이든스 대변인은 “소득의 3분의 1이 주택비로 나가면 저축이나 비상금, 장기적 목표를 위한 자금이 거의 남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LA는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비싼 지역이 많은 지역으로도 꼽혔다. 온라인 부동산 데이터베이스 프로퍼티 샤크에 따르면 지난 3분기까지 전국에서 매매된 주택 가격이 가장 높은 우편번호(ZIP코드) 120곳 중 가주는 총 73개로 2위인 뉴욕과도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중 LA카운티 지역은 무려 17개로 가장 많았다. 샌타클라라 카운티는 15곳, 오렌지카운티도 12개였다. 샌타모니카(90402)는 중간 주택 매매가가 486만 달러로 전국 12위, 베벌리힐스(90210)도 435만 달러로 14위였다. 벨에어(90077)는 26위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하우스 푸어 현상을 피하기 위해 “예기치 못한 지출을 대비한 여유 자금을 남겨두고, 주택 예산에도 재산세·보험료 등 숨은 비용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전통적인 ‘28% 룰’, 즉 소득의 28% 이상을 주거비에 쓰지 말라는 원칙을 지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재정 건전성을 지키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우훈식 기자하우스 주거비 주거비 부담률 월평균 주거비 소득 중간값
2025.10.28. 2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