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중앙 칼럼] 피노키오처럼 코가 긴 주류언론들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논란으로 빈축을 사고 있는 디즈니가 공교롭게도 최근 실사판으로 리메이크한 ‘피노키오’를 선보였다.   거짓말을 하면 코가 길어지는 피노키오를 보니 문득 워싱턴포스트(WP)지가 떠오른다. WP는 지난 2008년부터 ‘팩트 체크(fact check)’ 제도를 도입했다. 특정 주장, 발언 등에 대해 사실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것인데, WP는 검증 과정에서 피노키오 아이콘을 이용했다. 피노키오 아이콘의 개수는 곧 과장, 거짓의 정도를 나타낸다.   그러한 WP는 피노키오 못지않게 코가 길다. 일례로 지난 2020년 당시 고교생이었던 닉 샌드먼이 트럼프의 슬로건(MAGA·Make America Great Again)이 쓰인 빨간 모자를 쓰고 웃음을 띤 채 베트남전 참전 용사를 노려보는 사진이 인종차별 문제로 확산했다. 이때 WP를 비롯한 CNN, ABC 등은 이 장면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트럼프 지지 세력에 대한 비난 여론을 주도했다.   이후 영상이 추가로 공개되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알고 보니 모욕을 당한 건 오히려 빨간 모자의 샌드먼이었다. 나중에 샌드먼은 주류 언론들을 상대로 무려 2억5000만 달러의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다. 자신들의 길어진 코를 보며 어찌할 바를 모르던 WP, CNN 등은 군말 없이 오보에 대한 책임을 인정, 합의금을 지급했다.   한번 길어진 코는 쉽게 줄어들지 않는다. 지난 1일 조 바이든 대통령은 필라델피아 독립기념관에서 진행된 연설에서 갑자기 “트럼프와 공화당이 미국의 근간을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바이든의 주장은 차치하고 이날 특이했던 건 배경이다. 연설장 배경색은 이례적으로 어두컴컴한 가운데 새빨간 핏빛이었다. 이를 두고 ‘섬뜩하다’ ‘지옥을 연상케 한다’ ‘선동적이다’ ‘구소련 같다’ 등 부정적 여론이 일었다.   새빨간 배경이 낳은 역효과를 CNN은 가만히 두고 볼 수 없었다. 타 방송사와 달리 CNN 뉴스에서는 연설장 배경이 핏빛이 아닌 눈에 띌 정도로 완화된 핑크색이었다. 그러자 CNN은 곧바로 배경색을 조작했다는 논란에 휘말렸다. 코가 길어질 대로 길어진 주류언론에 대한 신뢰가 얼마나 낮은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ABC뉴스는 지난 7월 19일 ‘방금 들어온 소식(Just In)’이라며 속보를 전했다. 민주당의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AOC)와 일한 오마르 의원이 대법원 앞에서 낙태 권리를 주장하는 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됐다는 뉴스였다.   그러면서 사진을 함께 공개했는데 경찰이 AOC와 오마르를 연행해가는 장면이었다. 이 사진은 민주당 지지자들의 분노 지수를 끌어올렸다. AOC와 오마르가 두 팔을 뒤로하고 있어 수갑이 채워져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누가 봐도 경찰이 강제로 수갑을 채운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진이었다. 주류언론들은 ABC가 보도한 이 장면을 그대로 받아 속보로 전했다. 물론 이날 AOC와 오마르에게는 수갑이 채워지지 않았다. 다른 사진과 영상 등을 통해 이들이 수갑을 찬 것처럼 연기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주류언론들은 슬쩍 보도 방향을 틀었다.     ‘정치적 쇼’라는 비난 여론에 맞서 오히려 팩트 체크를 들이밀며 ‘체포된 건 사실’ ‘일종의 표현의 자유’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퍼포먼스’라며 논점을 흐렸다.   코가 계속 길어지면 도저히 숨길 수가 없다. 거짓의 속성이 그렇다. 주류언론의 길어진 코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방법은 딱 하나다. 편파, 편향, 오도를 멈추고 진실을 보도해야 한다.     언론은 독자가 있기 때문에 존재한다. 그걸 자꾸 망각하면 피노키오는 제페토를 영원히 잃을지도 모른다. 장열 / 사회부 부장중앙 칼럼 피노키오 주류언론 피노키오 아이콘 연설장 배경색 비난 여론

2022.09.19. 18:27

썸네일

한인사회 최초의 타운 파차파 전시회 주류언론 뜨거운 관심

한인사회의 첫 타운으로 평가받고 있는 파차파 캠프 전시회가 주류 언론들로부터 큰 주목을 끌고 있다.   전시회를 기획한 장태한 교수(UC리버사이드)조차도 뜨거운 관심에 놀라고 있다. 뉴욕타임스, LA타임스, NBC 뉴스 등이 이미 보도했고 OC레지스터와 PBS방송은 보도가 예정된 상황이다. 특히 장태한 교수는 PBS방송과 5시간에 걸쳐 인터뷰를 했다.     장 교수는 “파차파 캠프에 대한 주류 언론의 관심이 높다”면서 “파차파 캠프의 존재 여부조차 몰랐던 리버사이드시가 반색을 할 정도”라고 설명했다.     파차파 캠프는 도산 안창호 선생과 한인 초기 이민자들이 세운 첫 코리아타운으로 대부분 농업 노동자들인 이들이 1905년부터 1913년까지 일궜던 커뮤니티다.     총300여 명의 남성과 여성, 아이들로 구성됐지만 이미 1918년 이전에 없어졌음에도 발굴된 자료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 지도, 신문, 광고 등이 소개돼 도산 선생이 공산주의자로 누명을 쓰고 추방되기 직전까지의 삶을 영위했던 파차파 캠프의 실체를 엿볼 기회가 될 수 있다.     장 교수는 “중가주의 디뉴바, 리들리, 윌로우로부터 이주해온 한인들의 중심지로 이후 한인 이민 선조들에게 마음의 고향과 같은 역할을 했다”면서 “또한 국민회의 중요 회의가 개최됐던 중심지였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렇게 주류 사회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리버사이드시가 논의중인 미주도산안창호기념사업회에 무상으로 땅을 기부하는 것도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또한 한인사회의 소중한 역사적 자산인 파차파 캠프나 전시회 자체가 차세대 정체성 교육에도 활용될 수 있다. 도산 안창호 선생의 업적을 재조명할 뿐만 아니라 미주 한인 이민역사를 보완한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기에 차세대들에게 뿌리교육의 장소가 된다.     장태한 교수에 따르면, 파차파 캠프에서 1911년 11월 23일부터 12월 4일까지 개최된 제3차 대한인국민회 북미총회를 통해 21개 안을 통과시켰는데 여기에는 삼권분립에 근거해 중앙총회 즉, 무형정부를 세웠고, 대의회 즉, 법안을 만드는 의회를 설립해 대의원 제도를 확립했으며, 자치 규정을 만들어 법제도를 확립하면서 민주공화제를 도입했다.     이후 1919년 상해 임시정부가 갑자기 민주공화제를 선언할 수 있었던 배경이 파차파캠프에서 열린 북미총회의 21개 결의안이라고 설명할 수 있는 이유다.     전시회는 내년 1월9일까지 컬버센터(Culver Center, 3834 Main St. Riverside)에서 목금은 정오~오후 5시, 토일은 오전 11시~오후 5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장병희 기자한인사회 주류언론 전시회 주류언론 캠프 전시회 한인사회 최초

2021.11.16. 20:5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