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수렴 뒤 '옵트아웃' 추진 조지아주 의회에서 지난해 통과된 재산세 인상 제한법을 두고 지방정부들이 무효화 조치에 나섰다. 귀넷 카운티는 오는 28일부터 공청회를 열어 주민 의견을 수렴한 뒤 법 시행을 거부할 방침이다. 귀넷 카운티는 지난해 11월 주민투표를 통과한 홈스테드 개정안(HB 581)에 대한 '옵트아웃'(Opt out·예외조치)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해당 개정안은 재산세 부과 기준이 되는 주택 산정가치의 연간 상승률을 전년도 인플레이션율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지난 5년간 메트로 애틀랜타를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40% 급등하자 재산세 연간 인상폭을 법률로 제한해야 한다는 여론을 업고 발의된 법이다. 귀넷 주민의 64%가 주민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졌다. 카운티 측은 이미 산정가치 급등 공제 규정 VOE(Value Offset Exemption)을 2001년부터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재산세 인상 제한법이 필요치 않다는 입장이다. VOE는 집값 급등 이전의 과거 평가액을 과세 기준으로 삼는 규정이다. 실제 2021년 기준 42만달러였던 스와니 시의 한 주택은 2024년 74만 6500불로 집값이 급등함에 따라 재산세도 두 배가량 오를 예정이었지만, VOE 규정에 따라 과거 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재산세를 납부했다. 카운티 측은 "집값이 뛰면서 교육 교부금과 시 재산세는 3년만에 각 2549달러, 643달러 올랐지만, 카운티 재산세는 4년 연속 1254달러로 동결됐다"고 밝혔다. 이 경우 재산세 감면액 효과가 총 3116불에 달한다고 당국은 추산했다. 각 지방정부는 오는 3월 1일까지 재산세 인상 제한법 옵트아웃을 신청할 수 있다. 귀넷은 오는 28일부터 3주간 매주 화요일 청사에서 공청회를 열어 주민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 결정을 내린다. 몽고메리 카운티, 브라이언 카운티 등은 이미 옵트아웃 절차를 밟고 있다. 특히 재산세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교육 교부금을 재원으로 삼고 있는 각 카운티 교육위가 대거 옵트아웃 의사를 밝혔다. 다만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척 허프스테틀러 상원 재무위원장(공화·롬)은 "지방정부가 세부담을 낮추려는 의회의 노력과 주민 염원을 무시하고 있다"며 옵트아웃 권한을 삭제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주민공청회 옵트아웃 카운티 재산세 재산세 상한법 재산세 연간
2025.01.24. 16:11
10년이 넘도록 착공조차 못 한 한미박물관(이사장 장재민) 프로젝트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 가운데 한인사회에서는 한미박물관 프로젝트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투명성 확보 등을 요구하는 주민공청회가 21일(오늘) 진행된다. 한미박물관 이사회는 LA시정부의 행정절차가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디자인을 검토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이사회가 검토한 새 건축 디자인은 단독 건물 형태다. 이대로 추진된다면 ‘아파트+박물관’ 안을 포함해 디자인만 네 차례 이상 변경된 셈이다. 동시에 지난 2013년 4월 단독 건물로 짓겠다던 1차 디자인 발표 이후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결정이다. 한미박물관 윤신애 사무국장은 20일 본지에 “2019년부터 건축비가 급격히 증가하다 보니 비용 절감을 위해 보다 현대적이고 간소화된 디자인으로 변경한 것”이라며 “기존에 예상했던 3500만~4000만 달러의 비용으로는 건축을 진행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들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디자인 변경만 문제가 아니다. 한미박물관 측은 LA시정부와 행정적 문제로 프로젝트 진행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한미박물관 측은 보도자료에서 “헤더 허트 10지구 시의원 및 법률적 문제를 담당하는 LA시 검찰과 조율을 거쳐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사회는 현재 무료 법률팀의 지원을 받아 이를 해결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법률적으로 어떤 부분을 조율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윤 사무국장은 “(해당 질문을) 이사회에 전달했다”고만 밝혔다. 그동안 답보 상태에 있던 한미박물관 프로젝트는 사실상 중단된 상태와 다름없다. 박물관 웹사이트(kanmuseum.org)도 폐쇄된 지 오래다. 가주 검찰 자료를 살펴보면 한미박물관 측은 관련 서류를 제대로 제출하지 않아 비영리 단체 등록도 여전히‘연체(delinquent)’ 상태로 표기(20일 기준)돼있다. 한미박물관 측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가주 검찰로부터 제출해야 할 서류가 연체됐다는 통보를 받고 누락 사실을 인지했다. 이 주장대로라면 2016년도 등 수차례에 걸쳐 국세청 세금보고 서류(IRS Form 990)를 제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사회 등록 상태가 ‘불완전(incomplete)’으로 표기돼 있었음에도 이를 수년간 인지하지 못할 만큼 방만하게 운영됐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윤 사무국장은 이에 대해 “지난해 말 누락 연도의 서류들과 650달러의 등록 비용을 제출했고 곧 수정될 것”이라며 “감사 기관으로 ‘최·김·박(Choi· Kim·Park LLP)’ 회계법인을 이용하는데 그쪽과 잘못된 소통으로 인해 발생한 행정상 실수”라고 해명했다. 한미박물관측의 갑작스러운 보도자료 배포는 21일 열리는 주민공청회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한미박물관 건립을 위한 시민 후원회’(가칭)는 21일(오늘) 오후 5시 30분 LA한국교육원(680 Wilshire Pl)에서 주민공청회를 개최한다. 공청회에는 한미박물관을 추진하던 초창기 시절 이사를 역임한 서동성 변호사, 전휘택 박사를 비롯한 한인역사박물관의 민병용 관장 등이 의견을 나눈다. 또 헤더 허트LA시의원 사무실 관계자, 지역사회 단체장 등을 비롯한 시민들도 참석한다. 공청회 진행을 맡은 크리스토퍼 이 건축가는 “현재의 이사회는 사실상 제대로 운영이 되지 않고 있으며 투명하지 못한 재정 문제로 프로젝트 진행 자체가 불확실한 상태”라며 “공청회를 통해 시민들과 문제점을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해 한인사회에서 잊히고 있는 한미박물관 프로젝트의 활성화 방안을 찾고자 한다”고 말했다. 현재 한미박물관 프로젝트의 개선을 요구하는 서명운동도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현재 이사회의 운영 문제를 반영한다. 20일 현재 250여명이 서명을 마쳤고, 후원회 측은 1만명을 목표로 서명운동을 진행 중이다. 한미박물관은 지난 1991년 당시 원로 건축가였던 데이비드 현 이사장을 중심으로 도산 안창호 선생의 딸 수잔 안, 예비역 김영옥 대령,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새미 리 박사 등을 중심으로 추진해왔던 한인 사회의 숙원사업이다. 이후 LA시가 한미박물관 건립을 위해 부지를 거의 무상으로 장기임대(2013년)해주는 쾌거를 이뤘지만, 그때부터 프로젝트는 제자리걸음만 계속했다. 한미박물관 이사회는 19일 보도자료에서 “지난 2015년 고 홍명기 회장과 장재민 이사장 등 현재의 이사회가 구성된 후 새로운 프로젝트로 추진됐다”며 “1990년대 초반에 진행됐던 ‘한미박물관’을 명칭으로 했던 사업과는 전혀 다른 프로젝트”라고 밝혔다. 한인역사박물관 민병용 관장은 이에 대해 “현 이사회가 한미박물관 프로젝트의 지나온 역사를 왜 부정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며 “그 당시 수많은 한인이 힘을 모았고 그러한 맥락에서 지금까지 이어져 온 사업인데 이제 와서 다른 프로젝트라니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한미박물관 헤더 허트 장재민 주민공청회 미주중앙일보 LA 로스앤젤레스 장열 LA시 윤신애 민병용 한인사회
2024.03.20. 20:55
뉴욕한인학부모협회 주민공청회 주민공청회 참석 메츠 구단주 뉴욕한인학부모협회 스티브
2023.01.09. 19:57
메이저리그야구(MLB) 뉴욕 메츠의 스티브 코헨 구단주가 윌레츠포인트 재개발부지 관련 주민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번 공청회는 씨티필드 인근 50에이커에 달하는 재개발부지와 관련 지난 수개월간 커뮤니티 주민, 리더들과 진행해 온 논의를 바탕으로 열리게 됐다. 코헨 구단주는 "시민들이 오고 싶어 하고 또 자부심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비전을 추진할 것"이라며 ▶커뮤니티 우선 ▶주민들을 위한 녹지 마련 ▶접근성 향상 ▶지역 일자리 창출과 소기업 활성화 기회 등을 핵심 원칙으로 논의를 가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청회는 오는 1월 7일 씨티필드(41 Seaver Way)에서 개최되며 참여를 위해서는 RSVP가 필요하다. 신청은 웹사이트(queensfuture.com)에서 할 수 있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주민공청회 재개발 재개발 주민공청회 관련 주민공청회 수개월간 커뮤니티
2022.12.27. 1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