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주에서 주택 소유주들이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주택보험이 지난 1년간 12%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 플랫폼 렌딩트리의 주택보험 보고서에 따르면 조지아의 주택보험료 인상률은 전국 평균 인상률보다 높은 편이다. 조지아 주택 보험료는 2019~2024 기간 년 이후 거의 36%나 올라 인상률 전국 29위를 기록했다. 조지아 주택 소유주는 연간 평균 2869달러의 주택 보험료를 부담하고 있는데, 이는 전국 평균 금액보다 70달러 정도 높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인상률 상위 5위권 주들을 보면 콜로라도가 무려 76.6%로 가장 높았고, 네브래스카(72.3%), 유타(70.6%), 애리조나(70.1%), 미네소타 65.4% 등이다. 주택보험료 상승 요인은 인플레이션, 허리케인 헐린과 같은 자연재해 등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가을 허리케인 헐린이 조지아 남부와 어거스타 지역을 휩쓸었고,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서는 홍수 피해를 입었다. 보험 전문가들은 가파르게 오르는 주택 보험료를 줄이기 위해 최소 3개 이상의 보험사의 견적을 받고, 자동차 등의 보험을 패키지로 가입하는 방안을 권장한다. 또 본인이 부담하는 디덕터블(deductible)을 일정 수준 높이는 것도 보험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창문 수리 등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집 수리의 경우 보험을 청구하지 않는 것도 보험료 인상을 피하는데 도움이 된다. 조지아에서 주택 보험은 법으로 정해져 있지 않으나 대부분의 모기지 대출 업체들이 주택 소유주에게 가입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김지민 기자주택보험료 조지아 주택보험료 상승 주택보험료 인상률 조지아 주택
2025.07.17. 15:00
팬데믹 이후 발생한 인플레이션 여파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뉴저지주의 자동차 보험료에 이어 주택보험료도 급격히 오르고 있다. 1일 지역매체 뉴저지닷컴(nj.com)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3월까지 뉴저지주 은행보험국(DOBI)에 접수된 주택보험료 인상 요청은 129건에 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법에 따라 손해보험사는 보험료율이나 등급 시스템을 변경하겠다는 요청을 주 은행보험국에 제출, 승인을 받아야 한다. 대부분이 5~10%가량의 주택보험료 인상을 요청한 가운데, 일부 보험사들은 보험료를 25% 넘게 올리겠다고 요청하기도 했다. 클리어블루(Clear Blue Ins Co)의 경우, 보험료를 최대 93.9%까지 올리겠다고 주정부에 요청했다. 다만 주정부는 이 보험사의 주택보험료를 20.0%만 올리도록 승인했다. 던 토머스 은행보험국 대변인은 “최근 몇 년 동안 주택보험료 인상 요청을 예전보다 상당히 더 많이 받았다”며 “이는 뉴저지주 뿐만이 아닌, 국가적인 문제”라고 설명했다. 보험사들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주택 수리비 상승, 건축비용 증가, 기후 변화로 인해 악천후가 잦아졌다는 점 등을 보험료 인상의 원인으로 꼽았다. 토머스 대변인은 “요청한 보험료 인상률이 불합리하거나, 적절하지 않은 경우라면 주정부에서 승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주정부는 2023년 이후 약 6800만 달러 규모의 주택보험료 인상을 막았다고 밝혔다. 다만 주택보험료를 인상한 건수도 130건에 달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느끼는 부담은 클 수밖에 없다. 한편 클리어블루 보험에 이어, 높은 보험료 인상을 요청한 보험사는 펠리세이즈P&C(Palisades P&C Ins Co)였다. 이들은 34.0% 보험료 인상을 요청한 후 14.0% 인상을 승인받았다. 킹스턴보험(18.7%), 크레스트브룩(14.9%) 등도 높은 주택보험료 인상률을 기록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주택보험료도 뉴저지주 주택보험료 인상률 뉴저지주 주택보험료도 뉴저지주 은행보험국
2024.05.01.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