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스케치] LA 주택공급, 왜 늘지 못하나
로스앤젤레스의 스카이라인은 늘 역동적이어야 하지만 요즘은 다르다. 도시 곳곳의 현장들이 움직임을 멈춘 채 서 있다. 수요는 넘쳐나는데 공급은 따라가지 못하는 모순이 굳어지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2030년까지 수십만 가구의 신규 주택을 확보하겠다고 공언했지만, 현실은 거꾸로 간다. 다운타운의 대형 개발 프로젝트 Oceanwide Plaza는 자금난으로 공사가 멈춰선 지 오래다. 한때 랜드마크로 기대를 모았지만 지금은 낙서로 뒤덮여 ‘유령 건물’이 되었다. 또 다른 초대형 사업인 Angels Landing은 법정 공방에 휘말려 지지부진하다. 공급 확대가 절실하다는 사회적 요구와 현실 사이의 거리가 이처럼 크다. 아파트 건설도 급감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LA 내 아파트 개발은 불과 3년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건설비 상승, 인허가 지연, 불확실한 수익성이 발목을 잡는다. 사실상 개발업자들은 집을 짓는 것 보다 은행에 돈을 묻어두는게 낫다는 인식이 요즘이다. 그 사이 주택을 찾는 일반 시민들의 부담은 커졌다. 중간급 주택은 모기지 및 재산세 포함 월 $5900 이상, 저가 주택조차 $3600 이상이 필요하다. 중서민층에서LA에서 집을 사는 건 매우 여려운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 기후 리스크까지 겹쳤다. 말리부나 패서디나 언덕 지역에서는 산불 위험으로 보험 가입조차 어려운 사례가 늘고 있다. 보험사가 발을 빼면 매입자들도 망설일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특정 지역은 거래 자체가 위축되고, 다른 지역은 수요가 몰리며 가격이 더 오르는 악순환이 생긴다. 2028년 LA 올림픽 준비도 부동산 시장에 긴 그림자를 드리운다. 경기장 주변 개발과 인프라 정비는 긍정적이지만, 동시에 저소득층과 노숙인 강제 이주 논란을 불러일으킨다. 주택 공급 확대라는 대의명분이 일부 주민에게는 삶의 터전을 빼앗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정책 선택도 쉽지 않다. 임대 안정 조례를 강화해 세입자를 지키자는 목소리와, 규제를 풀어 개발을 촉진하자는 주장이 정면으로 부딪힌다. 어느 한쪽만 선택하면 또 다른 위기를 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나친 규제는 신규 공급을 가로막고, 지나친 자유화는 임차인들의 불안을 키운다. 결국 “어느 쪽이 옳으냐”보다 “어떻게 균형을 맞출 것이냐”가 진짜 질문이다. 사실 공급 부족은 단순한 시장 문제가 아니다. 젊은 세대는 내 집 마련의 꿈을 잃고, 중산층은 임대료 부담에 흔들리며, 저소득층은 주거 불안정에 노출된다. 주택이 부족한 도시는 결국 인재 유출과 사회 불평등 심화라는 더 큰 비용을 치른다. 주택 정책이 단순한 경제 정책이 아니라 교육·노동·복지 전반을 떠받치는 사회 정책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집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삶의 기반이다. 지금의 LA는 “사람은 많지만 집은 없다”는 역설에 빠져 있다. 공급을 늘리면서도 세입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제3의 해법이 필요하다. 그 해법이 나오지 않는다면, 멈춰 선 크레인은 단순한 건설 지연이 아니라 도시 전체의 신뢰와 미래가 흔들리고 있다는 경고로 받아들여야 한다. ▶문의:(424)359- 9145 제이든 모 / Keller Williams Beverly Hills부동산 스케치 주택공급 건설비용 신규 주택 중간급 주택 공급 확대
2025.10.05. 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