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변화를 보면 미래가 보인다
“아기는 입과 위장 뿐 아니라 두 손도 가지고 태어난다!” 영국의 경제학자이며 인구 통계학자인 Edwin Cannan의 말입니다. 여기에서 두 손은 ‘일을 할 수 있는 손’을 말한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인구는 1820년 10억 명, 1920년 20억 명, 1960년 30억 명, 1975년 40억 명, 2000년 60억 명, 2010년 70억 명, 2020년 78억 명으로 늘어났습니다. 다음 산업 혁명이 예상되는 곳은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입니다. 왜냐하면 인구는 가장 급한 상승을 보이고, 멕시코의 국토 면적에 달하는 약 1억 9643만 ha(한국의 19배)의 비옥한 토지가 아직 농경지로 개발되지 않은 채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전 세계의 부에서 2000년에 여성이 차지한 비율은 15%이었습니다. 2030년 전 세계의 부에서 여성이 차지할 비율은 55%정도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교육의 영향으로 여성들이 직업을 갖게 되었고 여성들의 재산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30년 신흥 경제 국 중산층 진입인구는 10억 명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미국의 중산층 인구는 2017년 2억 2천만 명입니다. 2030년 2억 9백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수많은 오락거리를 언제든 접할 수 있는 현 세상은 성관계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렸습니다. 성적 욕망에 오락거리가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주는 사례가 있습니다. 2008년 동아프리카 연안에 있는 Zanzibar 섬에서 대규모 정전 상태가 한 달 이상 계속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가정이 정전의 영향을 받았습니다만, 자가 발전기를 가진 자들은 정전의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정전 발생 9개월 후 정전의 영향을 받은 가정은 평소보다 20%이상 많은 아이들이 태어났고, 자가 발전기가 있는 가정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습니다. 돈은 출생률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싱가포르 정부는 국민들이 5C, 즉 Cash(현금), Car(자동차), Credit Card(신용카드), Condominium(고급 아파트), Country Club(레저시설 이용권)를 위해 자녀 갖기를 포기하는 상황을 대단히 우려하고 있습니다. ‘경제발전이 최고의 피임!’이라는 유명한 구호가 중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사실로 증명된 셈입니다.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의 최고의 수혜자는 미국인이라고 합니다. 중국의 남아선호 사상은 남성이 여성보다 20%많은 성비 불균형을 만들어 냈습니다. 통계에 의하면 소득이 가장 높은 남성은 가장 낮은 남성보다 10배 이상 여성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중국의 결혼 적령기 아들이 있는 가정에서는 적당한 배우자를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저축을 늘리고 있습니다. 저축한 돈이 미국인들의 대출이자를 낮추게 되고, 이로 인해 소비가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러시아에서는 많은 남성이 일찍 사망하기 때문에 젊은 남성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사망원인은 과도한 음주라고 합니다. 성비 불균형 문제가 너무 심각하기 때문에 시베리아 일부 지역의 여성들은 ‘일부다처제’를 합법화하자는 주장까지 제기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는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실제 면적은 중국, 인도, 유럽, 미국, 일본을 합친 정도로 넓습니다. 그러므로 아프리카의 운명이 곧 세계의 운명이 될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는 적어도 한 분야에서만큼은 어느 국가보다 더 빠르게 도약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동통신 기술입니다. 'Irish Times'에 'Naomi'의 기사가 나옵니다. 그녀는 34세입니다.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 빈민가에서 삽니다. 폐지를 주워 팔아 네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그녀의 유일한 첨단 기술제품은 휴대전화입니다. 통화도 하고 금융거래도 합니다. 현재 케냐는 전체 인구의 90%가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휴대전화 기록이 공식적인 인구통계 조사보다 더 정확하다고 합니다. 밀레니엄 세대는 1980~2000년에 태어난 세대입니다. 약 23억 명에 달하는 인구로 기업인과 정치인 모두가 그들의 돈과 투표권을 원하고 있습니다. 2030년이 되면 60세 이상 인구가 35억 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북유럽, 북아메리카, 중국에 거주하는 사람들입니다. 또, 침묵의 세대로 불리는 1930년대 태어난 사람들의 재산이 밀레니엄 세대(1980-2000)보다는 23배나 많습니다. 이런 인구의 노령화는 소비형태를 바꾸어 놓을 것으로 봅니다. 자산관리 상담, 돌봄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위한 로봇의 증가, 실버 세대의 인력 활용에 대한 산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책 ‘2030 축의 전환’을 참고했습니다.) 목회칼럼인구변화 미래 중산층 진입인구 동아프리카 연안 중산층 인구
2022.08.15.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