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증시 급락에 401(k) 평균 3만4000불 손실

올해 들어 꾸준히 증시가 급락하면서 미국인 한 명당 직장은퇴연금 401(k) 평가손실액이 약 3만4000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401(k) 가입자 총 손실 규모는 2조1000억 달러 수준에 달한다.     17일 뉴욕포스트는 올해 들어 401(k) 평가손실도 커지고 있다며 많은 미국인이 손실액 때문에 은퇴를 미루고 있다고 보도했다. 스티븐 무어와 E J 앤서니 헤리티지재단 이코노미스트가 주가 변화를 반영, 자체적으로 계산한 데 따르면 올해 초 13만5000달러 수준이던 미국인 1인당 401(k) 평균 잔액은 최근 10만1000달러 수준으로 줄었다. 1인당 평균 401(k) 평가액이 약 3만4000달러 줄어든 것으로, 올해 초 평균 잔액에서 약 25%가 주가 때문에 증발한 셈이다.     직장은퇴연금 가입자들이 포트폴리오의 상당 부분을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 만큼 타격이 컸다는 설명이다. 올해 들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약 18% 하락했고, S&P 500지수도 23% 넘게 하락했다. 나스닥 지수는 15% 이상 빠졌다.     뉴욕포스트는 “이번에 계산한 401(k) 평가손실은 급등한 물가를 반영하지도 않은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으로 돈의 가치가 떨어졌다는 것까지 반영하면 401(k) 손실액은 더 커졌다고 볼 수 있다”고 전했다.     물가가 급등하는 시기엔 채권투자수익도 높지 않다. 급등한 물가를 잡기 위해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올리고, 이에 따라 채권금리도 덩달아 오르면 기존 채권가격은 떨어지기 때문이다. 새로 발행된 채권에 투자 시 더 높은 금리를 추구할 수 있는 만큼, 기존 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퇴직연금기관의 손해가 커질 수밖에 없다. 직장은퇴연금에서 채권투자는 20~40%를 차지하고 있어 채권수익 하락 시 손실액도 커질 수 있다.   직장은퇴연금 외에 전통적인 연기금(펀드) 평가액도 줄고 있다. 올해 초 미국의 연금 자산 규모는 27조8000억 달러에 달했지만, 약 15% 줄어 현재는 24조 달러를 밑돌고 있다. 뉴욕포스트는 “코로나19 팬데믹 초반에 급증했던 4조 달러 규모의 이익을 사실상 모두 날린 셈”이라고 해석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급락 증시 증시 급락 손실액 때문 손실 규모

2022.10.17. 19:43

새 변이 확산에 증시 급락

뉴욕증시가 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새 변이 발생 소식에 올해 들어 최대폭 급락했다.   이날 뉴욕증시의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905.04포인트(2.53%) 떨어진 3만4899.3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06.84포인트(2.27%) 떨어진 4594.62에, 나스닥 지수는 353.57포인트(2.23%) 떨어진 1만5491.66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추수감사절 관계로 오후 1시에 폐장한 이날 증시는 최대 쇼핑 대목인 ‘블랙프라이데이’라는 말처럼 ‘검은 금요일’을 맞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중심으로 새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 확산하고 있다는 소식에 투자자들이 공포에 질린 것.   이날 3대 지수의 낙폭은 1950년 이후 블랙프라이데이 사상 가장 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새 변이가 겨울철을 맞아 세계적으로 확산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은 금융시장 전반으로 퍼졌다.   뉴욕상품거래소(NYMEX)에서 내년 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도 배럴당 11.3%(8.89달러) 폭락한 69.50달러에 마감해 배럴당 70달러 선을 내줬다.     김은별 기자변이 확산 변이 확산 증시 급락 이날 뉴욕증시

2021.11.26. 19:5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