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만 꺼내게 해 주세요.” 18일 오전 8시 30분, 한인타운 7가와 8가 사이 맨해튼 플레이스. 공터를 가득 메운 텐트와 짐 사이에서 한 노숙자가 경찰에게 울분 섞인 목소리로 외쳤다. 다니엘 차베즈 LA경찰국(LAPD) 올림픽경찰서 순찰반장은 자전거를 꺼내 준 후 “오전 6시부터 충분히 시간을 줬다. 다시 들어가면 체포될 수 있다”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사유지인 이곳은 오랫동안 방치됐다. 몇 달 새 노숙자 10명이 모여들더니 작은 ‘노숙자촌’을 만들었다. 이들에겐 비바람을 피할 수 있는 곳이 됐지만 인근 주민들에게는 불안과 불편의 장소가 됐다. 이날 경관 6명이 현장에 출동한 가운데, 노숙자들은 침낭과 비닐가방 등 본인의 짐을 챙겨 공터 밖으로 나갔다. 이날 철거 작업은 땅 소유주의 ‘사유지 무단 침입’ 신고가 있어 가능했다. 소유주는 엘크 디벨롭먼트(ELK Development)라는 부동산 개발업체로 이곳에 60유닛 규모의 아파트를 지을 것으로 알려졌다. 해리 조 올림픽서 순찰반장은 “몇 달 전부터 주민 민원이 이어졌으나 뚜렷한 해법이 없었다”며 “최근 5지구 시의원실이 소유주와 협의해 신고가 공식 접수되면서 퇴거 조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현장에는 시정부 관계자들도 보였다. LA홈리스서비스국(LAHSA), LA시장실, 케이티 야로슬라브스키(5지구) 시의원실 관계자들이 노숙자들을 상대로 상담을 진행했다. 노숙자 10명 중 7명은 시가 제공하는 임시 주거 시설로 이동했고, 3명은 입주를 거부한 채 다시 거리로 떠났다. 3개월간 이곳에 살았다는 사퀴타 오웬스는 “이번 기회에 정부 시설로 들어가고 싶다”고 했고, 또 다른 여성 노숙자는 “친구 따라 왔다가 살았는데 이제는 안정된 시설에서 지내고 싶다”고 말했다. 이날 다른 지역 노숙자 3명이 현장에 나타났다. 그중 한인 전명오씨는 한인타운청소년회관(KYCC)가 운영하는 노숙자 지원주택에 거주 중이었지만, “언제 쫓겨날지 몰라 다른 시설을 알아보러 왔다”고 말했다. 상담 과정에서 그는 갱단 공격을 받은 적이 있고 고령이라는 점을 언급했다. 노숙자 개개인의 사연은 절박했지만, 공터가 비워지자 곧장 다시 ‘자리’를 찾으려는 움직임이 나타난 셈이다. 퇴거 후 오전 10시부터는 청소가 시작됐다. 개발업체가 고용한 청소 인력이 텐트와 쓰레기를 치우며 최소 이틀간 정리 작업을 예고했다. LA시장실 관계자는 “사유지이므로 청소 책임은 소유주 측에 있다”고 덧붙였다. 캐런 배스 LA시장은 성명을 내고 “노숙자 텐트촌이 어디에 있든 줄이는 것이 목표”라며 “이번에도 대상자들에게 주거와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시는 ‘인사이드 세이프(Inside Safe)’ 프로그램을 통해 노숙자들을 실내 공간으로 옮기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노숙자촌이 다시 생겨나는 걸 막지 못하면, 정책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이번 사례는 ‘방치된 공터’가 곧 노숙자촌의 발판이 된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개발이 지연되거나 소유주 관리가 미흡한 땅에는 어김없이 텐트가 들어서고, 불법 전기 연결, 쓰레기 투기, 심지어 범죄 위험까지 번진다. 인근 주민 김찬오씨는 “진작 철거했어야 한다”며 “밤마다 폭언이 들리고, 길거리에서 불을 지피는 등 치안이 무너졌다”고 말했다. 주민들의 반색은 단순히 ‘불편 해소’ 차원이 아니라 생존과 안전의 문제였다. LA 한인타운 내 작은 노숙자촌 철거는 일단락됐지만, 근본적 질문은 남는다. 시와 소유주가 협력해 공터 관리와 활용을 선제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면, 또 다른 텐트촌은 언제든 다시 생겨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노숙자 문제 해결은 지원만큼이나 예방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번 사건은 방치된 땅이 어떻게 도시의 취약 지점이 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주거 지원과 더불어 사유지·공터 관리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함께 가동될 때, 노숙자촌의 악순환도 끊을 수 있을 것이다. 김경준 기자무단점유 노숙자촌 노숙자 지원주택 지역 노숙자 여성 노숙자
2025.09.18. 20:47
미국내 홈리스 규모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집이 없어 거리를 떠돌고 있는 아시안 노숙자 규모가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택도시개발부(HUD)가 지난 16일 발표한 ‘2023 노숙자 평가서’에 따르면 올 1월 기준으로 미국 노숙자는 총 65만3104명으로, 1년 사이에 12%(약 7만642명)가 늘었다. 이는 HUD가 2007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이중 60%인 39만6494명만 셸터에서 지내고 있었으며 나머지는 거리에서 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종별로 보면 백인이 절반에 가까운 32만4854명(49.7%)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흑인(24만3624명·37.3%), 히스패닉/라티노(17만9336명·27.5%) 순이다. 아시안(Asian/Asian American) 노숙자는 1만1574명이다. 이번 통계를 보면 아시안 노숙자 비율은 미 전체 노숙자 인구의 1.8%에 그치나, 증가율은 전년 대비 40%(3313명)로, 인종 중에서 가장 높다. 특히 셸터가 없는 아시안 홈리스 증가율은 전년 대비 64%(2774명)로, 이 역시 다른 인종보다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또 미국 노숙자의 절반 이상이 4개주(캘리포니아, 뉴욕, 플로리다, 워싱턴)에 몰려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중 캘리포니아에 미 전체 노숙자의 28%인 18만1399명이 거주하며 최다 규모를 기록했다. 그 뒤로 뉴욕(10만3200명·16%), 플로리다(3만756명·5%), 워싱턴(2만8036명·4%) 순이다. 주별 증가율은 뉴욕주가 가장 높았다. 전년 대비 39.1%(2만9022명)로 전국 평균 증가율(12.1%)을 2배 이상 기록했다. 가주의 경우 지난해보다 9878명(5.8%)이 추가됐으며, 전체 노숙자의 68%가 셸터가 아닌 곳에서 살고 있었다. 특히 샌호세 지역 노숙자의 75%, LA와 오클랜드의 경우 73%, 롱비치·새크라멘토는 72%가 셸터가 아닌 곳에서 살고 있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1월 말 10일 동안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홈리스는 자동차·공원·공항 등 일반적인 주거 시설이 아닌 곳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노숙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중앙일보 산하 비영리기관인 ‘해피빌리지’는 지난 16일 LA한인타운 인근 맥아더 공원에서 50여명의 한인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노숙자들에게 사랑의 점퍼 460벌을 배포했다. 이날 ‘사랑의점퍼 나누기’ 행사에는 토랜스제일장로교회(담임 고창현 목사) 봉사팀, LA 동부지역에서 활동하는 BSA 278대대(대장 한학수) 소속 스카우트 15명과 학부모, 밸리 지역의 그로잉업유스발런티어(단장 크리스틴 설) 회원 24명과 학부모들이 봉사자로 참여해 직접 홈리스들에게 사랑의 점퍼를 전달했다. 또한 전 세계에서 백 팩으로 유명한 ‘에베레스트(회장 박병철)’에서는 대형 가방을 기증해 사랑의 점퍼와 함께 전달했다. 해피빌리지는 내년 1월 초에 슬리핑백을 추가로 제작해 한인타운에서 추위에 떨며 지내는 노숙자들을 도울 예정이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노숙자 아시안 노숙자 지역 노숙자 전체 노숙자
2023.12.17. 20:49
가주 지역 노숙자 문제는 결국 ‘돈’이 있어야 해결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UC샌프란시스코 산하 노숙자·주택이니셔티브 연구소는 20일 노숙자 연구 조사 결과를 발표, “노숙자가 생기는 것은 중독과 정신 건강이 아닌 ‘소득 상실(losing income)’이 가장 큰 이유”라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홈리스들은 노숙 생활을 하기 직전(6개월 전) 중간소득은 월 960달러였다. 응답자의 70%는 “매달 임대료 보조금으로 300~500달러를 받았다면 노숙자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답했다. 또, 노숙자 10명 중 9명(95%)은 5000~1만 달러의 일회성 주택 보조금을 받는다면 노숙 생활을 벗어날 수 있다고 응답했다. UC샌프란시스코 마곳 쿠셸 디렉터는 “노숙자가 얼마나 절망적이고 가난한지, 높은 주거비가 이러한 위기를 초래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중독, 정신 건강 문제와 같은 기타 요인에 치중하기보다 주택 비용 지원이 잠재적인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실제 홈리스 중 약물이나 음주 때문에 노숙자가 됐다는 응답은 4%에 불과했다. 이번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홈리스를 대상으로 처음 실시된 대규모 설문조사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가주 정부의 기존 홈리스 정책과 방향성에도 문제점을 드러낸다. 비영리 언론재단 캘매터스는 개빈 뉴섬 가주 주지사가 취임 이후 홈리스 문제 해결을 위해 210억 달러를 투입했지만, 실효성이 없다고 20일 보도했다. UC버클리 제니퍼 울치 교수는 “소득 상실, 재정과 주거의 불안정성이 알코올 문제, 가정불화, 육체적 건강 상태로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며 “그러한 각종 요인은 모두 경제적인 문제에 근본적인 뿌리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가주의 노숙자 증가 원인과 관련, 각종 오해도 바로잡고 있다. 보고서에는 “홈리스들이 따뜻한 날씨, 수준 높은 복지 정책 등으로 가주로 몰린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라며 “응답자 중 90%는 본래 가주민이었으며 이 중 75%는 자신이 살던 카운티에서 그대로 노숙 생활을 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쿠셀 디렉터는 “노숙자들이 가주에 세금을 내본 적이 없는 외부인이라고 오해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며 “그들도 우리처럼 일반적으로 살아가던 이웃이었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결국 주택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보고서에 따르면 ▶노숙자 2명 중 1명은 50세 이상 ▶응답자들의 평균 노숙 기간은 22개월 ▶홈리스의 72%는 남성 ▶75%의 응답자가 살면서 ‘신체적 폭력’을 경험 ▶응답자 3명 중 1명은 자살 시도 ▶90%가 혼자서 노숙을 하고 있다. 한편, UC샌프란시스코 연구팀은 지난 2021년 10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가주 지역 노숙자 3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 중 365명과는 심층 인터뷰를 했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노숙자 홈리스 노숙자 연구 지역 노숙자 가주의 노숙자
2023.06.20. 21:52
#. 지난 17일 LA한인타운 동쪽에 자리한 맥아더 파크에서는 노숙자 수백 명이 몰렸다. LA 도심 등 남가주 밤 최저기온이 40도까지 떨어지면서 한파주의보가 발령됐고, 겨울 추위에 떨던 노숙자들 건강 관리 우려도 커지는 상황. 이날 맥아더 공원에서 중앙일보 산하 비영리기관 해피빌리지는 한인 개인과 단체의 후원을 받아 ‘사랑의 점퍼 나누기’ 행사를 진행했다. 자원봉사자들은 방한 기능이 뛰어난 점퍼를 노숙자에게 한 벌, 한 벌 전달했다. 사랑의 점퍼를 받은 노숙자들은 고마움을 전하며 웃음을 띠었다. 주최 측은 이날 현장에서 500여 명이 겨울을 날 수 있는 사랑의 점퍼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산하 비영리기관인 해피빌리지가 홈리스를 위한 사랑의 점퍼 나눠주기 행사가 지난 17일 맥아더 파크에서 큰 호응 속에 끝났다. 이날 행사장에는 스카우트 트룹 278-1278대(남자 부대 대장 한학수, 여자부대 대장 최진) 학생 봉사자 15명과 학부모, 밸리 지역 그로잉업유스발룬티어(단장 크리스틴 설) 봉사팀 24명과 학부모 두 그룹이 자원봉사로 참여했다. 한인 학생들로 구성된 자원봉사자들은 힘든 기색 없이 미리 준비한 사랑의 점퍼를 노숙자에게 전했다. 한인 개인과 단체가 후원한 사랑의 점퍼는 총 1300여 벌. 이날 자원봉사자들은 현장에서 500여 벌을 노숙자에게 전달했다. 사랑의 점퍼 나눔 소식을 듣고 찾아온 저소득층 주민들도 점퍼를 받아갔다. 나머지 사랑의 점퍼는 노숙자 지원단체를 통해 각 지역 노숙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해피빌리지 측은 사랑의 점퍼 외에도 슬리핑백과 텐트를 준비해 LA한인타운 일대에서 추위에 떠는 노숙자에게 전달했다고 전했다. 김장호 해피빌리지 국장은 “한인사회의 온정이 저소득층과 노숙자에게 큰 위로와 도움을 주고 있다”며 “후원자의 관심과 후원 없이는 노숙자를 위한 사랑의 점퍼 나누기 행사 등이 불가능하다. 추운 겨울 커뮤니티에 따뜻한 사랑을 전하기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보내주신 모든 분들께 중앙일보와 해피빌리지를 대신해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한편 해피빌리지는 ‘사랑의 슬리핑백’을 추가 제작해 내년 1월 중순 자원봉사자와 함께 추위에 떠는 노숙자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해피빌리지 측은 한인사회 후원을 바탕으로 겨울철 노숙자 지원 활동을 계속 펼칠 것이라고 전했다. 김형재 기자저소득 노숙 노숙자 지원단체 저소득층 주민들 지역 노숙자
2022.12.18. 2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