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힐크레스트 지역 치안 강화…스마트카메라 14대 설치 추진

샌디에이고시에서 증오범죄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힐크레스트 지역에 대한 치안이 강화된다.   샌디에이고시는 최근 이 지역 일대에 24시간 감시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로등' 14대를 새로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시정부의 이번 조치는 오는 20일과 21일 개최 예정인 '2024 프라이드 페스티벌'을 앞두고 성소수자들을 상대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증오범죄에 대한 예방효과와 함께 시정부의 적극적인 대처 분위기를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샌디에이고시에서 가장 다양한 문화가 조화를 이루고 있어 항상 젊은이들과 관광객들로 붐비는 힐크레스트는 성소수자와 관련된 이벤트도 로컬에서 가장 활발하게 개최되고 있다.스마트카메라 힐크레스트 힐크레스트 지역 설치 추진 지역 일대

2024.07.09. 20:20

[우리말 바루기] ‘사단’, ‘사달’

“사달이 나게 된 데 대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 등과 같은 내용의 문구를 볼 수 있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방심이 이러한 사단을 가져왔다” “불안불안하더니 결국 사단이 나고 말았다”처럼 ‘사달’ 대신 ‘사단’이란 낱말을 쓰기도 한다. 어느 것이 맞는 말일까?   ‘사달’과 ‘사단’은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이므로 구분해 사용해야 한다. 우선 ‘사달’은 사고나 탈을 뜻하는 낱말이다. 따라서 위의 예문 모두 이러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달’이 들어가는 게 맞다. 마지막 두 개의 예문 역시 “방심이 이러한 사달을 가져왔다” “불안불안하더니 결국 사달이 나고 말았다”로 고쳐야 한다.   ‘사단(事端)’은 사건의 단서나 일의 실마리를 뜻하는 낱말이다. “무분별한 개발이 사단이 되어 지역 일대의 환경오염을 초래했다” 등과 같이 쓸 수 있다. ‘사단’은 ‘단초(端初)’나 ‘실마리’로 바꿔 사용할 수도 있다.   ‘사달’은 주로 ‘나다’와 어울려 쓰인다. ‘사고가 났다’ ‘탈이 났다’처럼 ‘사달이 났다’가 의미가 잘 통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사단’은 ‘나다’와는 어울리기 어렵다.‘사단’이 일의 실마리를 뜻하므로 ‘실마리가 났다’는 의미가 잘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단’은 주로 ‘사단이 됐다’ ‘사단을 찾았다’ ‘사단을 제공했다’ ‘사단을 구했다’ 등과 같이 ‘되다, 찾다, 제공하다, 구하다’ 등과 어울려 쓰인다.우리말 바루기 사단 사달 지역 일대 예문 모두

2023.04.13. 18:45

[우리말 바루기] ‘사단’, ‘사달’

“방심이 이러한 사단을 가져왔다” “불안불안하더니 결국 사단이 나고 말았다”처럼 ‘사달’ 대신 ‘사단’이란 낱말을 쓰기도 한다. 어느 것이 맞는 말일까?   ‘사달’과 ‘사단’은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이므로 구분해 사용해야 한다. 우선 ‘사달’은 사고나 탈을 뜻하는 낱말이다. 따라서 위의 예문 모두 이러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달’이 들어가는 게 맞다. 마지막 두 개의 예문 역시 “방심이 이러한 사달을 가져왔다” “불안불안하더니 결국 사달이 나고 말았다”로 고쳐야 한다.   ‘사단(事端)’은 사건의 단서나 일의 실마리를 뜻하는 낱말이다. “무분별한 개발이 사단이 되어 지역 일대의 환경오염을 초래했다” 등과 같이 쓸 수 있다. ‘사단’은 ‘단초(端初)’나 ‘실마리’로 바꿔 사용할 수도 있다.   ‘사달’은 주로 ‘나다’와 어울려 쓰인다. ‘사고가 났다’ ‘탈이 났다’처럼 ‘사달이 났다’가 의미가 잘 통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사단’은 ‘나다’와는 어울리기 어렵다. ‘사단’이 일의 실마리를 뜻하므로 ‘실마리가 났다’는 의미가 잘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단’은 주로 ‘사단이 됐다’ ‘사단을 찾았다’ ‘사단을 제공했다’ ‘사단을 구했다’ 등과 같이 ‘되다, 찾다, 제공하다, 구하다’ 등과 어울려 쓰인다.우리말 바루기 사단 사달 지역 일대 예문 모두

2022.11.13. 18:00

[우리말 바루기] '사단'과 '사달'

코로나19 감염자가 다시 늘어나면서 부쩍 많이 접하게 된 단어가 ‘사달’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방역수칙을 잘 안 지켜 이런 사달이 났다” “집단감염이라는 사달이 나게 된 데 대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 등과 같은 내용의 문구를 볼 수 있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방심이 이러한 사단을 가져왔다” “불안불안하더니 결국 사단이 나고 말았다”처럼 ‘사달’ 대신 ‘사단’이란 낱말을 쓰기도 한다. 어느 것이 맞는 말일까?   ‘사달’과 ‘사단’은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이므로 구분해 사용해야 한다. 우선 ‘사달’은 사고나 탈을 뜻하는 낱말이다. 따라서 위의 예문 모두 이러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달’이 들어가는 게 맞다. 마지막 두 개의 예문 역시 “방심이 이러한 사달을 가져왔다” “불안불안하더니 결국 사달이 나고 말았다”로 고쳐야 한다.   ‘사단(事端)’은 사건의 단서나 일의 실마리를 뜻하는 낱말이다. “무분별한 개발이 사단이 되어 지역 일대의 환경오염을 초래했다” 등과 같이 쓸 수 있다. ‘사단’은 ‘단초(端初)’나 ‘실마리’로 바꿔 사용할 수도 있다.   ‘사달’은 주로 ‘나다’와 어울려 쓰인다. ‘사고가 났다’ ‘탈이 났다’처럼 ‘사달이 났다’가 의미가 잘 통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사단’은 ‘나다’와는 어울리기 어렵다. ‘사단’이 일의 실마리를 뜻하므로 ‘실마리가 났다’는 의미가 잘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단’은 주로 ‘사단이 됐다’ ‘사단을 찾았다’ ‘사단을 제공했다’ ‘사단을 구했다’ 등과 같이 ‘되다, 찾다, 제공하다, 구하다’ 등과 어울려 쓰인다.우리말 바루기 사단 사달 지역 일대 예문 모두

2022.07.05. 18:28

[우리말 바루기] '사단'과 '사달'

“평소에 교통법규를 잘 안 지키더니 결국에는 대형사고가 터지는 사달이 났다” “프로젝트가 사달이 나게 된 데 대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 등과 같은 내용의 문구를 볼 수 있다.     그런데 “방심이 이러한 사단을 가져왔다” “불안불안하더니 결국 사단이 나고 말았다”처럼 ‘사달’ 대신 ‘사단’이란 낱말을 쓰기도 한다. 어느 것이 맞는 말일까?   ‘사달’과 ‘사단’은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이므로 구분해 사용해야 한다. 우선 ‘사달’은 사고나 탈을 뜻하는 낱말이다. 따라서 위의 예문 모두 이러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달’이 들어가는 게 맞다. 마지막 두 개의 예문 역시 “방심이 이러한 사달을 가져왔다” “불안불안하더니 결국 사달이 나고 말았다”로 고쳐야 한다.   ‘사단(事端)’은 사건의 단서나 일의 실마리를 뜻하는 낱말이다. “무분별한 개발이 사단이 되어 지역 일대의 환경오염을 초래했다” “그의 폭로가 사단이 되어 문제가 커졌다” 등과 같이 쓸 수 있다. ‘사단’은 ‘단초’나 ‘실마리’로 바꿔 사용할 수도 있다. 우리말 바루기 사단 사달 지역 일대 예문 모두

2022.03.13. 12: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