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LA 주택 매매 16% 급락… 가격은 여전히 상승

가주 주택시장이 매매가 감소하고 가격은 오르는 혼조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주부동산중개인협회(CAR)가 발표한 8월 기존 단독주택 거래 통계에 따르면, 주 전체 매매는 총 26만4240채로 전달 대비 0.9% 증가했으나 지난해와 비교하면 여전히 0.2% 줄었다.   중간 주택가격은 8월 기준 89만9140달러로, 7월보다 1.7%,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 상승했다. 큰 폭의 급등세는 아니지만, 거래가 줄어든 상황에서도 가격이 지지되고 있다는 점은 지역별 수요가 여전히 견고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LA와 오렌지카운티(OC)를 포함한 남가주 지역 역시 거래 감소와 가격 상승이 동시에 나타났다.   지난 8월 남가주에서 성사된 주택 거래는 전년 동기 대비 약 3.7% 감소했다. 남가주의 집값이 여전히 높고, 이에 대한 금융 부담으로 구매자들의 진입이 제한된 결과로 풀이된다. 가격은 전년 대비 약 1.2% 상승했다.   LA만 놓고 보면 매매 둔화가 더 심했다. LA지역에서 주택 거래는 전달 대비 16% 급락했으며, 1년 전과 비교해서도 12.3% 감소했다. 가격은 93만720달러로 전달과 전년 동월 대비 가격이 각각 2.1%, 1.2% 올랐다.   OC는 매매가 7월 대비 4.3% 줄었으나 작년과 비교해선 1.4% 늘어났다. 집값은 138만5000달러로 전달과 전년 동월 대비 1.1%씩 감소했다.   가격 상승 폭이 이전보다 완화한 것은 최근까지 높게 유지된 이자율에 수요가 감소하고 매물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8월 가주의 총 매물 수는 전년 대비 23.5% 증가했다. 판매 완료까지 걸리는 평균 기간도 31일로, 지난해 같은 달의 22일보다 길어졌다.     이는 구매자 입장에서는 선택지가 많고 협상 여지가 컸으며, 판매자들은 가격 조정이나 판매 전략을 수정해야 했다는 의미다.   한편 보고서는 LA·OC를 포함한 남가주에서 향후 몇 달간 금리 변동이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봤다. 금리가 하락세를 이어간다면 구매 심리가 살아나 거래량이 점진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     지역별 차별화도 뚜렷해질 전망이다. 교통 접근성이 좋은 OC 일부 지역이나 LA 도심 인접 지역은 수요가 유지되며 가격 방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외곽 지역이나 통근 여건이 불리한 지역은 거래 감소와 가격 정체 가능성이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현재는 구매자들에게 협상력이 향상되는 시기로, 판매자들은 시장 변화에 맞춘 전략 조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우훈식 기자CAR 8월 통계 보고서 주택시장 남가주 남가주 지역 지역별 수요 지역별 차별화

2025.09.23. 22:59

썸네일

뉴욕시, 무상 보육 프로그램 지역별 수요·공급 불균형 커

뉴욕시의 3·4세 아동 대상 무상 보육 프로그램 '3-K 포 올(for all)'과 '프리-K(Pre-K)'가 지역별 수요·공급 불균형으로 혼선을 빚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대기자 명단이 생길 정도로 수요가 높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수천 개 자리가 비어 있는 상황이다.   시 독립예산국(IBO)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2024학년도 뉴욕시 3세 아동들이 이용 가능한 '3-K 포 올' 프로그램 좌석 수는 5만2373개, 4세 아동이 이용 가능한 '프리-K' 좌석 수는 7만4273개였다.     이중 채워진 자리는 3-K 프로그램의 경우 83.8%, 프리-K는 80.5%였다. 약 20% 정도, 즉 수천 개 자리가 비어 있다는 것이다.       보육비 부담으로 뉴욕시를 떠나는 가정이 늘어나는 가운데, 무상 보육 프로그램 빈자리가 이토록 많이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관계자들은 먼저 '거주 지역별 수요 차이'를 그 원인으로 꼽았다. 퀸즈, 브루클린 일부 지역, 브롱스 등 저소득층 및 다문화 가정이 많은 지역에서는 무상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높은 반면, 고소득층 거주 지역이나 사립 유치원 이용이 활발한 맨해튼 일부 지역, 스태튼아일랜드 등에서는 수요가 적어 빈 자리가 많이 생긴다는 설명이다. 지난 학년도 한인밀집지역인 퀸즈 25·26학군(플러싱, 베이사이드 등)의 충원률은 88.1%, 94.3%로 높았던 반면 맨해튼 1학군(로어이스트사이드, 이스트빌리지 등)의 충원률은 76.8%에 불과했다.     이처럼 지역별 수요가 다르기 때문에, 아동들이 주거지로부터 먼 곳에 배정을 받는 경우도 빈번하다. 시 교육국에 따르면, 지난 학년도 3-K 프로그램 지원자 중 15%에 해당하는 6000여명의 아동은 지원서에 기재한 곳이 아닌 다른 지역 보육원에 배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일부 학부모들은 교통비와 시간을 감당하기 어려워 등록을 포기하기도 한다. 브루클린에 거주하는 한 가족은 "집에서 40분 거리에 있는 보육원에 배정됐는데, 3살 아이를 데리고 매일 아침 거기까지 이동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에 결국 사립 보육 프로그램에 아이를 등록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 학부모들의 정보 접근성 격차도 혼선의 이유로 꼽혔다. 일부 학부모들은 무상 보육 프로그램에 익숙하지 않거나, 신청 시기 등을 잘 몰라서 기회를 놓치기도 한다는 것이다.     시몬 호킨스 시 교육국 유아교육 담당 부국장은 "단순히 자리를 늘리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지역별 수요를 제대로 파악하고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프로그램 지역별 지역별 수요 보육 프로그램 거주 지역별

2025.05.21. 20:5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