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문화산책] 미주한인문학 50년과 ‘지평선’

올해는 미주 한인문학계가 기념해야 할 뜻깊은 해이다. 1973년 미주 최초의 시동인지 ‘지평선’이 발간된 지 50주년이 되기 때문이다. 이 ‘지평선’을 미주한인문학의 출발점으로 잡는데 대부분의 연구자가 동의하고 있다.   그러니까, 우리 미주한인문학이 어느덧 반세기의 연륜을 기록한 것이다. 축하할 만한 일이다. 지난 50년 동안의 문학 활동을 객관적으로 되살펴 보고 정리하고 평가하는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50년의 역사를 꼼꼼하고 균형감 있게 정리한 책도 나왔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갖는다. 문학평론가 이형권 교수의 역작 ‘미주 한인 시문학사’가 있어서 든든하지만, 이 책은 1905년부터 1999년 사이의 시문학 역사를 주로 다루고 있어서 아쉽다.   ‘지평선’은 매우 소박한 시집이다. (아직 사진식자기가 없던 때라) 한글 타자기로 쳐서 수공업적으로 만든 순박한 시 모음집이다. 순박하다는 표현이 잘 어울린다. 그 존재의 의미를 확대 과장할 필요가 전혀 없다.   하지만 이 작고 순박한 동인시집이 갖는 역사적 의미는 결코 만만치 않다. 우리 미주 한인문학도 거기서 출발했다.     정효구 교수(충북대학교)는 이렇게 설명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지평선’은 1940년대 초 만주 망명 문단이 엮은 ‘재만조선인시집(在滿朝鮮人詩集)’ 이후 두 번째로 해외동포 문단에서 발간된 동인지다. 이런 점에서 ‘지평선’은 출간 시기상으로 역사적 의의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1982년 창간한 ‘미주문학’의 모태가 된 것으로도 그 의의를 갖는다.”   ‘지평선’은 모두 4집까지 발간되었는데, 3집은 ‘여류 3인 시집’, 4집은 ‘재미시인선집’으로 꾸며졌다. 창간호부터 4호까지 참여한 문인은 강옥구, 고원, 김병현, 김송희, 김숙자, 김시면, 김진춘, 마종기, 박신애, 박영숙, 석진영, 염천석, 이동익, 이창윤, 임서경, 정용진, 최선량, 최선영, 최연홍, 황갑주, 현묵 등 미주 한 인문학의 기초를 닦은 분들이다.   이미 많은 분이 세상을 떠났다. 산파 역할을 맡아 주도적으로 활약한 황갑주 시인이 지난해 10월에 별세했고, 당시 미주동아일보 편집장으로 일하면서 ‘지평선’ 발간을 도왔던 이선주 목사도 오래전에 하늘의 부름을 받으셨다. 작품으로 참여했던 시인 중에도 살아계신 분이 몇 분 안 된다.   그래서 우리 후학들은 이런저런 기록을 통해 당시의 순박한 열정을 미루어 짐작할 뿐이다. 다행스럽게도 황갑주 시인, 최연홍 시인 등이 부지런히 많은 기록을 남겼고, 관심을 가진 한국 학자들의 논문이 여러 편 있고, 무엇보다도 책이 남아 있어서, 역사를 어느 정도는 정확하게 갈무리할 수 있어 다행이다.   마침 ‘미주한국문인협회(회장 오연희, 이사장 이용우)’가 한국문화원과 함께 ‘지평선’ 50주년을 축하하는 문학 행사를 마련할 예정이라는 소식이다. 당시의 일을 아는 강사를 모셔서 ‘지평선’ 출간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고, 생존한 참여 시인 1~2분을 초청하여 미주 문단 초창기의 회고담을 들으며, '지평선'에 수록된 시를 낭송하는 행사로 꾸밀 계획이라고 한다. 반갑고 고맙다.   아무쪼록 이 행사가 지난 50년의 문단 활동을 정리하고, 앞으로 올 50년의 미주 문학을 설계하고, 그를 위해 지금 당면한 문제 해결에 힘을 모으는 귀한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 미주 한인 문단은 지난 50년 동안 양적으로 크게 성장했지만, 여러 가지 해결하기 힘든 근본적 문제들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아울러, 역사를 기록하고 갈무리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일깨워주는 시간이 되기를 빈다. 50년 후 우리의 후손들이 오늘의 우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살펴볼 수 있으면 더 좋은 일이고….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미주한인문학 지평선 우리 미주한인문학 미주 한인문학계 시문학 역사

2023.09.21. 20:59

썸네일

[김인호의 아웃도어 라이프] 끝없는 지평선, 만발한 생명들

LA에서 북쪽으로 약 3시간 운전거리에 위치한 카리조 대평원은 봄철에 산등성이로 펼쳐지는 야생화로 유명하다. 밝은 햇살과 산들바람이 부는 봄날에는 산등성이를 수놓은 보라색과 노란색꽃들이 장관을 이룬다.   24만6000 에이커 넓이의 카리조 대평원은 LA에서 북쪽으로 100마일 거리인 샌루이스 오비스포 카운티(San Luis Obispo County)에 있다. 위도는 베이커스필드(Bakersfield)와 비슷하며 50마일(80km)의 길이에 폭은 약 15마일(24km)에 달한다.   세계적 농산물 산지인 중부 캘리포니아와 가까운 이곳은 강우량에 따라 산과 구릉의 모습이 달라진다. 어떤 해에는 메마르고 황량해 보이지만 강우량이 충분한 해는 각양각색의 야생화로 물결친다.   2001년 내셔널 모뉴먼트로 지정된 카리조 대평원은 의외로 볼거리가 많다. 평원을 관통하는 소다 레이크 로드(Soda Lake Road)를 따라 듬성듬성 보이는 각종 야생화 군락들이 방문객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소금 호수인 소다 레이크는 연중 대부분 메마른 땅에 하얀 가루로 뒤덮여 있다. 하지만 비가 오는 봄철에는 근처의 모든 물줄기가 이곳으로 흘러들면서 드넓은 지역에 물이 가득 찬다. 그리고 덩달아 호수 주변으로 각종 야생화들이 활짝 피어 오른다.   소다 레이크를 자세히 즐기려면 직접 호수 주변을 걸어 볼 수도 있고 룩오버 힐(Lookover Hill)에 올라 위에서 호수 전체를 내려다 볼 수도 있다.   이 지역은 기원전 2000년부터 추매시(Chumash) 원주민들의 거주지였다. 예약으로만 입장 가능한 페인티드 록(Painted Rock)에 그려진 바위문양을 통해 그들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다.   그리고 이곳 대평원 가운데로 샌 안드레아 지진대가 지나간다. 직접 눈으로 깊이 패인 골을 확인 가능하고 항공 사진으로 보면 그 자국이 더욱 뚜렷이 나타난다.   카리조 대평원은 동쪽으로 텀블러 산맥(Temblor Range)이 서쪽으로 칼리엔테 산(Caliente Mountain)이 있다. 텀블러 산맥을 지나는 엘크혼 로드 주변은 산등성이가 총천연색의 수퍼블룸 물결을 이룬다. 단지 부분적으로 깊이 패인 비포장 도로여서 바닥이 높은 SUV나 트럭이 필요하다.   소다 레이크 남쪽에 있는 트레버 랜치(Traver Ranch)에는 목축업자들이 쓰던 농기구를 전시해 놓았다.   랜치 뒤편으로 비포장 산길을 들어서면 칼리엔테 산등성이로 오르게 되는데 온갖 야생화들이 지천으로 피어 오른 풍경이 나타난다.   꽃이 만발하고 끝없는 지평선이 펼쳐지는 무릉도원과 같은 곳에서 피크닉을 즐기거나 자유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도 제법 있다.   남북으로 도로가 관통하는 카리조 대평원은 166번 국도를 통해 남쪽에서, 58번 국도를 따라 북쪽에서 들어가는 길이 있으며 LA에서 출발한다면 총 여행 시간은 8 ~ 9시간 정도 소요된다.   카리조 대평원을 방문하면서 58번과 166번 국도 주위로 넓은 아몬드(Almonds),  피스타치오(Pistachio), 포도, 오렌지 농장을 볼 수 있다. 피스타치오의 경우 미국의 생산량 90%가 이곳에서 난다고 한다.   또한 33번 국도를 따라 끝없는 오일필드가 나타난다. 1시간을 달려도 이런 장면이 계속되는 것을 보면서 캘리포니아의 풍성한 자원을 새삼 실감하게 된다.   겉으로 황량하고 메말라 보이는 카리조  평원은 이방인에게 생소한 땅이다. 하지만 생명이 가득한 초장과 푸근한 지평선을 보면서 무엇인가에 이끌려 옛날을 그리워하는 향수를 느끼게 하는 곳이다.   2023년에는 카리조 평원과 58번 국도를 따라 화사한 야생화 수퍼 블룸 물결이 일어났다. 긴 운전이긴 하지만 LA에서는 당일 여행으로 좋은 장소이다.   김인호씨   지난 20년간 미주 중앙일보에 산행 및 여행 칼럼을 기고하였으며 유튜브 채널 '김인호 여행작가'를 운영하고있다.김인호의 아웃도어 라이프 지평선 생명 각종 야생화들 이곳 대평원 소다 레이크

2023.04.27. 20:14

썸네일

[시로 읽는 삶] 미래, 차가운 지평선

노인을 본다/ 나의 미래를 본다/ 섬뜩하다// 옆에 있는 미래를 보고도/ 현재는 변하는 게 없다// 미래가 후회하는 과거를/ 현재가 살아가고 있다// 사라진 다음 후회하지 말거라// 아버지는 과거에 대해 말한 거지만/ 미래에 대해 말한 것// 과거를 바꾸기 위해 미래에서 날아온 사람처럼 아버지가 서 있다    -하상만 시인의 ‘당신은 미래에서 온 사람’ 전문       미래는 밝고 환한 저편 어디쯤의 무지개인 줄 알았다. 미래는 꿈이라는, 희망이라는 깃발을 들고 기필코 다다라야 할 고지인 줄만 알았다. 미래는 삶의 방향성만을 놓고 보더라도 현재라는 고단함을 지나 한 번쯤 꽃피워보고 싶은 낙원의 한쪽이지 않았던가.   이제 나에게 미래란 노인의 자리라니. 시를 읽는 마음이 편치 않지만 그럼에도 이는 명백한 사실이어서 담담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수많은 내일, 미래를 향해 걸어왔다. 미래라는 언덕 위에 이르면 뭔가가 나를 기다리고 있을 것만 같아서 그 미래를 바라보며 현재를 이겨내곤 했다. 기대치에 미치거나 못 미치거나 미래라는 영역은 언제나 뜨거운 삶의 동력이 되곤 했었다.   나에게 미래가 노인일지라도 미래라는 말을 버리고 싶지는 않다. 미래가 없었더라면 삶은 얼마나 아득하고 황막했었을까. 미래라는 전조등을 켜고 여기까지 살아왔을 테니까. 노인이라는 단어의 내부를 바꿔 줄 활력을 찾을 수 있다면 미래는 여전히 빛나는 삶의 저편일 것이다.     연극동네에 ‘방탄 노년단’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고 한다. 노익장을 과시하며 왕성하게 연극무대를 누비는 원로 배우들이 많아지면서 생긴 말이라고 한다. 나이에 주눅 들지 않고 활발하게 사는 노년들에 대한 존경의 뜻으로 20~30대들이 붙여준 이름이라고도 한다.   일전에 한 지상파 뉴스매체를 통해 ‘방탄 노년단’을 소개하는 영상을 보게 되었다. 세분의 배우들을 소개하며 그들의 활약상을 보여주었는데 그 중 한 분은 신구 선생이다. 87세의 나이로 왕성하게 스크린과 연극무대에 선다. 또 한 분은 박근형 배우다. 83세의 나이로 최근 영화 ‘리멤버’를 개봉했다고 한다. 한 분은 79세로 아카데미 TV 부문 남우조연상의 화려한 이력을 지닌 오영수 배우다. 연극은 물론이거니와 패션잡지에 힙합 스타일의 옷을 입고 화보를 찍기도 한다. 나이라는 개념 자체가 바뀌어 가는 분기점에 이른 것 같기도 하다.     사람을 늙지 않게 하는 중요한 조건은 역할이라고 한다. 뭔가 할 일이 있다는 것은 나이에 상관없이 활력소가 된다. 관건은 노인들 스스로 의미와 가치를 찾아내는 일일 것이다. 좋아하는 일에 매진하는 진취성을 잃지 말고, 다가오는 시대의 물결을 감각하려는 노력, 끝까지 독립적으로 살아가려는 의지 같은 것들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 같다.   나이는 아무 죄가 없다. 나이를 먹으면서 쇠퇴하는 인지 감각과 육체의 노쇠가 문제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즈음에는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스스로의 노력으로 몸과 정신의 건강을 잘 지켜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작고하신 소설가 최인호 선생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착지다”라는 말을 했다. 착지란 각종 기량을 보여준 체조선수가 안전하고 멋지게 경기를 마무리하는 안착의 기술을 말한다. 노년이란 인생의 착지 기간이다. 화려한 전성기를 누리다가도 착지 때에 기우뚱해서 인생을 망치는 경우를 종종 본다.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자기 보폭을 유지하며 흔들리지 말고 최선을 다하는 일이야말로 고난도의 착지 기술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조성자 / 시인시로 읽는 삶 지평선 미래 내일 미래 방탄 노년단 원로 배우들

2022.11.08. 17:3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