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스코키 올드오차드몰 지형 변화

스코키 올드 오차드 쇼핑몰에 새로운 상점들이 잇따라 입점하고 있다. 가을에는 더욱 다양한 상점들이 오픈할 계획이다.     한인 밀집 지역에서 가까운 시카고 북부 서버브 스코키의 올드 오차드 쇼핑몰은 최근 큰 변화를 맞고 있다.     기존에 영업을 하던 블루밍데일이나 로드 & 테일러 등의 대형 백화점들이 쇼핑몰에서 철수했지만 대신 소형 업체들이 속속 입점을 하면서 쇼핑몰의 지형을 바꾸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새롭게 오픈한 업체들 중에서는 가구나 홈 인테리어, 매트리스, 아웃도어 의류 등이 포함돼 있다. 또 일리노이 주에 공장을 두고 전기 차량을 생산하는 업체와 일본 라면 식당은 다음달 오픈할 계획이다.     올드 오차드 쇼핑몰을 소유하고 있는 유니베일-로담코-웨스트필드사에 따르면 지난 5월에는 매트리스 판매 업체인 템퍼-피딕이, 7월에는 스위스의 수제 초콜렛 판매업소 레더라(Laderach), 8월에는 아웃도어 의류 업체인 아크테릭스(Arc’teryx)가 차례로 문을 열었다.     또 로드 & 테일러 백화점 자리에는 지난 5월 패션 브랜드 자라가 입점했고 가구점인 아르하우스는 6월에, 홈 퍼니싱 소매점인 파터리 반은 8월2일에 오픈했다.   향후 입점 계획이 있는 업체들로는 일리노이 블루밍데일에서 SUV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는 리비안과 일본 라면 전문 업체인 우마카 라멘 등이 포함돼 있다.     현재 올드 오차드 쇼핑몰에는 노드스트롬 백화점과 애플스토어, 마지아노 리틀 이태리, 영화관 등 100개 이상의 업체가 입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올드 오차드 쇼핑몰에는 고급 아파트 건설도 예정돼 있다. 기존 블루밍데일 백화점이 있었던 곳에 최대 675세대의 아파트가 건설될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스코키 시의회는 이르면 다음달 이런 계획안을 승인할 계획이다.     나일스의 골프와 밀워키길에 위치한 골프밀 쇼핑센터 역시 4억4000만달러의 세수증대지구(TIF) 지정을 통해 300채 규모의 고급 아파트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Nathan Park 기자지형 변화 지형 변화 올드 오차드 테일러 백화점

2024.08.22. 13:47

썸네일

출라비스타 서부해안 지형 바뀐다

샌디에이고카운티 사우스 베이 일대의 지형을 완전히 바꿔놓게 될 새로운 대형 프로젝트인 '아마라 베이'(Amada Bay) 프로젝트가 본격 추진된다.   존 맥켄 시장을 비롯한 출라비스타 시정부와 로컬 재계 그리고 시공사인 퍼시피카(Pacifica) 사의 주요 관계자들은 지난달 26일 '아마라 베이'(Amara Bay) 건설현장에서 성대한 기공식을 갖고 이 프로젝트의 시작을 널리 알렸다. 샌디에이고 카운티 제 2대 도시인 출라비스타의 서부 해안지역 35에이커를 새로운 주거 및 상업지구로 개발케 될 이 프로젝트는 2026년 중반 완공을 목표로 삼고 있다.   총 10억 달러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보이는 이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출라비스타 서부 해안가는 1500여 유닛의 고급 주거용 콘도와 40만 평방피트 규모의 사무실 및 커머셜 공간 그리고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편의시설과 공원 등을 완비한 럭셔리한 커뮤니티로 거듭 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아마라 베이의 부지는 현재 한창 건설 중에 있는 '게이로드 퍼시픽'(Gaylord Pacific) 부지와 바로 인접해 있어 이 두 프로젝트가 모두 완공되면 출라비스타 서부 해안지역은 샌디에이고시 다운타운과 유니버시티시티 지역에 못지 않은 제 3의 새로운 도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관계자들은 전망하고 있다. 게이로드 퍼시픽은 1600여개의 개실을 갖춘 호텔과 40만 평방피트에 이르는 컨벤션 공간 등을 포함하는 대형 건설 프로젝트로 현재 전체 공기의 50% 정도가 진행됐고 내년 중반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존 맥켄 시장은 이날 "아마라 베이는 출라비스타시를 중심으로 하는 샌디에이고 카운티 사우스 베이 지역을 발전시키는 경제 원동력이 될 것으로 확인한다"고 말했다. 또 샌디에이고 항만위원회의 다니엘 무어 부위원장은 "지난 수년간의 서류 작업과 회의 끝에 이제 원대한 계획이 실현돼 가는 것을 직접 목격하게 돼 정말 기쁘다"고 감격해 하기도 했다. 김영민 기자서부해안 지형 아마라 베이의 샌디에이고카운티 사우스 샌디에이고 카운티

2024.07.04. 18:00

썸네일

[대입 들여다보기] 대입 지형 바뀔수록 명확한 목표 중요…전공 선택 돕는 HAB 시험 이용도 도움

〈하이랜즈 어빌리티 배터리〉   대학 입시 지형이 해마다 조금씩 진화하면서 현재 11학년생들은 다가오는 입시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마음이 복잡하다.     에세이와 추천서, 성적증명서 등 대입 원서에 들어가야 할 모든 아이템을 점검하기 앞서 입시와 관련된 명확한 목표를 나에게 맞게 설정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다.     그렇다면 입시 목표를 세우기 위해 어떤 단계를 거쳐야 할까?     첫째, 전공을 생각하는 것이다.     대학에서 무엇을 공부하고 싶은지 아직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했더라도 대략적인 전공을 정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학에서 나의 학업 생활이 어떤 모습일지 리서치를 통해 탐험할 필요가 있다. 9학년 때만 해도 대학 전공에 대해 감이 잡히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10학년, 11학년을 거치면서 나의 강점과 약점이 무엇이고, 어떤 것을 공부할 때 더 큰 흥미를 느끼는지 서서히 윤곽이 드러나게 된다. 잠재적인 전공을 일찍 생각할수록 고등학교에서 수업 스케줄을 짤 때도 도움이 된다. 가능한 미래의 전공과 연관된 수업을 더 많이 듣고, 강도 역시 더 높은 것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꼭 기억해야 할 점은 고등학교에서 들은 수업의 과정과 결과가 전공 선택에 직접적으로 반영돼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대학에서 영문학 전공을 하고 싶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나 다른 과목에서 대체로 A를 받은 데 비해 영어 수업에서 지속적으로 B를 받는다면 어떨까. 전공을 영문학이 아닌 다른 분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하이랜즈 어빌리티 배터리(Highlands Ability Battery·HAB)’처럼 전공 선택을 도와주는 평가시험이 있다. 이 시험을 치러보면 내가 타고난 재능이 무엇이고, 어떤 전공이 나에게 가장 잘 맞을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런데 ‘전공 미정(undecided)’으로 대학에 지원한다면 어떨까?     이것도 가능하긴 하지만 대입 에세이를 쓸 때 학업적으로 내가 무엇에 흥미를 강하게 느끼는지 묻는 질문에 인상적으로 답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다만 대학에 입학해 여러 수업을 들으며 탐험의 시간을 가진 뒤 전공을 정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 이 방법이 나쁘지 않을 수 있다.     고등학교 때 전공을 정하면 과외활동 역시 미래의 전공과 연관된 것으로 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호학을 전공하거나 프리메드 트랙을 밟고 싶다면 고등학교 시기에 병원에서 꾸준히 봉사를 하거나 닥터 섀도잉(shadowing)을 하는 등 관련된 분야에서 과외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내가 하고자 하는 전공 프로그램이 강력한 대학 위주로 원서를 넣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대학 캠퍼스를 방문하고 칼리지 페어에 참석하는 것이다.     11학년 봄학기 또는 12학년 직전 여름방학 때 관심 있는 대학 방문을 계획해 보자.     직접 방문도 좋고, 상황이 안 된다면 컴퓨터로 가능한 버추얼 투어(virtual tour)도 좋다. 또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리소스를 활용해서 칼리지 페어에 참석하고, 자격이 된다면 일부 대학이 관심 있는 고교생들을 초청해 학교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는 ‘플라이인(fly-in)’ 프로그램에 지원해보라.     셋째, 관심 있는 대학들의 이메일 리스트에 등록하고, 소셜 미디어 어카운트를 팔로우하는 것이다. 일부 대학은 지원자가 대학에 얼마나 진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입학 심사에 반영한다. 관심 증명을 입학 사정에서 고려하지 않는 대학이라고 해도 내가 지원하고 싶은 대학의 최근 소식과 행사를 꾸준히 업데이트한다면 지원자로서 동기 부여가 될 것이다.     또한 입시의 한 항목으로서 인터뷰를 하더라도 해당 대학에 대해 자세히 안다면 인터뷰어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니어 직전 여름방학을 현명한 기회로 삼는 것이다.     지원자로서 여름을 어떻게 보내는 것이 입시에 효과적으로 작용할지 생각해보라. 나의 학업적 강점을 증명할 수 있는 수업을 듣거나, 리서치나 개인 프로젝트 등을 통해 전공 관련 지식을 함양하거나, 파트타임 일을 하거나 인턴십을 하는 등 다양한 계획을 세워보자.     ▶문의:(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대입 들여다보기 대입 지형 대학 전공 전공 선택 전공 프로그램

2024.02.18. 18: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