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가 2024~2025회계연도 비자 인터뷰 건수를 전년대비 100만 건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29일 밝혔다.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은 이날 지나 러몬도 상무부 장관과 ‘외국인의 미국 여행 관련 대언론 발표’를 통해 역대 최다였던 2023~2024회계연도보다 더 많은 비자 인터뷰를 이번 회계연도에 진행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2023~2024회계연도의 비자 인터뷰 건수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외국인에 대한 미국의 비자 발급 건수가 2023~2024회계연도에 1150만건으로, 역대 가장 많았다고 전했다. 이 가운데 방문비자는 직전 회계연도 대비 10% 늘어난 850만건이었다고 설명했다. 블링컨 장관은 2026년 축구 북중미월드컵, 2028년 LA 여름올림픽 및 패럴림픽, 2031년 럭비 월드컵 등 앞으로 미국에서 열릴 대형 스포츠 이벤트와 관련해 미국을 찾을 사람들이 제때 비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러몬도 상무장관은 “여행·관광 산업은 미국인 일자리 1000만개와 2조3000억 달러 규모의 경제 활동을 지원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작년 미국 방문자가 재작년 대비 크게 늘어난 6600만명에 달했다”며 미국의 관광.여행 산업이 코로나19 여파에서 완전히 벗어났으며, 2026년 미국 방문객 9000만명 시대에 돌입하기 위한 궤도에 올라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비자를 받아 미국에 오는 것이 더 쉽고 빠르고 간소하도록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인터뷰 상무장관 인터뷰 건수 직전 회계연도 이번 회계연도
2024.10.29. 21:14
올해 뉴욕시에서 ‘싱크홀(Sinkhole)’이 급증해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뉴욕시 환경보호국(DEP)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21~2022회계연도에 총 3921개의 싱크홀이 발생해 직전 회계연도 2839개 대비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싱크홀은 일정 규모 이상의 땅이 내려앉아 웅덩이나 구멍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발생 원인으로는 주로 장마, 폭우 등으로 인한 지반침하 등이 있다. 빗물이 아스팔트 포장면 하부에 스며들면서 땅이 내려앉아 싱크홀이 발생하게 된다. 로히트 아가왈라 뉴욕시 환경보호국장은 노후된 수도관의 균열이 뉴욕시에서 싱크홀이 급증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 지역의 수도관들은 뉴욕시의 일반적인 표준인 시간당 약 1.75인치의 강수량을 처리하지 못하고 있어 문제로 작용한다고 강조했다. DEP는 지난해 허리케인 헨리(시간당 1.94인치)와 허리케인 아이다(시간당 3.1인치)의 폭우로 곳곳에서 싱크홀이 발생하는 등 큰 피해를 입은 만큼, 수도관 내부에 새 라이닝을 설치해 피해를 막을 계획이다. 심종민 기자회계연도 싱크홀 뉴욕시 환경보호국장 뉴욕시 싱크홀 직전 회계연도
2022.08.22. 20:06
2020~2021회계연도에 한국인이 취득한 영주권은 총 1만2236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8~2019회계연도 1만8479건, 2019~2020회계연도 1만6244건에서 크게 감소한 것이다. 2011년 2만2000여건, 2013년 2만3000여건 등으로 꾸준히 연 2만 건을 넘던 한국인 영주권 취득은 2015년부터 1만 건대로 내려간 후 매년 더 감소했다. 이번 급감은 2020년 3월 팬데믹 발생 후 해외공관과 이민서비스국(USCIS) 폐쇄와 업무 지연 등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주한 미대사관은 폐쇄 4개월 후에야 부분적으로 업무를 재개했었다. 국토안보부(DHS)가 지난달 25일 발표한 2020~2021회계연도 영주권 발급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중 한국인이 취득한 영주권은 총 1만2236건으로 나타났다. 다른 해보다 신분조정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나 5건 중 4건이 미국내 신분조정을 통한 취득이었다. 주한 미대사관 등 해외공관을 통한 영주권 취득이 2758건, 미국내 신분조정을 통한 영주권 취득이 1만154건으로 나타났다. 단, 분기별 발급건수는 1~3분기 중 각 분기별 2000~3000건 수준에서 4분기에는 4165건을 기록해 다음 회계연도 회복을 예상케 했다. 지난 회계연도 한인의 시민권 취득은 1만4827건으로 팬데믹의 직격탄을 맞은 직전 회계연도의 1만1350건보다는 크게 늘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18~2019회계연도의 1만6298건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한편, 2020~2021회계연도 전체 영주권 발급건수는 총 74만2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회계연도의 70만7362건보다 3만2000여건 증가한 것이지만, 2018~2019회계연도의 103만1765건에 비해 30% 가까이 적은 수준이다. 단, 분기별 발급 건수가 13만건, 14만건, 18만건으로 증가하면서 4분기(2021년 7~9월)에는 28만2199건이 발급돼 팬데믹 이전 분기 평균(27~28만건)을 회복했다. 이중 22만7206건(30.7%)이 해외공관 취득, 51만2796건(69.3%)이 미국내 신분조정이었다. 전체 영주권 취득 중 절반 이상(38만5396건)은 미 시민권자의 직계가족 사례였다. 다음으로 취업 기반 영주권이 19만3338건, 가족 초청 영주권이 6만5690건으로 각각 26.1%, 8.9%를 차지했다. 팬데믹 직후였던 2019~2020회계연도 3분기(2020년 4~6월)의 경우 7만9000건의 영주권이 발급돼 분기 최저치를 기록했었다. 장은주 기자 [email protected]회계연도 영주권 2021회계연도 영주권 영주권 취득 직전 회계연도
2022.04.05. 20:43
워싱턴지역 주민들이 텔레마케팅과 로보콜 전화에 가장 많이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최근 공개한 2021회계연도의 인구 10만명당 텔레마케팅과 로보콜 관련 불만전화 건수가 메릴랜드의 경우 2028건으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델라웨어가 1982건으로 2위, 애리조나가 1945건으로 3위, 콜로라도가 1943건으로 4위, 버지니아가 1939건으로 5위를 기록했다. 노스 다코타는 639위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메릴랜드는 2017 회계연도에 2486건으로 2018 회계언도 2102건으로 9위, 2019회계연도 2154건으로 5위, 2020회계연도 1646건으로 3위에 오르는 등 순위가 계속 상승해왔다. FTC는 로보콜 방지를 위해 ‘두낫콜(Do Not Call Registry)’ 제도를 운영하며 처벌을 강화하고 있으나 법망의 헛점을 이용한 상업성 전화가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치광고와 비영리재단, 자선단체 전화와 최근 18개월래 거래한 비즈니스의 경우 두낫콜 리스트에서 배제하고 있기 때문에 뿌리 뽑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FTC는 이번 회계연도에 모두 500만개의 불만신고가 접수됐다고 전했다. 직전 회계연도에는 390만개였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불만 관련 불만전화 직전 회계연도 이번 회계연도
2021.12.19. 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