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IL 우박 피해 급증, 집보험 3년간 50% ↑

시카고를 포함한 중서부 지역에서의 우박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보험사들은 우박 피해로 인한 보험료 지급이 늘고 있다며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주의회에서는 보험료 인상을 규제하는 법안을 상정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우박 발생이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 결과는 이미 학계에서는 널리 인정받고 있다. 기후변화로 대기 중의 기온이 상승하면 우박이 발생하는 조건을 쉽게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우박의 크기 역시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우박이 떨어지면 주택 피해 역시 피할 수 없게 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일리노이에 본사를 둔 스테이트팜사의 자체 집계 결과 일리노이는 2024년 기준 텍사스주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우박 피해 보험료 지급이 많은 지역으로 꼽혔다. 전국적으로도 작년 우박으로 인한 주택 피해는 60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리노이 주택 소유주의 1/3이 스테이트팜사에 집 보험을 가입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보험료 인상 여파는 대부분의 주민들에게 끼쳤다. 스테이트팜사는 8월 15일 이후 일리노이 주택 보험료를 평균 27% 이상 인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주택당 연간 추가 보험료 750달러를 부담해야 하는 수준이다. 작년 기준 일리노이에서만 스테이트팜사는 보험료 1달러당 1.26달러를 지급해 큰 손실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보험료 인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올스테이트 역시 올해 초 일리노이 평균 주택 보험료를 14% 올린 바 있다.     일리노이 주택 소유주들은 지난 3년 동안 주택 보험료가 50% 이상 올랐다. 평균 보험료가 연간 2000달러에서 3000달러로 오른 것이다.     이에 주의회에서는 보험료 인상을 규제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현재 주의회에 상정된 법안은 보험사가 보험료를 10% 이상 올릴 시에는 인상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보험료로 임원진에게 보너스를 지급하지 못하고 정치인 후원에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높은 보험료로 고통받는 주민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금 마련도 모색키로 했다. 아울러 다른 주와 마찬가지로 보험료 인상을 심사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Nathan Park 기자집보험 우박 우박 피해 보험료 인상 급증 집보험

2025.08.15. 13:29

썸네일

[부동산 이야기] 만일을 대비하는 집보험

집을 소유하게 되는 경우 관련 보험의 종류는 생각보다 많다. 현금으로 사지 않고 은행에서 융자를 얻어 사게 되면 담보물의 보호를 위해 은행에서 융자를 주는 조건으로 보험 커버리지를 어느 수준으로 할 것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게 된다. 이는 만약의 경우로 집이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파손되었을 시 새로 동일한 수준의 건축을 할 때 드는 비용은 충분히 커버되게끔 하자는 목적이다.     하지만 예외가 되는 경우들이 의외로 많다. 대부분의 자연재해, 지진이나 홍수 등등의 경우는 커버가 안 되므로 따로 추가 보험을 들어야 하고 또는 집의 관리 부실로 인한 파손은 커버해주지 않는다. 전쟁으로 인한 파손도 커버되지 않는다. 한마디로 화재나 도둑을 맞는 경우가 대표적으로 커버가 되는 예이며 만약 프로퍼티가 위치한 곳이 홍수 지역이거나 지진대로 구분이 되어 있다면 홍수 보험, 지진 보험을 추가로 드는 것이 도움될 수 있다. 이는 에스크로 중에 주고받게 되는 서류 중 하나인 NHD(Natural Hazard Disclosure) 리포트에 보면 본인의 프로퍼티가 어떤 자연재해에 해당이 되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건물 자체의 파손 시 충분한 커버리지는 이처럼 모기지 융자를 받는 경우라면 은행에서 요구하는 최소한도가 있다 보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대부분 가입하게 된다. 하지만 건물 이외의 사유 재산, 가령 전자기기, 가구, 의류, 보석류 등은 본인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커버리지를 택해야 하기도 한다. 만일 최대한도 커버리지로도 충분치 않다면 추가로 보험(personal article insurance)을 가입하는 것이 좋다. 또 많은 경우 간과하는 것이 책임 부분의 커버리지인데 가령 우리 개가 이웃을 물었다던가, 우리 집에 누가 놀러 왔다가 다치는 경우, 또한 우리 아이가 다른 곳에 가서 물건을 파손한 경우라 하더라도 이 책임에 관한 커버리지를 사용할 수 있겠다. 또한 이럴 때 손해에 관한 소송을 받게 될 경우 커버리지가 너무 낮게 되어있으면 배상을 하는 충분한 액수가 되지 않고 그럴 경우 개인적으로 나머지를 배상해내야 하므로 오히려 책임에 관한 부분 커버리지는 집의 현재 가치에 준하는 정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커버리지들을 포함하는 본인이 거주하는 집 보험의 경우가 이처럼 대략 나뉘어 구성됐지만 본인이 거주하지는 않는 세를 준 렌탈 프로퍼티라고 한다면 여기에 대한 필요 커버리지는 당연히 좀 더 달라진다. 반드시 세입자로 하여금렌터스 보험 (renter''s insurance)을 반드시 가입하게 하고 거기에 특히 책임에 관한 커버리지는 집의 현재 가치에 준하는 수준으로 들게끔 하며 집주인이 세입자 보험의 2차 보험 가입자로 명시되게 해놓을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만일 세입자의 개가 이웃을 물었거나 누가 놀러 와서 다쳤을 경우, 세입자 보험을 1차로 클레임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인이 거주하는 단독주택 보험, 혹은 콘도 보험 아니면 본인이 세를 준 렌탈 프로퍼티 단독주택보험이나 콘도 보험, 또는 본인이 세입자인 경우 렌터스 보험 그리고 타운홈이나 콘도일 경우는 HOA에서 들어있는 전체 건물에 관한 보험까지, 하나의 프로퍼티에는 아주 많은 종류의 보험이 필요할 수 있다.   그에 대한 적절한 커버리지를 가졌는지 등을 정기적으로 리뷰하고 보완하는 것이 도움 된다. 본인이 어떠한 커버리지로 유사시를 대비해 보호받을 수 있는 준비가 되어있는지 아니면 부족하거나 빠진 것이 없는지 보험 에이전트에게만 맡기지 말고 함께 리뷰할 것을 권한다.   ▶문의: (661)675-6000     윤 킴 / Seeders Investment, Inc. 대표부동산 이야기 집보험 자연재해 세입자 보험 보험 가입자 홍수 보험

2022.07.27. 16:5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