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우범지역이 전쟁터보다 더 위험하다는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시라크’(Chiraq)가 어떤 정도인지 알려주는 데이터다. 최근 의학 저널 JAMA Network Open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시카고 훔볼트 지역을 포함하는 집코드에 거주하는 청년층이 강력 사건으로 숨질 가능성은 전쟁터였던 이라크와 아프카니스탄에서 병사가 사망할 확률보다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빗대 수 십 년 전부터 시카고와 이라크를 합친 ‘시라크’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은 시카고와 뉴욕, LA, 필라델피아의 치안 상태를 전쟁터와 비교했다. 그 결과 시카고의 집코드 60624에서는 지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18세부터 29세 사이의 청년층 10만명당 1277명이 총기 사고로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라크 전쟁에서 숨진 병사 숫자가 10만명당 675명인 것과 비교하면 거의 두 배 가량 높은 수치다. 60624뿐만 아니라 시카고에서 치안 상태가 가장 불안한 지역 10%의 집코드로 범위를 확장하더라도 아프카니스탄과 이라크 전쟁터에 비해 총기 범죄로 인한 사망자가 더 많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시카고뿐만 아니라 필라델피아 우범 지역 역시 전쟁터에 비해 살인 사건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시카고가 필라델피아에 비해 치안 상황은 더 나쁜 것으로 드러났다. 역사적으로 봐도 최근 집코드 60624의 살인 사건 발생은 가장 치안이 불안했던 때로 꼽히는 1970년대와 1990년대와 비교해 봐도 인구당 총기 사건 발생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논문을 공동 집필한 브라운대학의 연구원 브랜든 델 포조에 따르면 “연구를 진행한 도시를 살펴보면 젊은 흑인과 히스패닉 주민들은 전쟁터에 살고 있는 것보다 더 높은 가능성으로 총격 사건으로 숨지거나 부상을 입을 수 있었다. 흑인과 히스패닉이 희생자의 96%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았다"며 “시카고와 필라델피아는 공통점이 있었는데 그것은 인종별로 분리되어 거주하는 비율이 높았다는 것과 폭력 역시 더 집중돼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었다"고 강조했다.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역한 군인들이 겪는 외상후증후군(PTSD) 치료와 같은 대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쟁터에서 겪은 트라우마로 군인들이 노숙자로 지내거나 이혼과 알콜 중독, 약물 남용 등의 정신적 질병을 앓는 것과 마찬가지로 시카고 우범지역에서 거주하는 젊은층 역시 정신 건강이 악화됐기 때문에 이는 곧 건강 위기라는 것이다. 한편 오는 28일 치러지는 시카고 시장 선거에서도 치안은 중요한 이슈다. 로리 라이트풋 시장은 지난해 시카고의 살인사건이 14% 감소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치안이 개선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윌리 윌슨 후보는 자신의 아들 역시 총격 사고로 사망했다며 “경찰이 범죄자들을 토끼몰이 하듯이 추적해야 한다”고 강경한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Nathan Park 기자집코드 이라크 전쟁터 시카고 우범지역 최근 집코드
2023.02.07. 14:13
LA시를 비롯해 패서디나, 샌타모니카, 벨가든 등 지역별로 다른 렌트비 관련 규정과 인상률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가 가동돼 눈길을 끈다. 가주세입자보호연합은 5일부터 집코드(Zip code)를 입력하면 새로 바뀐 세입자 보호 규정을 알려주고 최대 렌트비 인상률을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가동한다고 발표했다. 일명 '렌트비 계산기'로 불리는 이 웹사이트는 지난 2019년 세입자 보호 및 권리 확대를 위해 제정된 ‘렌트비 규제법(AB 1482)’에 따라 제작된 것으로, 도시마다 다른 렌트비 인상률로 인해 세입자들이 혼동하지 않도록 매년 몇 퍼센트의 렌트비가 올랐는지, 임대료 인상이 통제 정책을 초과하는지 등을 알려준다. 한 예로 벨가든 시의회는 지난 8월 연간 렌트비 인상을 지역 소비자물가지수(CPI)의 50%로 제한하는 임대료 안정화 조례를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 조례안에 따르면 물가상승률이 더 높아도 인상률은 4%로 제한된다. 포모나 시도 임대료 상한선을 4% 또는 소비자물가지수 변동으로 설정했다. 반면 샌타애나 시는 렌트비 인상을 연간 3%로 제한하고 있다. AB1482는 이처럼 도시마다 자체적으로 규정한 렌트비 관련 조례를 몰라 세입자가 불이익을 받지 않게 하고 있다. 이외에도 렌트비 규제 대상 건물을 대폭 확대하고 퇴거 조항을 강화해 건물주나 집주인이 함부로 세입자를 쫓아내지 못하도록 보호한다. 가주지역사회자율연합(ACCE) 리아 사이먼-와이즈버그 이사는 "정확한 정보는 세입자 보호를 시행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라며 "집코드로 렌트비 증가율을 확인함으로써 세입자들이 보다 정확하고 자세하게 상황을 알아보고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북가주 안티오크시의 라마르 소프 시장은 "렌트비 통제 조치를 수도요금 청구서에 포함하거나 소셜 미디어 캠페인을 통해 알리는 등 렌트비 상한선에 대한 대중 인식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렌트비 계산기는 가주 세입자 보호 연합 웹사이트(tenantprotections.org/calculato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예진 기자집코드 렌트비 렌트비 인상률 렌트비 계산기 렌트비 규제법안
2022.12.09. 21:11
지진에 대비해 주택을 보수하는 주민들은 최대 3000달러의 그랜트를 받을 수 있다. LA타임스는 가주 500개의 집코드 주민들은 주정부 프로그램 ‘지진 브레이스+볼트(Earthquake Brace+Bolt·EBB)’를 신청해 지진 대비 주택 보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고 20일 보도했다. 해당 지원금은 ‘리트로핏(Retrofit)’이라는 작업을 위해 제공된다. 이는 지반과 주택의 바닥 프레임을 볼트로 고정하는 것을 뜻한다. 지진으로 집이 땅에서 미끄러지거나 지반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목적으로, 남가주에서는 이 작업에 평균 3000~5000달러가 든다. 신청 마감은 다음 달 29일까지다. 원하는 주민들은 웹사이트(earthquakebracebolt.com)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LA한인타운 지역인 90004, 90005, 90006, 90019, 90020 등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신청 자격이 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지난 1971년 실마 지진부터 2014년 나파 지진에 이르기까지 여러 캘리포니아 지진 가운데서 이런 보수 작업을 하지 않은 주택 소유자들의 피해가 컸다. 보통 지반과 건물 하단 사이에는 크롤 스페이스를 만드는 짧은 ‘크리플 벽(cripple wall)’이 있다. 하지만 이 부분이 종종 땅에 단단히 고정돼있지 않아 지진 발생 시 건물이 흔들리면서 마치 무릎이 부러진 것처럼 집이 밀려나곤 한다. 가주 내 이런 결함을 가진 주택은 약 120만채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지진에 취약한 건물은 대체로 1980년 이전에 지어진 경우이고, 1940년 이전에 건축된 경우 더 심각한 상태일 것으로 진단했다. 한편, EBB 프로그램은 연방 재난관리청(FEMA)에서 8000만 달러의 자금을 받아 운영된다. 특히 연 소득 7만2000달러의 저소득 주민의 경우 자격이 된다면 리트로핏 작업 비용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다. 장수아 기자지진 집코드 집코드 주민들 보수 작업 주택 소유자들
2022.10.2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