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시카고대 반도체 그랜트 300만불 수령

시카고대학이 미국내 반도체 생산을 위한 그랜트를 받는다.     시카고대학은 최근 성명서를 내고 미국과학재단(USSF)를 통해 그랜트 300만달러를 수령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그랜트는 시카고대학과 아르곤 연구소가 합동으로 미국 내에서 차세대 반도체 생산을 위한 연구 협력 프로젝트에 사용될 예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카고대학과 아르곤 연구소는 학부생과 대학원생, 교수들을 연계해 반도체를 디자인 하고 미국 내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최신 기술을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또 반도체 생산 과정에 투입될 수 있는 인력 양성을 위해 고등학생부터 대학원생들을 교육시키고 이런 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는 것도 포함됐다.     시카고대학은 성명서를 통해 “미국은 반도체 생산을 위한 매우 훌륭한 혁신 디자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생산으로 연결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돼 있지 않다. 반도체 설계가 보다 접근하기 쉽고 연구 성과가 이어진다면 국내 생산은 늘어나고 지역 사회 역시 이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시카고 지역의 대학들은 연방 정부의 예산 감축으로 인해 큰 타격을 받았다. 시카고대학은 내년 학기에 박사 프로그램을 절반으로 줄일 계획이고 노스웨스턴 대학은 직원 400명 이상을 해고한다고 밝혔다.     시카고 남부 하이드파크 소재 시카고 대학은 경제 전문지 포브스(Forbes)가 최근 발표한 ‘미국 최고 대학(Top Colleges)’ 순위에서 전체 13위에 오르며 일리노이 주 소재 대학 가운데는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해외에서 수입하는 반도체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관세가 부과될 경우 전자 제품 뿐만 아니라 반도체의 사용이 많은 자동차와 가전제품 등 필수 제품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Nathan Park 기자시카고대 반도체 반도체 생산 차세대 반도체 반도체 설계

2025.08.29. 12:40

썸네일

[브리프] '엔·달러 환율 1개월래 최저' 외

엔·달러 환율 1개월래 최저   지난달 24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던 엔·달러 환율이 1일(한국 시간) 최근 한 달여 사이 최저 수준으로 내려왔다. 블룸버그·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엔·달러 환율은 이날 장중 한때 달러당 132.07엔까지 떨어졌다. 이는 133.07엔을 기록했던 6월 16일 이후 약 6주 만에 최저치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피습 사망과 집권 자민당의 참의원(상원) 선거 압승 속에 지난달 14일 139.07엔까지 올랐던 것과 대비된다. 엔·달러 환율은 한국 시간 오후 4시 5분 기준 전장 대비 0.788% 하락한 132.22엔을 기록 중인데, 4거래일 연속 하락은 최근 6개월 사이 최장이라는 게 블룸버그 설명이다. 로이터는 최근의 엔화 가치 회복과 관련,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 속에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긴축 정책의 완급을 조절할 가능성에 시장이 베팅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미·일, 차세대 반도체 손잡아   미국과 일본이 외교·상무 장관의 ‘2+2 경제 대화’에서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는 대만 유사시 반도체를 확보하고 반도체 개발을 가속하는 중국을 견제하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미일 정부 합의에 따라 일본 정부는 올해 안에 자국에 미일 차세대 반도체 공동 연구센터를 신설할 예정이다. 이화학연구소와 도쿄대 등이 참가하는 이 연구센터에서는 회로 선폭 2나노(㎚, 10억분의 1m)의 최첨단 반도체를 연구한다. 일본 정부는 2025년 자국에서 양산을 시작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춘다는 목표를 세웠다. 미일 상무·외교 장관은 지난 29일 양자컴퓨터나 인공지능(AI) 실용화에 필요한 차세대 반도체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센터 건립에 합의한 바 있다.브리프 환율 차세대 반도체 반도체 개발 최첨단 반도체

2022.08.01. 19:4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