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결핍의 터널
인도 남부 도시 첸나이의 분주한 채소 시장은 새벽부터 사람들로 가득 찬다. 이 시장에서 채소를 파는 상인들은 아침에 장사를 시작하려면 그날 필요한 채소를 도매시장에서 사와야 한다. 문제는 이들에게 채소를 사 올 목돈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매일 아침 평균 1,000루피를 사채업자에게 빌린다. 그리고 저녁이 되면 1,050루피를 갚는다. 하루 이자만 50루피다. 엄청난 고이자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들이 하루 장사를 마치고 손에 쥐는 순이익이 대략 200루피 정도 된다는 점이다. 이 중에서 50루피를 이자로 지불하고, 남은 150루피로 식비•집세•병원비 같이 당장 필요한 생활비를 충당하며 빠듯하게 살아간다. 이렇게 팍팍한 일상 속에서, 만일 이들이 하루 10루피씩이라도 저축할 수 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열흘만 모아도 100루피가 된다. 그러면 이제 사채업자에게 900루피만 빌리면 되고, 이자 또한 매일 5루피씩 아낄 수 있다. 하루 10루피씩 100일을 모으면 1,000루피가 되어 사채업자의 도움 없이 자기 자본으로 장사를 시작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매일 내던 50루피의 이자를 고스란히 절약해 하루 생활비를 200루피로 늘릴 수도 있다. 하지만 이들은 오늘도 어김없이 사채업자에게 1,000루피를 다시 빌린다. 이유는 여러 가지겠지만, 이들이 이런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을 ‘터널링(tunneling) 효과’라고 부른다. 터널링은 결핍을 느끼는 사람이 눈앞의 급한 문제만을 보고, 당장 해결해야 할 일만 처리하게 되는 현상이다. 자신이 처한 전체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장기적인 해결책을 찾기보다는, 오늘 하루를 대충 버티며 살아왔던 방식으로 계속 살아가는 것이다. 한국의 한 유명 여성 코미디언이 유방암에 걸려 항암 치료 중이라고 한다. 그녀는 늘 바쁘게 살았다고 한다. 그러다 잠깐 시간이 나면 여행 가방을 싸서 곧장 여행을 떠났단다. 쉬어야 할 때 쉬지 못하고, 또 다른 바쁜 여행 일정 속으로 스스로를 밀어 넣으며 더 큰 스트레스를 쌓아왔던 삶을 뒤늦게 후회하고 있었다. 점심시간에 운동을 하고 사무실로 돌아오는 길에 커피를 픽업해 올 때가 있다. 운동을 조금이라도 더 하겠다며 늦게 끝내고 늘 서둘러 커피를 픽업하곤 했는데, 어느 날은 운동을 일찍 마치고 조금 여유 있게 나왔다. 그날따라 길을 건너는 사람들에게 먼저 양보하고, 천천히 여유있게 운전을 하는 나 자신을 보며 깨달았다. 천성이 못된 탓도 있지만, 늘 돈과 시간이 모자라다는 ‘결핍’의 마음가짐이 그동안 나를 조급하고 예민하게 만들고 있었구나 하고 말이다. 결핍은 우리의 시야를 좁히고, 판단을 흐리며, 내일을 위한 선택을 하지 못하게 하는 심리적 터널을 만든다. 결핍의 터널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필요한 것은 대단한 의지가 아니다. 잠시 숨을 고를 수 있는 작은 여유다. 약속시간에 조금 일찍 출발하고, 잠시라도 여유가 생기면 게임을 하거나 유트브를 보는 대신 자신을 돌아보며 생각에 잠기는 것이다. 사람은 혼자 있으면서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넓게 보고, 현명하게 선택할 수 있다. 아무리 돈과 시간이 많아도 누구나 결핍의 터널에 갇힐 수 있다. ‘Stay Hungry’라고 평생 외치다 간 스티브 잡스는 살아 있는 동안 많은 것을 이루었지만 주위 사람들에게 ‘좋은 사람’이라는 말은 듣지 못했다. 일상에서 작은 여유를 만들고, 그 여유를 지키려는 노력이 우리를 터널 밖으로 이끌어 줄 것이다. (변호사, 공인회계사) 손헌수손헌수 활력 심리적 터널 채소 시장 여행 일정
2025.11.20. 1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