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시장에서 인공지능(AI) 관련 역량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전문매체 CNBC는 구인구직 플랫폼 인디드의 연구 보고서를 인용해 생성형 AI를 언급한 채용 공고가 2023년 9월부터 2024년 9월 사이에 3배 이상 증가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기업들이 생성형 AI 도구를 능숙하게 다루거나 자체 대규모 언어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인재를 찾고 있다는 것이다. 채용 사이트 핸드셰이크의 발레리 워크먼 책임은 “특히 테크 분야에서 AI 학위는 매우 중요하며, 학위명에 AI가 들어가면 취업 면접과 인턴십 지원 시 자동으로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 역량은 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정보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요구되고 있다. 카네기멜론 대학교 컴퓨터과학부의 케빈 콜린스 부교수는 “AI 교육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게만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며 “인문학, 사회과학, 순수과학 등 모든 분야의 학생들이 AI 교육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8년 국내 최초로 AI 학사 학위 과정을 개설한 카네기멜론 대학의 숀 맥고완 취업관계 책임자는 “심리학과 사회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진 학생들이 기술적 스킬만 보유한 지원자들보다 더 큰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행히 AI 역량은 반드시 대학 정규 교육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워크먼은 “구글이나 IBM,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등에서 제공하는 무료 온라인 코스를 통해 독학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며 “많은 직무에서는 기본적인 이해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기업들은 지원자가 AI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싶어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취업시장 채용공고 카네기멜론 대학교 취업관계 책임자 기술 분야
2025.02.05. 20:07
세계 최대 한류 이벤트인 ‘케이콘(KCON)’의 채용 공고 논란이 법적으로도 경종을 울리고 있다. 주관사인 KCON USA 측이 진행 요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인종을 특정 〈본지 7월 22일 자 A-3면〉한 것은 타 한인 기업, 업체 등에도 채용 공고 시 주의해야 할 부분으로 지적된다. 지니 강 변호사는 “직무 특성상 필수적으로 연관되는 부분을 살펴봐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언어, 민족 등을 특정하는 것은 자칫 차별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채용 공고 시 조건 등을 주의해서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연방 법무부는 산하에 '이민·직원권리부서(이하 IER)'를 두고 채용공고 등에 따른 위반 사항 조사를 강화하고 있다. IER에 따르면 올해 들어 도미노스피자, 인포소프트 솔루션, 아미가인포메틱스 등 22개 업체가 채용 과정에서 불거진 차별 문제 등으로 벌금 및 민사상 처벌 등을 받았다. 특히 지난 5월에는 연방 법무부가 대대적으로 채용 공고 플랫폼을 조사해 ‘시민권자만 지원 가능’이라고 문구를 내건 10개 업체를 적발, 총 46만4360달러의 벌금을 부과하고 합의를 통해 소송을 마무리했다. IER 크리스틴 클라크 검사는 “이는 시민권자가 아닌 구직자의 취업 기회 자체를 배제하는 것으로 모든 지원자는 공정하고 동등한 기회를 가져야 한다”며 "지난 2022년에 적발된 업체까지 합하면 30개 기업에 160만 달러 이상의 벌금을 부과했다”고 말했다. 적발된 업체 또는 기업들은 채용공고 게재 횟수, 기간 등에 따른 벌금은 물론 해당 채용 공고 삭제, 직원 의무 교육. 분기별 보고서 제출 등을 준수하겠다는 조건으로 IER과 합의를 했다. 브리아나 김 변호사는 “일반적으로 채용공고를 할 때는 시민권 등을 특정하기보다 ‘미국 내 합법적으로 근무 가능한 자’ 정도로 명시하는 게 좋다”며 “일례로 지난 4월에는 자동차 회사 GM이 신규 채용자에게 법률상 기본적인 신분 증명 외에 불필요한 서류를 요구하던 관행 때문에 IER과 민사 벌금으로 36만 달러 벌금 납부에 합의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한인 업체도 차별적 채용 공고로 실제 IER로부터 법적 처벌을 받은 사례도 있다. IER에 따르면 지난 2018년 뉴욕 지역 ‘이치바라멘’ 업체 측이 ‘한인’ 또는 '일본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한 지원자의 채용을 거절했다가 이민국적법(INA) 차별 금지 조항 위반으로 적발됐다. 당시 이 업체는 IER과 합의를 통해 벌금은 물론 채용 지연에 따른 월급 지급, 직원 교육, 직장 내 직원 권리 포스터 부착 등의 처분을 받았다. 클라크 검사는 “조사는 대개 고발이나 제보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며 “고용 차별로 인한 피해를 보았을 경우 IER 핫라인(800-255-7688) 등을 통해 신고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채용공고 법무부 채용공고 게재 차별적 채용 차별 문제
2023.07.27. 20:45
K팝을 대표하는 연례축제로 자리매김한 ‘KCON(케이콘) LA’가 인종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올해 행사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터진 악재에 행사 주관사인 KCON USA는 진화에 나섰지만 석연치 않다며 눈총을 받고 있다. 온라인매체 넥스트샤크는 KCON LA 행사 진행요원(Event Staff) 채용공고 대상으로 ‘아시안과 백인/유럽계’만 명시된 사실이 트위터와 레딧에 퍼지면서 인종차별 논란이 벌어지고 비판여론이 거세졌다고 19일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지난 17일 트위터 계정 나나스바나나스(@nanasbannanas)는 연예계 구인웹사이트 ‘백스테이지닷컴’에 올라온 KCON LA 채용공고를 캡처해 올린 뒤, ‘KCON이 XX 인종차별을 벌였다(Kcon is actually racist as hell XX)’는 글을 올렸다. KCON 채용공고는 ‘연기자와 공연가(Actors & Performers)’가 필요하다는 제목이지만 실상은 진행요원 구인으로 KCON 행사 때 방문객 응대, 게임 지원, 어트랙션존 운영을 맡을 사람을 뽑는 내용이었다. 여기에 하단에는 인종(Ethnicity)으로 아시안과 백인/유럽계(Asian, White/European Descent)를 명시했다. 또한 지원자는 얼굴 사진도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비난하는 측은 실제로 연기자와 공연가를 뽑는다면 구인 시 인종, 성, 나이를 명시할 수 있지만, KCON이 필요로 한다는 것은 이벤트 스태프로 아시안과 백인만 뽑기 위해 꼼수를 쓴 것 아니냐고 주장하고 있다. 원글을 올린 나나스바나나스도 KCON 측이 흑인이나 갈색(brown)인 사람들이 행사장에서 일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해당 트위터 게시글은 80만 명 이상이 조회하며 비판 여론이 거세졌다. 비아시안과 비백인계를 차별했다는 내용 등으로 리트윗은 1405건, 인용 1628건을 기록했다. 또한 온라인 커뮤티니 레딧에도 해당 채용공고가 퍼졌고, 일부 사용자는 ‘KCON LA가 흑인을 막았다’는 비판 글을 올렸다. 해당 글을 댓글 326개가 달렸고 상당수가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에서 KCON 채용공고 비판여론이 거세진 직후 해당 채용공고는 모든 인종(All Ethnicities)으로 수정됐지만 이후 신청서 지원은 중단됐다. KCON USA 측은 19일 인스타그램 공식계정을 통해 어떤 종류의 차별이나 인종 프로파일링을 강하게 배격한다는 입장문을 밝혔다. 입장문은 “KCON의 가장 중요한 정신은 (성, 인종, 계층, 장애를 보듬는) 포용력과 다양성”이라며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또 KCON USA는 해당 채용공고는 자사 에이전시가 고용한 한 업체 측이 이해 부족으로 올렸다며 사전에 해당 내용을 승인하지도 지지하지도 않았다고 덧붙였다. KCON LA는 지난 2012년 주관사인 CJ ENM이 K팝과 한류를 알리기 위해 연례 음악축제로 시작했다. 한편 2023 KCON LA는 오는 8월 18~20일 LA 크립토닷컴 아레나와 LA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김형재 기자채용공고 아시안 채용공고 비판여론 인종차별 논란 해당 채용공고
2023.07.21. 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