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중앙칼럼] ‘멤버십 책방’, 승산 있는 발상

다들 활자 매체의 미래를 잿빛으로 봤다.     반면, 유명 서점 ‘반스앤드노블(Barnes & Noble)’은 장밋빛 미래를 본다. 이 서점은 최근 연간 40달러에 멤버십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요즘은 보는 게 대세다. 스트리밍 사이트라면 몰라도 책방이 멤버십이라니 뚱딴지같은 소리로 들릴 수 있다.     자신감에는 근거가 있다.  반스앤드노블은 지난 2019년 제임스 던트가 최고경영자로 취임한 뒤 전자책을 버리고 종이책으로 회귀했다. 온라인 서적 시장에서 아마존과 어설프게 경쟁하던 것을 중단했다. 서점 내에서 책과 관련 없는 상품도 모조리 치워버렸다. 자신들이 잘 알고, 잘하는 것에만 집중하겠다는 심산이었다.   매 분기 적자를 기록했던 반스앤드노블은 본질을 붙들면서 다시 기지개를 켰다. LA타임스 마이클 힐직 칼럼니스트는 “이 서점은 올해 30개의 매장을 더 개설할 예정이다. 책과 글쓰기에 관련된 모든 것에 집중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반스앤드노블은 운영에 심혈을 기울인다. 일례로 이 서점은 책 섹션, 책 배치 등을 자주 바꾼다. 책에 대한 수요, 독자의 관심도, 서점 내에서 고객의 동선 등을 파악하지 못하면 할 수 없는 일이다.   어떤 책 밑에는 직원이 직접 손 글씨로 요약해둔 메모까지 붙여 놓는다. 그 많은 책을 일일이 열어보지 않아도 메모만 보면 어떤 책인지 알 수 있다. 고객을 향한 정성과 배려다.   기지개를 켜는 이유는 또 있다. 체인형 서점임에도 철저하게 로컬화를 추구한다. 동네 성향에 따라 책 배치가 각기 다른 이유다. 일례로 교육열이 높고 보수적 색채가 짙은 오렌지카운티 풀러턴 지역 반스앤드노블의 경우 일부 학부모가 항의하자 청소년 동성애 관련 만화책이 섹션 하단에 깔린 적도 있다.   이 서점은 출판사의 로비, 본사에서 관리하는 획일적인 판매 전략에 구애받지 않는다. 재고 정리와 배치 등의 권한을 각 지점 관리자에게 일임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반스앤드노블은 지금 미래 세대에 투자하고 있다. 특히 부모라면 이 서점에 자주 가게 되는데 두어 시간은 쉽게 보낼 수 있다. 키즈 섹션은 물론이고 아이들을 위해 동화를 읽어주는 ‘스토리 타임’ 등 책과 자연스레 친해질 수 있는 환경과 프로그램을 만들어뒀다.     활자 매체의 부활은 단순히 반스앤드노블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전미출판인협회(AAP)측은 “지난 2021년 도서 판매 수익이 사상 최고치인 293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261억 달러) 약 12% 증가했다.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 회사인 NPD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판매된 종이책은 8억2570만 권이다. NPD가 종이책 판매 조사를 시행한 지난 2004년 이후 역대 최고 판매량이다.   USC 공대 김선호 교수와 빅데이터 수집에 관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김 교수는 “이공계 전공자가 기술을 이용해 빅데이터를 수집한다 해도 그것을 분석하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 찾아내는 건 또 다른 능력”이라고 말했다.   교육계에서는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와 코딩 능력을 강조하는 게 대세가 됐다. 인공지능(AI)이 답을 도출해내는 과정을 단축하고 테크놀로지가 사회의 각 영역을 서서히 대체해 나가는 상황이다. 인간의 사고 능력은 점점 퇴화할 수 있다.     그럴수록 책의 중요성은 부각된다. 읽는 것은 단순히 활자를 인식하는 능력에 그치지 않는다. 읽는다는 건 생각하고, 개념을 정리하는 행위다. 체화된 사상을 머릿속에서 꺼내 말하고, 직접 글로 쓸 수 있는 역량으로까지 이어진다.   영상은 짧아지고, 더 자극적으로 진화한다. 활자의 영역은 그럴수록 점점 상극으로 향한다. 그 지점에 역설이 있다.   반스앤드노블의 기지개는 현시대의 반작용 현상을 내포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장 열 / 사회부 부장중앙칼럼 멤버십 책방 지역 반스앤드노블 멤버십 서비스 체인형 서점

2023.02.26. 15:31

썸네일

[거울과 창] 보물을 찾는 책방

LA다운타운에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중고책방이 있다. 책방이라고 하기에는 규모가 제법 크다. ‘더 라스트 북 스토어(The Last Book Store)’. 2005년 은행이었던 자리에 문을 열었다. 오프라인 서점보다 인터넷을 더 찾게 되면서 서점의 형태가 크게 변하고 그나마  숫자도 줄고 있다. 어쩌면 이름 그대로 마지막 서점이 될지도 모르겠다.     책을 찾다 보면 보물을 건질 수도 있다. 책갈피에 그대로 남겨진 편지, 저자의 사인이 담긴 표지 등 돈으로 환산할 수는 없지만 그런 책을 만나면 보물을 얻은 기분이 든다.     이번 주말 내내 무덥다. 냉방도 좋다. 더위를 피해 보물찾기에 나서 보면 어떨지. 주소는 453 S. Spring St. 오전 11시에 문을 열고 오후 8시에 닫는다.  글·사진=김상진 부국장거울과 창 보물 책방 오프라인 서점 마지막 서점 편지 저자

2022.03.25. 18:56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