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가 2021년 이후 창작자, 아티스트, 미디어 기업에 지급한 금액이 1000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구글 자회사인 유튜브는 이날 뉴욕에서 열린 연례 행사 ‘메이드 온 유튜브(Made on YouTube)’에서 이 같은 성과를 공개하며, 창작자들을 위한 새로운 인공지능(AI) 기반 도구도 공개했다. 유튜브 측은 특히 TV 연결 기기에서의 시청 증가가 수익 급증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TV 화면을 통해 연간 10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이는 채널 수는 전년 대비 4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요한나 불리히 유튜브 최고제품책임자(CPO)는 보도자료를 통해 “유튜브 창작자들은 우리가 상상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문화와 엔터테인먼트를 형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에서 유튜브는 자사의 숏폼 영상 서비스 ‘유튜브 쇼츠’에 AI 기반 편집 기능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창작자들은 원본 영상을 자동으로 편집해 음악, 전환 효과, 내레이션 등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영상의 대사를 노래로 변환해 쇼츠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된다. 아울러 구글의 최신 AI 영상 생성기 ‘베오(Veo) 3’도 쇼츠에 통합된다. 베오 3는 일부 유튜브 영상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천억불 지급 1천억불 지급 유튜브 창작자들 유튜브 쇼츠
2025.09.16. 22:26
코로나19 대유행 직후 보복 소비도 늘어나고 동시에 인플레이션도 폭등하면서 작년 가계 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연방통계청이 28일 발표한 가계실질최종재정지출(Household actual final consumption, HAFC)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총 1754억 달러나 늘어나 총 10.2%의 증가율을 보엿다. 이는 2008년 이후 최대 상승률로 기록됐다. 작년 총 가계실질최종재정지출은 1조 9000억 달러에 달해, 2021년은 물론 대유행 이전 수준보다 높았다. 보고서는 이렇게 가계지출이 증가한 이유로 인플레이션 압력과 더불어 코로나19 관련 제한조치 이후 경제활동이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이런 가계지출 증가와 동시에 사회보장, 주택관련 지원을 비롯해 의료건강, 교육 등을 위한 사회적 현물이전(social transfers in-kind, STiK)도 작년에 총 4288억 달러로 8.1%가 늘어났다. 사회적 현물이전이란 무상복지가 대표적되는 무상교육, 의료, 보육, 공공임대주택 등과 같은 국가가 국민에게 현물로 제공하는 의료와 교육, 보육 등 상품과 서비스를 의미한다. 사회적 현물이전 중 의료보건 관련 총액은 2275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8.2%가 늘어났다. 이는 전체 사회적 현물이전 액의 53%에 해당한다. 그런데 2사분기에 의료보건 관련 사회적 현물이전이 감소하는 일이 발생했는데, 그 이유가 코로나19로 인한 입원환자수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사회적 현물이전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한 부분은 가계를 도와주는 비영리기관에 대한 지원 분야로 전년에 비해 11.5%가 증가한 403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렇게 가계 지출과 가계 지원 재정 지출이 늘어나는 속에서, 중간 소득 가계와 시니어들이 사회적 현물이전의 가장 큰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왔다. 소득을 5분위로 나눌 때 상위 2분위 사회적 현물이전은 상대적으로 감소했고, 하위 2분위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런데 가장 중간인 3분위 가계는 전체의 22.1%에 해당하는 950억 달러로 가장 큰 몫의 지원을 받았다. 연령별로 65세 이상 시니어가 전체 사회적 현물이전의 26.8%의 몫을 지원 받아 가장 많은 혜택을 받았다. 이들은 주로 의료보건 관련 재화나 서비스에 더 많이 의존하기 때문이다. 표영태 기자가계최종재정지출 천억불 작년 가계최종재정지출 가계지출 증가 사회적 현물이전
2023.03.28. 1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