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을 찾는 미국인 의료 관광객이 꾸준히 늘고 있다. 한국의 높은 의료 수준, 빠른 진료 시스템, 합리적인 비용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피부과, 성형외과, 치과, 건강검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외국인 환자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의료관광 안전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의료관광은 단순한 여행이 아닌 의료 서비스 이용을 전제로 하므로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미국에서 한국으로 의료관광을 계획할 경우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우선 치료를 받을 의료기관의 공신력 확인이 필수다. 보건복지부 인증을 받은 병원은 환자 안전관리와 의료 질 측면에서 기준을 충족한 곳으로,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다. 인증 여부는 해당 병원의 공식 홈페이지나 관련 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의료진의 자격과 경력도 꼼꼼히 살펴야 한다. 일부 병원은 광고를 통해 과장된 경력을 내세우기도 하므로, 학회 활동, 면허 현황, 수술 실적 등을 객관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성형이나 치과처럼 결과가 외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는 의료진의 숙련도가 더욱 중요하다. 언어 장벽에 대한 대비도 필수다. 의료 정보는 정확한 전달이 핵심이므로 전문 의료통역사가 상주하는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 진료 가능 여부 뿐 아니라, 진료 동의서나 안내서가 영어로 제공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치료 이후 사후관리 체계도 중요하다. 대부분의 외국인 환자는 시술 후 짧은 기간 내에 귀국하기 때문에, 부작용이나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시술 후 일정 기간 병원 인근에 체류할 수 있는지, 또는 온라인을 통한 사후 상담이 가능한지 등을 사전 확인해야 한다. 의료사고 발생 시 대응 방안도 사전에 숙지할 필요가 있다. 한국과 미국은 의료분쟁 처리 방식이 다르며, 외국인의 경우 절차 진행에 제한이 따를 수 있다. 의료분쟁조정중재원 등 제도적 지원 창구를 미리 파악하고, 계약서에 사고 발생 시 대처 방안이 명시돼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보험 적용 여부도 중요하다. 일반적인 미국 건강보험은 한국 내 치료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의료관광은 여행자 보험에서도 제외되는 사례가 있다. 이에 따라 의료관광 특화 보험에 별도로 가입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술, 입원, 응급상황에 대한 보장 항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아울러 치료 일정을 일반 여행 일정과 분리해 계획하는 것이 좋다. 시술 이후에는 회복 기간이 필요할 수 있어, 관광 일정을 무리하게 병행할 경우 회복 지연이나 부작용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병원 인근 숙소 이용 시 이동 부담도 줄어들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의료관광을 계획할 때 비용이나 유명세보다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 국내 병원 관계자는 “외국인 환자의 경우 언어와 의료 시스템의 차이로 인해 사전 상담과 안전 체계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체크리스트 한국 가운데 의료관광 의료 관광객 전문 의료통역사
2025.04.07. 15:59
어떠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검증된 방식의 사전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사전준비를 실천할 수 있을 때 그 가치는 인정받는다. 그리고, 실천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실행해 나가려면 보다 전반적인 진행에 따른 청사진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청사진은 모든 공정과 순서가 자세히 표시된 이른바 목표달성을 위한 보물지도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러한 청사진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과연 원하는 목표를 얼마나 달성할 수 있을지부터 한번 짚어보기 바란다. 대학의 재정보조 성공은 모든 가정에서 바라는 최종 목표임에는 틀림없지만 대부분의 가정에서 이러한 청사진이 전혀없이 재정보조 진행을 해나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종종 이로인한 부작용으로 재정부담이 더욱 가중되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 가정들도 빈번히 목격하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을 논해보는 일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대학에서 진학에 따른 충분한 재정보조 지원을 받는 것처럼 중요한 사안은 없다. 때로는 연간 수만달러에 달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2세들이 미래를 열어가는데 있어서 매우 중대한 영향을 줄 뿐만이아니라 재정보조는 대학에서 그냥 지원받는 정도가 목표가 되서는 않된다는 생각이다. 오히려 보다 잘 받는 것이 최종 목표가 되어야 한다. 금년에 발생된 재정보조의 이변사태는 그야말로 사전준비가 잘못된 가정과 잘 되어있는 가정들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문제의 책임에 대한 절반은 연방정부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보다 더 큰 책임은 학부모들이 더 무겁다는 생각이다. 아무리 재정보조 공식의 업데이트가 에러도 많고 신청서 진행에 지연사태와 에러가 있다고 해도, 제출된 정보가 최적화 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나은 재정보조를 기대한다는 것은 헛된 바램이다. 그 어떠한 상황이든지 입력정보가 잘못되었는데 결과가 잘 나올 수는 절대없다. 재정보조에 대한 사전준비와 설계 및 이를 실천하는 문제는 연방정부의 재정보조 공식의 대한 이해와 아울러 가정형편에 알맞은 재정보조지원을 받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가야 할 과정이며 어느 한 단계도 건너뛰고 재정보조의 좋은 결과를 바랄 수는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분명한 청사진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재정보조의 성공은 사전준비와 설계에 대한 청사진을 우선적으로 만드는 일이다. 여기서 청사진이란 재정보조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하나씩 확인검증해가며 문제점들을 나열하고 이를 하나씩 풀어나가는 실천이 재정보조 신청에 관한 기본적인 단계를 마치는 일이다. 이렇게 최적화된 재정보조 신청서는 제출 이후에 대학별로 진행에 따른 후속조치들과 제의받은 재정보조금의 평가 및 어필과정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MPN과 Loan Counselling 등의 마무리로 한해의 진행을 마치는 것이다. 체크리스트에는 SAI(Student Aid Index)금액을 증가시키는 수입과 자산목록이 있는지 여부, 사업체나 자영업을 운영하는 경우 가정에서 필요한 수입 초과분에 대해서 어떻게 Corporate Trust를 설정해 합법적인 공제로 수입도 줄이고 동시에 큰 세금을 절감하며 SAI금액이 낮아져 재정보조 대상금액(Financial Need)을 증가시켜 재정보조 지원을 최대로 받는 여부들에 대한 체크리스트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는 과거에 지속해온 IRA/Roth IRA 혹은 401(k)/403(b)/TSP/SEP IRA/SIMPLE IRA등의 불입을 통한 세금공제가 오히려 이러한 플랜에 불입하지 않던 상황보다 더욱 높은 SAI금액을 만들고 그나마 받은 세금공제혜택과 불입금 전체 금액을 학비로 사용하게 되는 효과가 나도록 큰 불이익을 주는지 파악할 수도 있고 이를 위한 해법도 쉽게 찿을 수 있다는 점에서 체크리스트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숙지하기 바란다. 재정보조를 더 잘 받으려고 개인적인 고정관념으로 단지 수입만 낮으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식의 편견이 얼마나 큰 재정손실을 가져오는지를 실질적인 계산결과로 보여주면 놀라지 않을 학부모가 없다. 항상 “Prepare for the worst and Hope for the best!”라는 말을 유념하기 바란다. 최악을 준비하고 최선을 바란다 라는 의미이지만, 이 짧은 문장 속에 삶의 지혜가 담겨있다. 재정보조의 성공은 곧 자녀의 대학선택과 미래를 모두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첫발걸음은 언제든지 오늘부터라는 점, 더욱 나가서 바로 지금이라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이미 대학에 재학 중일지라도 매년 신청하는 것이므로 재정보조 체크리스트를 우선적으로 작성하는 일부터 시작해야만 할 것이다. ▶문의: (301)219-3719 [email protected]미국 체크리스트 재정보조 신청서 재정보조 체크리스트 재정보조 대상금액
2024.08.16. 11:27
시작이 반이다란 말이 실감 나듯 어느덧 첫 학기가 끝나고 겨울방학이 곧 시작이다. 첫 학기를 시작할 때와 같은 기대감이 조금은 실망스러운 성적과 생각만큼 계획대로 되지 않았던 학교생활에 적잖게 대학에 대한 큰 기대가 조금씩 낮아지며 자녀의 대학에 대한 계획들이 조금씩 더 현실화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짧은 겨울방학이라도 이런 현실을 직시하고 어떻게 3주간의 겨울방학을 활용하여 다시 한번 자녀 대학 준비에 대하여 자녀와 대화의 시간을 가지면서 대학 준비의 체크리스트를 수정 혹은 만들어 보아 앞으로 남은 시간 동안 어떻게 대학 준비에 대하여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할지 같이 의논해 보는 의미 있는 겨울방학을 보낼 수 있도록 대학 준비 체크 리스트를 만들어 보자. 1. Academics 고등학교 9학년을 시작으로 각 학년마다 처음 들은 AP과목의 성적을 잘 분석해 보아 앞으로 남은 시간 동안 어떻게 내년 AP시험에 준비할지를 의논해 본다. 대학 입학 사정관이 가장 중요하게 학생의 아카데믹을 리뷰할 때 어떤 과목을 선택하고 그 과목의 성적 여부를 살핀다. 즉 Honor, AP 등 가산점이 더해지는 과목들을 선택했는지가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이 그런 Honor, AP과목들을 많이 수강하는데 문제는 성적과 AP시험 점수이기 때문에 성적과 시험에 5점을 받을 수 있도록 계획해 본다. 첫 학기의 성적을 바탕으로 내년에 선택할 AP선택 과목들을 계획하여 앞으로 어떤 AP과목들을 학교에서 수강할 수 있을지 고등학교 4년의 아카데믹 계획에 대한 점검과 수정 등 다시살펴 보며 부족한 과목들은 온라인으로 수강할 수 있는지 학교와 상의하여 아카데믹에 대학 계획을 수정 또는 세워 본다. 2. Standardized Testing 많은 대학들이팬데믹 이후 이런 전국 SAT/ACT 시험을 옵션으로 전향하고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주었기 때문에 시험에 대한 부담감은 조금 줄었겠지만 그래도 여전히 시험을 치르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계획을 세우고 언제 시험에 응시할지 또한 몇 번의 시험을 치를지 계획하여 시간 낭비를 줄인다. 11학년들은 남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또 많은 AP 과목에 대한 시험 준비도 본격적으로 방학이 끝나면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이 겨울방학이 가장 유용하게 시험 준비에 쓸 수 있게 많은 연습 문제들을 실전처럼 시험을 쳐본다. 3. Extracurriculars & Summers 첫 학기에 조인한 클럽활동이든지 혹은 학생의 관심사에 따라서 현재의 특별활동을 다시 한번 체크해 본다. 특별활동이 자신의 전공과 관심사가 부합하는지 등을 점검하고 지속해야 하는 활동과 새로 시작하면 좋을 활동 등을 수정 혹은 계획해 본다. 학생의 지원서에 좀 더 임펙트를 줄 수 있는 리더십이 있는지 전공과 맞는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보고 이런 요소들이 없다면 시작할 수 있도록 계획해 본다 자신의 관심사를 최대한 잘 나타낼 수 있는 개인적인 프로젝트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 계획해 본다. 내년 여름에 할 수 있는 것들을 학생에 따라서 자신에게 맞는 여름방학 계획을 세워 본다. 만약 여름 켐프를 갈 계획이면 겨울방학 전에 준비하여 선생님들께 추천서 준비도 미리 알려야 하며 캠프가 요구하는 에세이 작성 또한 미리 겨울방학에 준비해 둔다. 어떤 학생들은 여름방학 동안 자신이 하고 있는 리서치가 있다면 주변 대학의 교수님들께 연락해 보는 것도 좋겠다. 교수님의 연구에 대하여 상세해 알아보고 리서치를 한 이후 연락을 시도하는 것이 좀 더 이멜을 받았을 때 공감할 수 있을 것이며 충분히 설득력이 있는 이멜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4. College Admissions 자신이 지원하고 싶은 대학이 있는지 지원하고 싶은 대학이 가주에 있지 혹은 동부인지 대학 리서치들도 이번 겨울방학에는 자녀와 의논하고 직접 방문해 보는 계획을 해보면서 이런 과정 속에서 자녀도 대학 준비의 인식을 스스로 현실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좋겠다. ▶문의: (323)933-0909 www.Thebostoneducation.com 수 변 원장 / 보스턴 에듀케이션체크리스트 겨울방학 대학 계획 자녀 대학 대학 리서치들
2022.12.11.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