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가정 폭력이 총기범죄 주 요인"…존스 홉킨스대 연구소 분석

가정불화 등이 총기 폭력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특히 지난 21일 발생한 몬터레이파크 총기 난사 사건과 관련, 범행 동기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가운데 가정 폭력 문제가 대두하고 있다.   LA타임스는 몬터레이파크 총기 난사 사건의 수사관들은 총격범의 가정 폭력 문제도 조사했다고 26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총기 난사 사건과 관련한 데이터를 살펴보면 대개 가정 폭력과 연관성이 있다”며 “특히 아시아계는 가정 폭력과 학대로부터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고 전했다.   존스홉킨스대 총기폭력 해결센터 리사 겔러 디렉터는 “가까운 사람을 해칠 의향이 있는 개인은 미래에 다른 사람까지 해칠 가능성이 더 높다”며 “총기 난사범의 60% 정도가 현재 또는 과거 배우자를 공격 대상으로 삼았으며 가정 폭력 문제를 안고 있던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팬데믹 사태 이후 가주를 비롯한 LA카운티 등에서 보고되는 가정 폭력 건수는 증가하고 있다. 단, LA카운티내 아시아계 가정의 폭력 보고 건수는 타인종이 비해 낮지만, 이러한 수치는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아케이디아 지역 윈윈 러닝센터 선 루이 디렉터는 “아시아계는 이웃이 대신 경찰에 신고할 때까지 가정 폭력을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 것 같다”며 “가정불화를 ‘우리 가족의 문제’ 정도로 여기기 때문에 학대를 인정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어려워한다”고 말했다.   아시아권의 체면 중시 문화도 가정 폭력 피해에 둔감해지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새들백교회에서 가정 사역을 담당하는 캔디 추씨는 “아시아계는 결손 가정으로 낙인 찍히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상처를 주고받는 관계도 유지하려고 한다”며 “또, 가정 폭력의 피해자들은 재정적으로 독립하지 못한 경우가 많아서 어쩔 수 없이 가정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한편 LA카운티 셰리프국 로버트 루나 국장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아직 용의자와 피해자들 사이의 특별한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총격범이 특별히 피해자들을 겨냥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총기범죄 홉킨스대 존스홉킨스대 총기폭력 총기 폭력 총기 난사범

2023.01.27. 22:20

아담스 시장, 전철 총기 난사범 체포에 기여한 시민·경찰관에 감사패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이 20일 원 폴리스플라자에서 선셋파크 36스트리트역 총기 난사범 체포에 기여한 시민·경찰관들에게 감사패를 수여했다. 아담스 시장은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었던 흉악범죄를 막기 위해 용기를 내어준 이 시민, 경찰관들은 뉴욕시의 영웅들이다”라며 감사를 표했다. [뉴욕시장실] 아담스 난사범 시민 경찰관들 아담스 시장 총기 난사범

2022.04.21. 20:5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