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명, 2016년 3명, 2017년 2명, 2018년 2명. 2019년 4명, 2020년 3명, 2021년 1명, 2022년 3명. 지난 2014년부터 2022년까지 한인타운 구역에서 총기 살인사건으로 인한 사망자 숫자다. 2015년을 제외하고 연평균 2건 이상의 총기 살인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하지만 한인타운 인근에서 발생한 총기 사건까지 포함한다면 매년 평균 10건 가까이 된다. 이는 희망과치유재단과 로모 GIS사가 2014년 이후 발생한 총기 사건 발생 장소를 표시한 지도를 추적한 결과다. 이 지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에서 2014년 이후 총 1만2800건의 총기 살인사건이 발생했으며 이중 샌프란시스코 베이지역과 LA가 최다 발생 장소로 조사됐다. KTLA 채널5 뉴스는 가주 전역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을 디테일하게 볼 수 있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10일 보도했다. 카운티별로 보면 남가주의 경우 LA에서 3800건 이상이 발생했으며 그 뒤로 샌버나디노(863건), 리버사이드(697건), 샌디에이고(584건), 오렌지(394건), 벤투라(145건), 샌타바버러(110건) 순으로 파악됐다. 북가주 베이 지역에서는 총 2100건의 총기 살인사건이 발생했는데 동부 지역에서만 절반이 넘는 1200건이 발생했다. 최다 발생 지역은 알라메다 카운티로 951건이 집계됐으며, 콘트라코스타 416건, 샌타클라라 320건이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287건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중가주에서는 새크라멘토(609건)와 샌호아킨(437건)이 총기 살인사건이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으로 꼽혔다. 가주 전체에서는 2019년 이후 총기 살인사건이 급증했다. 2021년 1800건 이상이 발생하며 피크를 이뤘으나 2022년 1700건으로 떨어졌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총기사건 타운 총기사건 사망 총기 살인사건 한인타운 인근
2023.08.10. 20:45
27일 비영리 단체 총기폭력아카이브(GVA)는 올해 미국에서 17세 이하 미성년자 6023명이 총격으로 목숨을 잃거나 부상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올해 수치는 지난해 총격으로 사상한 미성년자 5708명을 훌쩍 웃도는 것으로, GVA가 2014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고 기록이다. 총에 맞아 숨지거나 다친 미성년자는 2014년에는 2859명이었다. 8년 만에 사상자가 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이다. 이중 올해 총에 맞아 숨진 미성년자는 총 1629명이었다. 이 중 11세 이하 어린이는 306명, 12∼17세 청소년은 1323명이다. 지난 5월 텍사스주 유밸디의 한 초등학교에서 총기 난사범이 쏜 총에 어린이 19명 등 21명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벌어지기도 했다.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서는 성탄 전야인 지난 24일 우발적인 총기 사고로 3세 여아가 사망했다. 가장 나이가 어린 희생자는 생후 5개월 된 여아로, 지난 6월 시카고에서 달리는 차 안에서 총격범이 쏜 총에 머리를 맞아 목숨을 잃었다.사설 총기사건 총기사건 벽화 로브 초등학교 초등학교 15명
2022.12.27. 21:45
전쟁터에서 싸우다 숨진 미군 병사들을 기리는 날이자 비공식적으로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메모리얼데이'(현충일) 주말, 미국 곳곳에서 총성이 끊이지 않았다. 31일 폭스뉴스와 NBC, 의회전문매체 더힐 등에 따르면 지난 메모리얼데이 연휴 기간 미국에서 14건의 총기 난사 사건을 포함해 모두 500여 건의 총기사고가 발생해 최소 156명이 죽고 412명이 부상했다. 이들 매체는 총기폭력기록보관소(GVA)가 지난 27일 오후 5시부터 31일 오전 5시 사이 일어난 사고를 집계한 자료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미시간주 메코스타 카운티 주택가에서 50대 가장이 휘두른 총기에 40대 아내와 세 자녀(3세, 4세, 6세)가 숨지는 참극이 벌어졌고, 미시간주 벤튼하버에서는 콘서트 입장권을 둘러싼 실랑이가 총격으로 번져 1명이 숨지고 6명이 부상했다. 앨러배마주 애니스톤에서는 150여 명이 모인 고교 졸업파티에서 총격이 발생해 6명이 다쳤고, 테네시주 차타누가에서도 10대 청소년간 말다툼이 총기 난사로 이어져 13~15세 6명이 부상했다. 또 오클라호마주 태프트에서는 1천500여 명이 모인 메모리얼데이 기념식에서 총기 난사 사고가 발생해 1명이 숨지고 7명이 다쳤으며 플로리다주 말라바에서도 홈피티에 간 10대 청소년 4명이 총에 맞는 사고가 있었다. 최근 총기사건이 급증하고 있는 시카고에서도 지난 연휴 기간 52명이 총에 맞아 10명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필라델피아에서도 40여 건의 총기사고가 발생해 14명이 숨졌다고 현지언론이 전했다. 이와 관련 시카고 경찰 소속 911대원 키스 손튼은 폭스뉴스에 출연해 위정자들을 향해 "책임감을 보여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이 넌센스를 멈춰야 한다. 책임감 있는 사람이 책임있는 자리에 앉아서 '하지 마라. 계속 그렇게 하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책임지는 리더가 절실히 필요하다"며 "그러나 우리에겐 그런 리더가 없다"고 개탄했다. 이어 "위정자들이 범죄에 대해 관대한 이 시스템이 바뀌지 않는 한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경찰은 범죄자를 체포해야 하고, 검찰은 죄 있는 사람들을 감옥에 넣고 풀어주지 말아야 한다"면서 "맡겨진 임무를 수행하지 않는 이들을 직무유기죄로 처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요즘 젊은 세대들에게는 잘못을 바로잡아주거나 책임을 묻는 부모나 멘토가 없다. 이대로 방치한다면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GVA는 올해 들어 지난 150일간 미국 34개 주에서 최소 231건의 총기 난사 사건이 벌어지는 등 수천 건의 총기사고가 있었다고 전했다. 총기로 인한 사망자는 총 1만7천949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살인이 7천983건, 자살이 9천966건으로 집계됐다. 총기 피해자 가운데 11세 이하 어린이는 463명(사망 151명, 부상 312명), 12~17세는 1천912명(사망 530명, 부상 1천382명)이었다.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기자메모리얼 총기사건 연휴 총기사건 총기 난사로 최근 총기사건
2022.06.01. 16:16
메모리얼데이 연휴에도 곳곳에서 총성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달 31일 폭스뉴스와 NBC, 의회전문매체 더힐 등에 따르면 지난 메모리얼데이 연휴 기간 전국에서 14건의 총기 난사 사건을 포함해 모두 500여 건의 총기사고가 발생해 최소 156명이 죽고 412명이 부상했다. 이들 매체는 총기폭력기록보관소(GVA)가 지난달 27일 오후 5시부터 31일 오전 5시 사이 일어난 사고를 집계한 자료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미시간주 메코스타 카운티 주택가에서 50대 가장의 총격에 40대 아내와 세 자녀(3세, 4세, 6세)가 숨지는 참극이 벌어졌고, 미시간주 벤튼하버에서는 콘서트 입장권을 둘러싼 실랑이가 총격으로 번져 1명이 숨지고 6명이 부상했다. 앨러배마주 애니스톤에서는 150여 명이 모인 고교 졸업파티에서 총격이 발생해 6명이 다쳤고, 테네시주 차타누가에서도 10대 청소년간 말다툼이 총기 난사로 이어져 13~15세 6명이 부상했다. 또 오클라호마주 태프트에서는 1500여 명이 모인 메모리얼데이 기념식에서 총기 난사 사고가 발생해 1명이 숨지고 7명이 다쳤으며 플로리다주 말라바에서도 홈피티에 간 10대 청소년 4명이 총에 맞는 사고가 있었다. 최근 총기사건이 급증하고 있는 시카고에서도 지난 연휴 기간 52명이 총에 맞아 10명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필라델피아에서도 40여 건의 총기사고가 발생해 14명이 숨졌다고 현지언론이 전했다. 이와 관련 시카고 경찰 소속 911대원 키스 손튼은 폭스뉴스에 출연해 위정자들을 향해 “책임감을 보여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이 넌센스를 멈춰야 한다. 책임감 있는 사람이 책임 있는 자리에 앉아서 ‘하지 마라. 계속 그렇게 하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책임지는 리더가 절실히 필요하다”며 “그러나 우리에겐 그런 리더가 없다”고 개탄했다. 이어 “위정자들이 범죄에 대해 관대한 이 시스템이 바뀌지 않는 한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경찰은 범죄자를 체포해야 하고, 검찰은 죄 있는 사람들을 감옥에 넣고 풀어주지 말아야 한다”면서 “맡겨진 임무를 수행하지 않는 이들을 직무유기죄로 처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요즘 젊은 세대들에게는 잘못을 바로잡아주거나 책임을 묻는 부모나 멘토가 없다. 이대로 방치한다면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GVA는 올해 들어 지난 150일간 34개 주에서 최소 231건의 총기 난사 사건이 벌어지는 등 수천 건의 총기사고가 있었다고 전했다. 총기로 인한 사망자는 총 1만7949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살인이 7983건, 자살이 9966건으로 집계됐다. 총기 피해자 가운데 11세 이하 어린이는 463명(사망 151명, 부상 312명), 12~17세는 1912명(사망 530명, 부상 1382명)이었다. 총기사건 연휴 연휴 총기사건 총기 난사로 최근 총기사건
2022.05.31. 21:41
총기규제 총기사건
2021.12.08.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