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주에서 해고되는 사람이 늘고 있다. 폭스11뉴스는 가주고용개발국(EDD) 자료를 인용, 지난 10월 가주에서만 5500명이 일자리를 잃었다고 15일 보도했다. 최근 물가상승이 둔화한 모습을 보였지만 실업률은 올라가는 모습이다. 특히 지난 10월 가주 실업률은 5.4%까지 올랐다. 이는 전국 실업률 평균(4.1%)보다 높은 수치로 가주는 전국에서 실업률이 가장 높은 주로 꼽혔다. 실업률이 높아지면서 실업급여 청구 건수도 늘고 있다. EDD에 따르면 지난주 실업급여 신규신청은 21%나 늘었다. 신규신청은 전체 실업급여의 21%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DD 등 노동분야 전문가들은 가주 실업률 상승세가 전국보다 가파르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 지난 10월 실업자 수는 이전과 비교해 양호한 편이라고 한다. EDD 전 국장인 미셸 버닉 변호사는 “지난 몇 달간 매달 2만2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면서 “10월에는 5500개 일자리가 사라지는 데 그쳤다”고 안도했다. 최근 가주 실업률 급증세가 완화된 요인은 헬스케어 분야 고용 유지 덕분이라고 한다. 하지만 펜데믹 이후 물가가 22% 이상 상승하면서 경기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다. 실업률 증가 추세가 계속돼 실업급여 청구가 늘어날 경우 가주 경제 부담도 예상된다. 버닉 변호사는 “전국 최고 수준인 가주 실업률이 전국 평균보다 크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최고수준 실업률 전국 실업률 전국 최고수준10월 실업률 상승세
2024.11.17. 19:43
고강도 금리인상을 이어가던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늦췄다. 최근 물가가 잡힐 조짐이 나타난 만큼, 금리인상은 지속하되 인상 폭은 줄인 셈이다. 연준은 14일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기준금리를 4.25∼4.50%로, 현재 기준금리(3.75∼4.00%)보다 0.5%포인트 올렸다고 밝혔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15년래 최고 수준이 됐다. 다만 금리인상 폭은 지난달 0.75%포인트에서 0.5%포인트로 줄였다. 이미 시장에선 최근 물가상승률이 둔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만큼,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조절을 예상했었다. 연준은 지난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며 ‘제로금리 시대’를 끝낸 뒤, 7차례에 걸쳐 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렸다. 특히 지난 6·7·9·11월엔 4연속으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씩 인상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아직 갈 길이 좀 남았다”며 금리인상 행보가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하락세가 지속할 것이라고 확신하려면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며 “당분간 긴축 기조를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FOMC 위원들이 생각하는 금리 수준을 취합한 지표인 점도표(dot plot)에서도 내년 말 금리는 5.00~5.25%로 나타냈다. 이에 따르면 내년에도 0.75%포인트를 올려야 하는 셈이다. 이날 오전부터 상승세를 이어가던 뉴욕증시는, 금리인상 기조 유지 발언이 나오자 일제히 하락 전환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142.29포인트(0.42%) 하락한 3만3966.35포인트, S&P500 지수는 24.33포인트(0.61%) 내린 3995.32로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85.93포인트(0.76%) 하락한 1만1170.89로 장을 마쳤다. 한편 연준은 올해 경제성장률은 0.5%로 예상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내년 성장률은 지난 9월 전망치(1.2%)를 크게 하회한 0.5%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실업률은 올해 3.7%에서 내년 4.6%로 상승할 것으로 관측했다.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2.8%에서 3.1%로 높아졌다. 김은별 기자기준금리 최고수준 기준금리 인상 현재 기준금리 직후 기준금리
2022.12.14.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