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LA 실업률 5.4%…2년 만에 최고점

실업률이 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 경제 불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일 LA비즈니스저널에 따르면, 1월 LA카운티의 실업률이 2022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5.4%로 집계됐다. 가주 전체 평균 5.2%에 비해 0.2% 높다. 특히, 청년층의 실업률 상승이 심각했다. 20~24세의 1월 실업률은 7.2%로 전년 동월 대비 2.1%p 증가했다. 전국 평균 실업률도 3.7%로 2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가주노동통계국(EDD)에 따르면, LA카운티의 실업자 수는 작년 12월 51만4000명에서 2024년 1월 52만6000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1년 전보다 10만6000명 증가한 수치다.   작년 12월 대비 올해 1월 직업 감소가 가장 큰 산업은 유통업으로 1만4800개의 일자리가 줄었다. 이어 전문·기업 서비스(1만900개), 예술·엔터테인먼트·레크리에이션(9500개), 영화·음악 녹음 산업(5000개), 제조업 부문은(3700개) 순으로 일자리가 감소했다.     반면, 가장 많은 일자리를 창출한 부문은 의료·사회 복지 분야로 3만8600개의 일자리가 늘었다. 또한, 사교육 및 숙박·식음료 서비스도 1만3000개 증가했다.   EDD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소비자 지출이 감소하고, 공급망 혼란으로 인해 기업들이 생산을 줄이면서 일자리가 줄어든 것을 실업률 상승의 원인으로 꼽았다.   한편, 급여 증가율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일 BBC는 임금 상승률이 2022년 정점을 찍은 이후 둔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년 1월 임금 상승률은 2022년 초 9.3%에서 전년 대비 3.6%로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실업률 상승과 급여 증가율 둔화는 LA카운티 경제의 불확실성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고 우려했다.  정하은 기자실업률 최고점 실업률 상승 이번 실업률 la 실업률

2024.03.11. 20:08

[재정칼럼] 주식시장 최고점과 예측

미국 증시가 호조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상승 랠리가 한계점에 임박했다는 경고음도 확산하고 있다. 최근 파이퍼 샌들러의 크레이그 존슨 수석 전략가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증시가 중대 한계점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 증시가 3월에 올해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할 가능성이 있다”며 S&P 500 지수의 조정 가능성을 지적한 것이다.      일반 투자자는 주식시장이 상승하면 곧 다시 하락할 것 같아 투자하지 못한다.  반대로 주식시장이 하락하거나 폭락하면 무서워서 투자하지 못한다. 그리고 증시가 안정(?)될 때까지 기다린다고 한다. 그런데 이 말은 물건값이 비싸질 때까지 기다린다는 것과 같다. 이래저래 투자하지 못하는 것이다.   투자자는 친지들은 물론 신문, 방송, 인터넷 등 모든 미디어에 귀를 기울인다. 앞으로 주식시장의 향방을 알고 싶기 때문이다. 이런 투자자들의 수요로 인해 소위 전문가라는 사람들은 끊임없이 증시 예측을 내놓는다.     주식시장 미래는 누구나 예측할 수 있다. 상승할 수도 있고 반대로 내려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죽은 시계도 하루에 두 번은 정확하게 맞는다.     이런 주식시장 예측을 잠시 접어두고 과거 주식시장의 역사를 살펴보자. 지난해 주식시장은 경제 침체기로 인해 어려울 것이라는 대부분의 예측을 완전히 무시하고 26%나 상승했다. 이런 놀라운 상승세가 올해도 이어질지 아니면 하락세로 돌아설지 투자자는 궁금한 것이다.     금융위기 당시 주식시장의 움직임을 살펴보자. 금융위기 직후인 2009, 2010년 주식시장은 각각 25.94%, 14.82%가 상승했다. 이어 2012, 2013, 2014년에도 각각 15.89%, 32.15%, 13.52%가 올랐다. 그리고 2016, 2017년에도 11.77%, 21.61% 상승,  2019, 2020, 2021은 각각 31.21%, 18.02%, 28.47%가 급등했다. 과거의 주식시장은 이처럼 어떤 한 해에 상승하면 그다음 해도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떤 한 해 주식시장이 10% 이상 상승했으면 그다음 해에 상승(Positive)할 확률은 70%, 그리고 20% 이상 상승했다면 그다음 해는 주식시장 상승할 확률이 65%가 된다.     1995부터 1999년까지 주식시장은 연평균 20%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지만, 인터넷주 폭락으로 이어진 것도 기억한다. 그래서 지난 3년간 주식시장이 31%나 급등했지만, 투자자는 과거의 폭락 사태 같은 일이 벌어질까 염려하는 것이다. 그러나 1987, 1999, 2012, 그리고 2021년을 기준으로 각각 3년 동안 100%나 상승했던 적이 있었다는 사실도 기억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피델리티 금융회사의 펀드 매니저 피터 린치는 “주식시장 폭락을 준비하거나 폭락을 예측해서 투자하면 주식시장 폭락 자체로 잃는 돈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잃게 된다”고 충고한다.     앞으로 경제가 나빠질 가능성이 없다는 말은 절대 아니다. 개인의 저축은 점점 줄어들고 부채는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준의 금리 정책도 불투명하다. 일반 투자자가 기억해야 하는 것은 물가가 상승하는 시점에 똑똑(?)한 사람들이 모여있는 연준에서도 물가 상승이 일시적(Transitory)이라고 언급하며 머뭇거리는 큰 실수를 했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미래에 대한 예측, 특히 주식시장 예측은 더욱더 어려운 것이다.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만 과거 주식시장 역사는 분명히 큰 흐름을 보여준다. 어떤 한 해에 10%, 15%, 그리고 20% 상승했다면 그다음 10년간 주식시장은 각각 173%, 234%, 그리고 188% 상승했다. 이런 이유로 주식시장에서의 성공 방법은 장기투자이며 주식시장에 투자하지 않으면 이런 놀라운 주식시장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이명덕 / 박사재정칼럼 주식시장 최고점 주식시장 예측 주식시장 최고점 주식시장 폭락

2024.03.04. 19:38

썸네일

인플레 둔화에 다우 22개월 내 최고점…1.47% 상승 3만6000 앞둬

지난달 30일 물가상승률 둔화세가 지속하고 있다는 지표가 나오면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연고점을 경신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지수는 전장보다 520.47포인트(1.47%) 오른 3만5950.89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 지수는 지난 8월의 연고점을 돌파하며 지난해 1월 13일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7.22포인트(0.38%) 상승한 4567.80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나서며 32.27포인트(0.23%) 하락한 1만4226.22에 장을 끝냈다.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11월 한 달간 각각 8.9% 상승했으며, 나스닥지수는 한 달간 10.7% 상승률을 나타냈다.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기업 세일즈포스가 3분기 ‘깜짝 실적’을 발표해 9.4% 급등한 게 30개 우량주로 구성된 다우존스30 지수 연고점 돌파를 이끌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에 준거로 삼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의 둔화도 위험심리 선호에 영향을 미쳤다.인플레 최고점 물가상승률 둔화세 인플레 둔화 다우 지수

2023.11.30. 22:4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