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귀국 앞두고 전사라니···' 한인 군의관 부인 아프간서 잃고 망연자실

<속보>지난달 27일 아프가니스탄에서 전사한 플로렌스 바콩 최 대위의 남편 최종현 소령은 메릴랜드 출신이며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확인됐다.<본지 4월 1일자 A-3면 참조> 또한 성이 당초 알려졌던 조씨가 아니라 최씨로 밝혀졌다. 특히 숨진 플로렌스 대위는 오는 7월 아프가니스탄 근무를 마치고 귀국할 예정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가족 등 주변 사람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샌디에이고 해군의료센터에서 비뇨기과 레지던트로 근무하고 있는 남편 최종현(미국명 제이 최) 소령은 부인의 전사 소식이 전해진 뒤 메릴랜드 콜럼비아 소재 부모 집에 머무르고 있다. 지인들은 “최 소령이 1일까지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는 등 부인을 잃은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프가니스탄군의 총격으로 숨진 최 대위의 유해는 2일 델라웨어 소재 도버 해군기지에 도착할 예정이며, 장례식은 내주로 예정돼 있다. 메릴랜드에서 중·고등학교를 졸업한 최 소령은 해군사관학교를 나와 1년 6개월 전부터 샌디에이고 소재 해군의료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다. 그는 필리핀계 부인인 플로렌스 바콩 최 대위와의 사이에 3살 난 딸 크리스틴을 두고 있다. 최 소령은 볼티모어에서 한의원을 운영한 고 최재석씨의 장남이며, 누나인 매기 최는 국무부 소속으로 주한미대사관에서 영사로 근무하기도 했다. 또한 모친인 최영선씨는 볼티모어 소재 셰라톤 호텔내에서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다. 최씨 가족을 잘 아는 주변 한인들은 “부친 최재석씨가 어려운 이웃들을 돌봤으며, 유언으로 자신의 시신을 병원에 기증했다”고 전했다. 당시 해군사관학교에 재학중이던 최 소령은 “군의관으로 일해야 하는데 수술할 때 마다 아버지 생각이 날 것”이라며 시신기증을 반대했지만 결국 아버지의 뜻을 따르는 등 효성이 지극하다고 이웃들은 입을 모았다. 허태준 기자

2009.04.01. 17:05

아프간·이라크 대 테러전 7년간 7000억불 지출

국방부가 2001년부터 이라크.아프가니스탄 전쟁과 대 테러전에 쏟아부은 비용이 총 700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계감사원(GAO)은 "2001년부터 작년까지 이라크 전쟁에 5335억달러 아프가니스탄과 아프리카 북동부 필리핀에서 1241억달러 국토방어작전에 281억 달러가 각각 투입된 것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9.11테러 이후 의회가 대 테러 군사작전에 승인한 8080억달러 가운데 85%를 차지하는 것"이라고 GAO는 덧붙였다. 또한 "나머지 20%인 1223억달러는 정부조달과 군사계약. 연구.개발 등에 다년 간 계약으로 투입됐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의회가 승인한 659억달러와 정부가 요청한 755억 달러를 합쳐 지출금이 모두 1414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국방부에 넘어간 1624억 달러에 비해 소폭 줄어든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아프가니스탄 군력증가 발표로 향후 비용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2009.03.31. 19:36

한인 군인 아내 아프간 전사…샌디에이고 거주 해군 소령 부인, 바콩 조 대위 피격

직업군인의 길을 함께 가던 한인 군의관의 부인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전사한 것으로 밝혀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미군 당국은 지난 27일 아프가니스탄 북부 지역에서 미군을 비롯한 연합군 병사들이 아프가니스탄군의 총격으로 미군 장교 2명이 숨지고 사병 1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이날 사망한 장교 2명 가운데 한명인 플로렌스 바콩 조(35)해군 대위가 바로 한인인 종 제이 조 해군소령의 아내. 조 대위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의료행정 및 병참지원 업무를 맡아 왔다. 남편인 조 소령은 현재 샌디에이고에 위치한 해군의료센터에 비뇨기과 레지던트로 근무하고 있다. 남편 조 소령을 포함한 유가족은 조 대위를 잃은 슬픔에 침통해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들 부부는 3세된 딸 크리스틴을 두고 있어 주변을 더욱 안타깝게 하고 있다. 조 대위가 파병전 근무했던 센디에이고 소재 해군의료센터의 소냐 핸슨 공보담당관은 "그를 아는 모든 이들이 행복과 사랑에 충만했던 동료를 읿은 슬픔에 안타까워 하고 있다"면서 "그는 매우 명석한데다 항상 미소를 머금고 있어 지금도 그의 얼굴이 눈에 아른거린다"고 슬퍼했다. 이어 핸슨 공보관은 병원 웹사이트에 추모사이트를 만들어 그와의 추억을 나눌 예정이라고 아쉬워했다. 진성철 기자

2009.03.30. 21: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