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트럼프를 움직이는 측근 그룹 6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다수의 최측근 그룹을 거느리고 이들의 갈등과 긴장 관계를 조율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정책결정 과정을 만들어나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포스트는 27일 기사 〈대통령이 조각난 연합을 통합한다:트럼프 월드의 여섯 파벌〉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통치 방법을 새롭게 조명했다.    보수단체 ‘신앙및자유연맹’(Faith and Freedom Coalition) 창립자이자 노련한 공화당 컨설턴트로 알려진 랄프 리드는 “긴장과 갈등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 남북전쟁 직전에 창당된 공화당의 배경 그 자체”라며 “이는 당의 약점을 보여주는 신호가 아니라 성공의 원동력 중 하나”라고 말했다.   1기 행정부의 백악관 상임고문을 지내고 현재 MAGA(미국을 더욱 위대하게) 진영 지지자들이 많이 시청하는 ‘워룸’ 쇼를 진행하는 스티븐 K. 배넌도 “1932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전 대통령 시절처럼 우리 진영에서도 서로 연합했다가 다시 서로를 공격하는 건 드문 일이 아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인사정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저널리스트 로라 루머는 “자기 진영 내에서 연대하는 것은 단기적으로 잇점이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매우 해롭다”고 단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가장 근접한 최측근 그룹은 역시 MAGA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머저리 테일러 그린, 배넌, 그리고 JD 밴스 부통령도 포함돼 있다. 이들은 미국의 워킹 클래스와 반이민 정서를 등에 업고 작년 선거과정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와 불법이민 단속 정책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그룹이 제프리 엡스타인 파일 공개를 압박하고 아동 성매매 의혹 등을 통해 결집돼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맹종적 충성도를 보여준다. 공화당 전통 세력은 트럼프 1기 행정부와는 달리 작년 선거부터 최측근 그룹 중 하나로 부상했다. 글렌 영킨 버지니아 주지사, 린지 그래험, 브라이언 켐프, 존 튠 연방상원의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그룹은 전통적으로 관세가 없는 자유무역을 추종했으나,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는 상호관세 지지로 돌아섰다.     ‘작은 정부론’ 측근 그룹은 따로 있다. 테드 크루즈 연방상원의원과 론 드산티스 플로리다 주지사가 대표적으로, 이들은 ‘작은 정부론’을 밀어부쳐 트럼프 대통령의 연방공무원 감축 정책과 대규모 감세정책에 드라이브를 걸도록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보수기독교 우선주의’ 정책은 종교 그룹이 맡고 있다.     머저리 데넌펠서, 제임스 란크포드, 마이크 존슨, 랄프 리드 등이 대표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종교 자유 관련 행정명령은 사실상 이들에 의해 주도됐다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이다. 테크 재벌그룹도 흥미롭다. 실리콘 밸리 부자 창업주들은 대체로 민주당 편이었으나, 작년부터 이들이 서서히 공화당 쪽으로 넘어오기 시작했다.   정권 초기 엘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대표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벤처 투자자 마크 앤드리슨, 데이빗 삭스 등이 그룹 주도권을 쥐고 있다. 이들은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끌어내는데 일조했다. 마지막으로 MAHA(미국을 더욱 건강하게) 및 민주당 전향 그룹이 있다.     털시 가버드 국가정보국장과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이 대표적이다. 케네디 장관은 백신 음모론을 펼친 대표적인 인물이지만, 인공색소 사용 금지 등 친환경 단체가 수십년간 요구해온 주장을 관철시켰다. MAHA는 가끔 MAGA와 충돌하고 갈등을 일으켰으나, 그때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적절히 조정해 나가고 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트럼프 측근 트럼프 대통령 최측근 그룹 도널드 트럼프

2025.08.26. 13:56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