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발생한 카탈리나 섬 경비행기 추락사고 사망자 중 신원 미확인자 1명이 30대 남성으로 알려진 가운데, 본지 확인 결과 한국인 여성으로 확인됐다. 사고 비행기 탑승객이었던 여성은 미국에서 항공전문대 석사 과정을 밟는 동시에 비행 교관으로도 활동했었다. 14일 한국인 여성 박다은씨는 신원 미확인 사망자가 여동생인 박조은(사진)씨라고 밝혔다. 박씨는 LA카운티검시국이 어떤 이유로 신원 미확인 사망자를 30대 남성이라고 추정했는지는 모르겠다고 밝혔다. 앞서 AP, LA타임스 등은 LA카운티검시국 발표를 인용해 신원 미확인 사망자 1명이 30대 남성이라고 일제히 보도했다. 사망자 5명 중 경비행기 소유주인 알리 사파이(73)를 비롯해 마가렛 메리 페너(55), 곤잘로 루벨(34), 해리스 알리(33) 등 4명의 신원은 밝혀졌다. 박조은씨는 엠브리-리들 에어러노티컬 대학에서 항공 과학 석사 과정을 밟고 있었으며 비행 교관으로도 활동했었다. 또 그는 ‘조은파일럿’이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자신이 비행기 조종사라는 꿈을 가지게 된 계기부터 미국에서 비행 교관이 되기까지 실패 및 경험담을 공유해왔다. 박씨 영상에 따르면 그는 대구 출신으로 고등학교 재학 시절, 공군사관학교 입학설명회를 통해 비행기에 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 계기로 대학 졸업 이후 항공사 객실 승무원 채용에 수차례 도전했지만 계속해서 떨어졌었다. 이후 서울에서 7년여간 직장 생활을 했다. 그러던 중, 박씨는 우연한 기회로 참석한 호주 콴타스 항공 자선행사에서 여성 비행기 조종사를 마주하면서 다시 한번 비행기에 대한 열정을 갖고 뒤늦게 조종사의 꿈을 키우기 시작했다. 그는 31살에 첫 비행을 했다고 영상을 통해 밝혔다. 한편, 연방 교통안전위원회가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인 가운데 어두운 밤 시간대에 무리하게 이륙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당시 누가 조종간을 잡았는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익명의 박씨 지인은 당시 박씨가 승객으로 비행기에 탑승했었다고 밝혔다. 지난 12일 LA타임스는 카탈리나 섬 공항은 항공모함에서 이착륙하는 것과 같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공항에는 야간 근무자, 활주로 조명 등 야간 운항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에 야간 운영을 하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LA타임스는 경비행기가 이륙 몇 초 후 산비탈에 부딪히며 추락하게 됐다고도 밝혔다. 김경준 기자경비행기 추락사고 경비행기 추락사고 신원 미확인자 결과 한국인
2024.10.14. 20:23
이틀 전 점검 받은 주택용 엘리베이터에서 영유아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해 조지아 전역에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지역매체인폭스5뉴스에 따르면 지난달 벅헤드에 거주하는 브라운 씨 부부의 2살난 아들 제이스는 집안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샤프트(승강기를 수용하는 수직 공간)를 통해 2층에서 지하실까지 거의 15피트를 떨어지는 사고를 겪었다. 이들은 연로한 부모를 고려해 집안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했다. 그러나 사건 당시 엘리베이터의 잠금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문이 쉽게 열린 것으로 드러났다. 제이스는 승강기와 벽 사이에 낀 채로 구조됐으며, 열상, 뇌진탕 등의 증상을 호소하고 현재는 집에서 회복 중이다. 제이스의 엄마 알리아 브라운 씨는 매체에 "성인이나 노인에게도, 밤에 누구나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며 사건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엘리베이터 문의 나무 나사 잠금 시스템을 고정하는 '패스너(fastener)'에 결함이 있던 것으로 밝혀졌으나, 사건 이틀 전 점검 당시에는 특별한 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주 보험 커미션은 해당 엘리베이터에 쓰인 나무 나사 잠금 시스템이 "부적절하고 안전하지 않다"고 규정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동일한 시스템이 주 전역 48대의 엘리베이터에서 아직 사용되고 있다고 알려졌다. 폭스5뉴스는 해당 엘리베이터는 '벨라 엘리베이터'가 제조하고 '아메리칸 엘리베이터' 애틀랜타 지사가 설치했다고 보도했다. 주 조사관은 '아메리칸 엘리베이터' 지사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주택 소유주들에게 연락해 승인된 업데이트가 설치되기 전까지 사용을 중단하라는 연락을 하라고 명령했으며, 회사에도 과태료 5000달러를 부과했다. 윤지아 기자엘리베이터 추락사고 주택용 엘리베이터 아메리칸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문의
2023.03.02. 16:46
25년 전, 228명의 목숨을 앗아간 참사 현장에 유가족들이 다시 섰다. 지난 6일 괌 대한항공기 추락 사건 25주기를 맞아 당시 사고 현장이었던 괌 안토니오 B. 원 팻 공항 앞 언덕인 니미츠 힐에는 희생자 유가족과 사고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추모행사가 진행됐다. 지난 1997년 8월 6일 서울 김포국제공항을 떠난 대한항공 801편은 괌의 안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으로의 접근 중 추락했고 승객 254명 중 228명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당시 탑승객 중 9명을 제외한 전체(245명)가 한인 및 한국인이었다. 25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그날의 참사는 기억 속에서 희미해져 가지만 26명의 생존자와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의 상처는 아직도 아물지 않았다. 이날 추모 행사에는 유가족들과 괌 주지사, 괌 의회 및 사법부, 대한항공 관계자들, 김인국 신임 주하갓냐 출장소장 등 수십명이 참석했다. 괌 뉴스 등 지역 매체들은 이 소식을 다뤘지만 25주기를 언급한 한인 언론은 없었다. 참사 현장에 모인 이들은 당시 사고를 회상하며 서로의 아픔을 토닥이고 피해자들의 넋을 기렸다. 유가족단체 이창호 회장은 “대한항공이 괌에 추락하던 그날의 비극을 잊지 못할 것”이라며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습과 얼굴이 아직도 기억 속에 선명히 남아 있다”고 착잡한 심경을 전했다. 당시 사고로 남동생 조귀영(당시 28세)씨를 잃은 이나 이(Ina Lee)씨는 이날 “두 살 때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동생과 우리 형제들을 위해선 오래오래 살자고 약속했는데, 끝내 동생은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이씨에 따르면 25년 전 당시 2살, 1살 두 자녀를 둔 동생 조씨는 한국에서 휴가를 마치고 괌으로 돌아오던 중 변을 당했다. 이씨는 “당시 내가 대한항공에서 일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생은 대한항공을 이용했다. 가슴이 찢어졌다”고 눈물을 흘렸다. 이어 “괌에서 40년을 살았지만 결국 동생의 시신을 수습하지 못했다”며 “추모식은 나와 가족들에게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전했다. 26명의 생존자 중 한 명인 뉴질랜드 주민 배리 스몰스는 이날 추모행사에 편지를 보내 유가족들과 슬픔을 함께했다. 당시 어류탐지헬리콥터의 비행 및 유지보수 일로 괌으로 오던 중 발생한 사고에서 기적적으로 생존한 스몰스는 편지에서 “수많은 아이와 부모들이 죽고 나는 살아남았다는 사실이 죄책감을 몰려와 부러진 뼈와 화상도 잊게 할 만큼 고통스러웠다”고 전했다. 평생 항공업에 종사해온 그는 사고 이후 항공 산업의 비극을 알리고 항공기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캠페인을 해왔다고 전했다. 스몰스는 “살아남지 못한 승객들에게 빚을 졌다고 생각하고 이 사건이 헛되이 지나가지 않도록 무언가를 하기로 결심했다”며 “그간의 노력이 25년 후인 지금 안전한 비행을 가능하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게 돼 위안이 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제36대 괌 의회는 사고 25주년을 기념하고 희생자와 유가족들, 생존자들을 기리기 위한 결의안 404호를 발표했다. 장수아 기자대한항공기 추락사고 대한항공기 추락 1면 대한항공기 유가족들 생존자들
2022.08.08. 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