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렌지카운티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축제인 ‘아리랑축제’ 개최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무산됐다. 아리랑축제를 주최하는 OC한인축제재단(회장 정철승, 이하 재단) 측은 최근 장소 확보에 실패, 축제를 열지 못한다고 밝혔다. 축제 장소 문제는 재단의 해묵은 골칫거리다. LA한인축제라고 하면 한인들은 서울국제공원을 떠올린다. 반면, 아리랑축제는 매년 장소 선정 문제로 고민해야 하고 때로는 아예 축제를 열지 못하고 있다. 확실하게 고정된 개최 장소 없이는 축제가 방랑객 신세를 면할 길이 없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재개된 아리랑축제는 2022년엔 가든그로브의 US메트로뱅크 몰 주차장에서, 2023년엔 역시 가든그로브의 가든그로브 공원에서 열렸다. 사실 재단 측은 공원보다는 쇼핑몰에서 축제를 여는 걸 선호한다. 몰은 관람객 접근은 물론 부스와 무대 설치, 청소, 경비 등이 용이하다. 전기와 물을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다. 장소 사용 관련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공원에서 축제를 열면 불편하다. 몰의 장점을 뒤집으면 공원의 단점이 된다. 시에 지불해야 할 공원 사용료도 만만치 않다. 이런 이유로 재단은 몰에서 축제를 열지 못하게 되면 공원 개최를 대안으로 삼았다. 지난 2011년 축제가 US메트로뱅크 몰 주차장을 벗어나 가든그로브의 빌리지 그린 공원에서 열렸던 주요인은 축제 개최를 반대하는 입점 업체가 한 곳이라도 있으면 시 당국이 개최 허가를 내주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 이듬해인 2012년 축제는 다시 US메트로뱅크 몰에서 열렸다. 이후 또다시 입점 업체들을 설득하다 지친 재단 측은 2013년엔 아예 가든그로브를 떠나 부에나파크의 매콤보 쇼핑센터에서 축제를 열었다. 2014년 축제는 부에나파크의 맬번길 비치~알론드라 길 사이 도로를 막은 채 거리 축제 형식으로 열렸다. 재단 측은 당시 축제의 성과에 크게 만족했지만, 도로 통제에 따른 주민들의 민원으로 이후 다시는 거리에서 축제를 열지 못했다. 마땅한 장소를 구하지 못해 2015년 축제를 건너뛴 재단은 2016년 축제를 부에나파크 시청 주차장에서 열었다. 부에나파크의 다른 장소에 비해 신통치 않은 결과를 거두자, 재단은 새 장소를 알아본 끝에 2017년 더 소스 몰에서 축제를 개최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고무된 재단은 2018년에도 같은 장소에서 축제를 열었다. 이제야 마땅한 장소를 구했나 싶었지만, 2019년 축제는 다시 가든그로브로 돌아왔다. 더 소스 몰의 입점 업체와 쇼핑객이 늘면서 대규모 축제를 여는 것이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최근 14년 동안의 역사를 살펴보면 어느 시점부터 최선이 아니라 차선, 또는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곳에서 축제가 열리고 있다. 재단의 고충은 이해하지만, 이대로는 곤란하다. 아리랑축제를 매년 차질없이 개최하려면 어려움이 따르더라도 최선의 장소를 찾고, 그곳에서 계속 축제를 열어야 한다. 방랑에 종지부를 찍어야 축제의 질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축제는 가든그로브와 부에나파크, 두 도시에서만 열렸다. 한인이 밀집 거주하는 다른 도시에서 축제를 여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 마침 정철승 재단 회장도 “내년엔 풀러턴이나 어바인에서 축제를 여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축제의 질적 향상도 꾀하길 바란다. 매년 비슷한 축제란 평가에서 벗어나야 한다. 베트남계 커뮤니티와 함께 마련한 2023년 축제는 예상보다 많은 인원을 동원했지만, 소통의 문제와 한국 특산물 벤더, 한식 판매 부스의 매출 부진이란 문제점을 남겼다. 오랜 기간, 오렌지카운티 한인들이 즐겨온 아리랑축제가 화려하게 부활하길 바란다. 그 선결 과제는 축제 개최 장소를 확보하고, 그 자리에서 지속해서 축제를 여는 것이다. 재단의 분발을 기대한다. 임상환 / OC취재담당·국장중앙칼럼 아리랑축제 방랑 반면 아리랑축제 가든그로브 공원 축제 개최
2025.09.23. 18:23
오렌지카운티를 대표하는 오케스트라 ‘퍼시픽 심포니’가 오는 22일(토) 오전 11시부터 코스타메사의 르네 & 헨리 세거스트롬 콘서트홀(600 Town Center Dr)에서 등불 축제(The Lantern Festival)를 개최한다. 등불 축제에선 퍼시픽 심포니를 포함한 커뮤니티의 프로, 아마추어 연주자들의 공연, 용춤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의 전통 무용 등을 감상할 수 있다. 형형색색의 등을 장식해보는 코너도 있다. 행사장 곳곳엔 포토존과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된다. 웹사이트(pacificsymphony.org/show-details/oc-lantern-festival-2025)에서 무료 입장권을 구할 수 있다.콘서트홀 퍼시픽 퍼시픽 심포니 등불 축제 축제 개최
2025.02.18. 18:35
제38회 아리랑축제(9월 29일~10월 2일)가 막을 내렸다. 축제가 열린 가든그로브 US메트로뱅크 몰 주차장을 방문한 한인들은 3년 만에 재개된 축제를 반기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지만, 행사 규모와 흥행이 예년에 비해 못하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형민(68·스탠턴)씨는 “모처럼 축제가 열려 반갑고 즐거웠는데, 사람이 많지 않아 분위기가 좀 처진 것 같다”라고 말했다. 관람객 수 감소는 OC한인축제재단(이하 재단, 회장 정철승) 측도 인정했다. 본지가 축제 기간 중 취재한 재단과 한인단체 관계자, 관람객들의 의견을 취합한 결과, 관람객 감소 원인은 크게 3가지로 압축됐다. 첫째, 준비와 홍보 시간 부족이다. 재단 측은 US메트로뱅크 몰의 일부 업주가 축제 개최 동의 서명을 거부해 어려움을 겪다가 축제 개최를 불과 2달 남겨 놓은 7월 26일에야 축제 개최를 확정할 수 있었다. 〈본지 7월 27일자 A-11면〉 재단 측은 뒤늦게 축제 준비에 박차를 가했지만, 당초 예정했던 한국 기업 대상 엑스포를 취소해야 했다. 재단 측은 “준비 시간 부족으로 부스 계약과 홍보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축제 예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스 계약 지체는 출연진 섭외 예산 감소로 이어졌다. 둘째, 무대 프로그램과 부스에서 판매하는 제품이 과거 축제와 별다를 것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올해 축제 프로그램은 3년 전 프로그램과 다른 점을 찾기가 어려웠다. 이는 준비 기간 부족과 관련이 있긴 하나, 이전부터 반복된 지적이기도 하다. 셋째, 코로나19 여파다. 가든그로브에 많은 고령층 한인 중 상당수가 사람이 많이 모이는 축제장 방문을 꺼린 것으로 보인다. 실제 축제장에서 만난 시니어 중 꽤 많은 이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었다. 김미향(76·가든그로브)씨는 “지인 여럿이 코로나로 사망했다. 마스크를 쓰고 왔는데도 불안해 특산물 좀 사서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상환 기자아쉬움 흥행 흥행 부진 가든그로브 한인사회 축제 개최
2022.10.03. 17:32
어바인 시가 오는 24일(토) 오전 11시~오후 3시까지 그레이트 파크에서 ‘히스패닉 문화유산의 달’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시 당국과 UC어바인이 함께 마련하는 이 축제에선 다양한 히스패닉 음악, 예술, 문학 등을 즐길 수 있다. 여러 종류의 음식을 맛볼 수 있는 푸드 트럭도 축제에 참여한다. 244번 격납고엔 상품, 공예, 교육 관련 부스가 들어선다. 팝업 전시 이벤트도 열린다. 누구나 무료로 축제에 참가할 수 있다. 축제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시 웹사이트(cityofirvine.org/fiesta)에서 찾아볼 수 있다.히스패닉 축제 축제 개최 히스패닉 문화유산 히스패닉 음악
2022.09.01. 17:00
어바인 한국문화축제가 3년 만에 재개된다. 축제를 관장하는 OC한인문화재단(이하 재단, 이사장 윤주원)은 오는 5월 14일(토) 제11회 어바인 한국문화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년의 공백을 딛고 3년 만에 축제가 재개되는 것. 축제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 시청 앞 광장에서 진행된다. 축제준비위원장을 겸임하고 있는 윤주원 이사장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올해도 축제를 열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걱정했는데 다행히 최근 들어 상황이 좋아져 축제 개최 최종 결정을 내렸다. 코로나 추이에 따라 세부 사항을 확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단 측은 올해 축제 규모를 예년보다 축소할 방침이다. 일단, 시청 내부엔 부스를 설치하지 않기로 했다. 코로나 확산 가능성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다. 같은 이유로 인근 주차장과 시청을 왕복하는 셔틀버스 서비스도 올해는 제공하지 않는다. 윤 이사장은 “무대 크기도 줄이고 LED 스크린도 설치하지 않기로 했다. 그 대신, 다양하고 알찬 프로그램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축제는 한국 문화 소개를 목적으로 열리는 행사 중 오렌지카운티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올해 축제에서도 관람객이 한국의 문화, 역사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각종 부스가 마련된다. 한국화와 서예, 도자기, 전통 공예품, 한복 등은 전시 부스를 통해 만날 수 있다. 투호, 제기차기를 포함한 전통 놀이 체험 부스, 한식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음식 부스도 마련된다. 무대에선 사물놀이, 부채춤, 소고춤 등 전통 악기와 무용 공연, 태권도 시범 등이 이어진다. 윤 이사장은 “올해는 K-팝 노래와 댄스 경연대회도 열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문화축제는 무료로 즐길 수 있다. 주차는 시청과 인근 공원 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시청과 맞닿은 주차장은 음식 부스가 들어설 예정이므로 주차할 수 없다. 윤 이사장은 “한국문화축제를 좋아하는 주민이 많다. 축제를 통해 팬데믹 장기화로 쌓인 이들의 피로를 풀어주고 팬데믹 극복의 희망을 불어넣을 수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다”고 말했다. 재단 측은 축제 관련 세부 사항이 확정되는 대로 발표할 예정이다. 임상환 기자 임상환 기자한국문화축제 어바인 어바인 한국문화축제 축제 규모 축제 개최
2022.02.16. 1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