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집 사려다 ‘주춤’...매매 취소 급증

경제 불확실성이 짙어지면서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서 주택 매매 취소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회사 레드핀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월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주택 매매 취소율을 기록했다. 지난달 애틀랜타의 주택 매매 계약 5건 중 1건이(20%) 취소됐는데, 전년 동기 취소율 17.6%보다 크게 높아졌다.       지난달 전국 주택 계약 취소 건수는 약 5만6000건으로   14.3%의 취소율을 기록, 작년 같은 달의 13.5%보다 높아졌다. 보고서는 “일반적으로 취소율은 연말에 높고 봄에 낮다”는 점을 언급하며 바이어의 집 구입 취소가 증가한 이유로 높은 가격, 경기 불확실성 등에 더해 주택시장이 점차 ‘바이어스 마켓’으로 옮겨가고 있는 점 등을 꼽았다.     레드핀 에이전트들은 경제적, 정치적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일부 바이어들이 신중한 태도를 보인다고 분석했다. 관세, 해고, 연방 정책 변화 등이 사람들이 이사 대신 기존 주택을 유지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최근 레드핀 설문조사에 의하면 미국인 4명 중 1명 꼴로 ‘관세 때문에 주택 구매 계획을 취소했다’고 답했다.     또 주택 재고가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점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재고는 늘고, 수요는 둔화하고 있어서 바이어들의 협상의 여지가 커지면서 더 나은 집이 이미 나왔거나, 나올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인스펙션 기간 구입을 미루는 사례가 많아졌다.       모기지 금리와 주택 가격이 여전히 높은 점도 거래 취소를 부추기고 있다. 프레디맥에 따르면 5월 셋째 주 30년 만기 고정 기준 모기지 평균 금리는 6.86%로 상승했다. 이는 1년 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2020년 말~2021년 초 팬데믹 당시의 금리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이 때문에 마지막 순간에 마음을 바꾸는 바이어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천 자오 레드핀 경제연구 책임자는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좋은 조건을 얻기 위해 주택 구매를 연말까지 일부러 미루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변화하는 시장에서 지금 당장 협상의 여지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빨리 구입할수록 자산을 더 빨리 쌓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애틀랜타의 뒤를 이어 플로리다주의 올랜도, 탬파가 각각 19.4%, 19.1%로 지난달 주택 거래 취소율이 전국에서 2, 3번째로 높았다. 마이애미, 포트로더데일, 잭슨빌 등도 상위권에 들었다. 윤지아 기자애틀랜타 취소율 주택 매매 애틀랜타 지역 주택 재고

2025.05.29. 15:05

썸네일

주택 구입계약 '취소' 봇물...애틀랜타 전국서 가장 높아

애틀랜타 19.8%...산불피해 LA보다 높아 트럼프 2기 경제 불확실성이 주된 요인   애틀랜타 지역에서 주택을 구입하려다 중간에 계약을 철회하는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중개사이트 ‘레드핀’에 따르면 지난 1월 애틀랜타의 잠정주택 판매 취소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잠정주택판매(pending home sale)’ 계약의 5분의 1가량(19.8%)이 1월에 취소됐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3.2%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애틀랜타의 취소율은 전국 취소율 추정치 7분의 1(약 14%)보다 훨씬 높다. 산불로 인해 거래 취소율이 2017년 이래 가장 상승한 LA지역(15.9%)보다도 취소율이 높았다. 작년 같은 달보다 취소율이 가장 높아진 지역은 디트로이트로, 2024년 13.1%에서 올해 17.4%의 취소율을 보였다.   레드핀은 모기지 금리 등락, 높은 주택 가격 등으로 바이어가 주택을 사기로 마음 먹었다가도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가 최근 더 자주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전반적으로 해고도 늘고, 경제 정책이 급격하게 변하는 바람에 주택 구입 의사가 있던 바이어들도 미국 경제에 대해 점점 회의적 전망을 가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에 대해 관세전쟁을 선포하면서 소비자들은 물가 급등과 생활비 상승을 걱정하고 있다. 관세는 소비자 물가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신축 주택을 짓는 비용 또한 상승시킬 수 있어 내집 마련 부담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잠재적 바이어들은 주택 매물이 늘 때까지 상황을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부동산 중개회사 리/맥스의 2월 주택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의 1월 주택 매물 리스팅은 작년 같은 달보다. 75% 증가했다.   첸 자오 레드핀 경제 연구 책임자는 애틀랜타 비즈니스 크로니클에 “최근 몇 년 동안 애틀랜타의 주택 건설 활동이 증가하면서 신규 주택 공급도 늘고 있지만 주택 계약 취소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지아 기자애틀랜타 취소율 애틀랜타 전국 전국 주택 주택 계약

2025.03.07. 14:38

썸네일

라과디아, 취소율 가장 높은 최악의 공항

뉴욕 라과디아공항이 올여름 전국에서 항공편 취소율이 가장 높은 최악의 공항으로 선정됐다. 뉴저지주 뉴왁의 리버티국제공항은 전국서 두 번째로 취소율이 높은 공항이었다.     10일 블룸버그통신이 전 세계 공항·항공사 만족도를 조사해 순위를 매기는 '에어헬프'(AirHelp) 데이터를 인용해 보도한 데 따르면, 항공편 취소가 잇따랐던 올해 여름(5월 27일~7월 15일) 라과디아공항의 항공편 취소율은 7.7%로 전국 주요공항 중 취소율이 가장 높았다. 뉴왁리버티국제공항 취소율은 7.6%로 뒤를 이었다. 전국 공항의 평균 취소율이 같은 기간 2.6%에 불과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뉴욕 일원 공항의 항공편 취소율이 3배 수준에 달한 셈이다.     에어헬프는 "항공편이 많이 집중되는 공항에서 취소나 지연이 더 많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뉴욕 일원 공항이 나란히 최악의 취소율을 기록한 가운데, 워싱턴DC 레이건 공항(5.9%), 피츠버그국제공항(4.1%) 등도 올여름 항공편 취소가 잦았던 곳으로 꼽혔다.   여행객 수요가 급증해 뉴욕 일원 항공편 수는 많아진 가운데, 일할 사람은 부족한 데다 변화무쌍한 날씨까지 겹치면서 항공편 취소율이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의 경우 항공 이용객이 팬데믹 이전의 88%에 달할 정도로 회복됐는데, 그에 비해 직원 수는 팬데믹 이전만큼 늘지 않아 각종 서비스가 더디게 진행됐다. 심지어 델타항공 파업,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직원들의 잦은 병가 등이 겹치면서 출발을 몇 시간여 앞두고 갑작스레 항공편이 취소되는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한편 에어헬프 측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오후 4시~10시 사이 저녁 시간 항공편 취소가 가장 잦았다고 전했다. 금요일의 경우 정시에 출발한 경우가 69%에 불과했으며, 화요일은 정시 출발 비중이 78%로 가장 높았다.     전문가들은 노동절 연휴가 이어지는 9월까지도 항공편 지연·취소사태는 여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자 교통부는 지난 3일 국내선 항공편이 3시간 이상 지연되면 무조건 환불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출발 혹은 도착공항이 바뀌었거나, 예정과 달리 경유지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노선을 바꿨을 때도 환불해줘야 한다. 김은별 기자라과디아 취소율 항공편 취소율 뉴욕 라과디아공항 라과디아 취소율

2022.08.10. 16:4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