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앤디 김 본지 단독인터뷰] 한인 첫 상원 입성길 맞상대는 친트럼프

“11월 본선에서는 억만장자에 맞섭니다. 함께 해주세요.”   한인 최초로 연방 상원의원(뉴저지)에 도전하는 앤디 김(사진) 민주당 후보가 예선 승리 후 한인사회에 당선 사례와 향후 전망을 전해왔다. 연방하원 3선인 김 후보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선거가 ‘정치의 본연’으로 돌아가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4일 예선에서 표출된 전국 한인들의 뜨거운 관심과 지지에 다시 한 번 감사한다”며 “높은 지지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새로운 정치에 대한 바람과 기대가 높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바로 그 가치를 위해 달려가겠다”고 전했다.   11월 본선에 대한 전망을 묻는 질문에 그는 “비교적 적은 표를 받기는 했지만 공화당 커티스 배쇼 후보는 억만장자이면서 트럼프를 공개 지지해온 인물이며 엄청난 자금 공세를 펼칠 것으로 본다”며 “여기에 여전히 부패 혐의로 재판중인 밥 메넨데스 현역 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할 것으로 예상돼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뇌물수수 혐의를 받고 있는 메넨데스에 대한 배심원 평결은 현재 7~8월로 예상되고 있으며 만약 일부 무죄 평결이 나오거나 항소 절차가 이뤄지면 여전히 당내 일부 조직표를 잠식할 공산도 남아있다.   김 후보는 지난 4일 민주당세가 강한 뉴저지 당내 예선에서 무려 75%(95% 개표 현재 38만8251표)가 넘는 몰표를 받았으며 총 786만 달러 가량의 기금을 모아 주목을 받고 있지만 결코 안심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뉴저지 상원 본선에서는 세 번의 하원 본선 경험을 바탕으로 더 명확한 메시지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는 “하원에서 78만 명을 대표하던 내가 900만 명 뉴저지 주민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라며 “21개 카운티를 모두 돌며 차근차근 득표 활동을 할 것이며 여기에 한인사회의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국 정치권에서도 김 후보의 선전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고 있다는 김 후보는 굳건한 한미 동맹을 강조했다.   “휴전 이후 70여 년 동안 한미동맹을 이어왔듯이 군사 분야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성장을 주도하는 한국과의 경제, 기술 측면에서의 교류도 더욱 깊어져야 할 것입니다. 미국은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데 큰 힘이 될 한일 관계가 건설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도 큰 의미를 갖는다고 봅니다.”   그는 선거가 치열해질수록 가족에 대한 중요성도 빠트리지 않았다.   “아이러니한 것은 정치가 초등학생인 두 아들로부터 아빠를 자주 빼앗았지만 최근 첫째 아이가 ‘누군가를 돕는 것이 정치’라는 것을 배웠다고 말해줘서 놀랐어요. 이런 아이들의 믿음이 있어서 더 큰 힘이 납니다.”   김 후보는 “여러분 가까이서 삶을 챙기는 것이 정치의 근본 의무라고 믿는다면 선거에 10달러 또는 20 달러씩 지원(andykim.com)하고 자원봉사에 동참해 메시지를 함께 전하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11월 5일 선거까지는 92일 남았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앤디 김 본지 단독인터뷰 친트럼프 맞상대 뉴저지 상원 전국 한인들 한국 정치권

2024.06.25. 20:45

썸네일

새 하원의장 승자, 친트럼프…강경 보수 마이크 존슨 선출

하원이 '친트럼프' 인사로 분류되는 마이크 존슨 의원을 새 하원의장으로 선출했다. 하원의장은 미국 권력서열 3위 자리로, 이달 초 공화당 출신 케빈 매카시 전 의장이 당내 강경파에 의해 해임된 지 22일 만에 의회 마비 사태를 마무리했다.   하원 다수당인 공화당 소속 존슨 의원은 25일 본회의에서 재석 의원 429명 가운데 공화당 소속 의원 220명 전원의 지지를 받아 과반(217표) 득표에 성공하며 하원의장에 올랐다. 재석한 민주당 의원 209명 전원은 하킴 제프리스 민주당 원내대표에 투표했다. 〈관계기사 6면〉   앞서 하원은 지난 3일 매카시 전 의장이 연방정부 업무 정지(셧다운)를 피하기 위해 임시 예산안을 처리한 것에 반발해 공화당 강경파의 주도와 민주당의 가세로 의장 해임결의안을 처리했다.     하원은 이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요청한 이스라엘.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한 긴급 안보 예산을 조속히 심의.처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 연방정부 셧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달 중순 임시 예산 기한이 종료되기 전에 예산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   존슨 신임 의장은 취임 연설에서 "의회에 대한 미국인의 신뢰가 위태로운 상황"이라며 "우리는 이 무너진 신뢰를 재건해야 하는 도전을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현재 위태로운 시간에 서 있으며, 위험에 빠진 세계는 강력한 미국을 필요로 한다. 우리는 자유의 횃불"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동에서 우리의 위대한 동맹이 공격받고 있다"면서 "내가 잠시 후 상정할 첫 번째 법안은 이스라엘 지원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존슨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임 중 일부 이슬람 국가 출신자들의 이민을 금지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을 때 지지를 표명하는 등 강경 보수 성향으로, 당내에선 대표적인 친트럼프 의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인사다.   바이든 대통령이 승리한 2020년 대통령 선거 결과를 뒤집기 위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노력에도 동참했다.     변호사 출신인 존슨 의장은 2015~2017년 루이지애나 주 하원의원을 거쳐 2017년부터 연방 하원의원으로 재임 중이다. 하원 진출 이후 주요 보직을 맡은 경력이 없어 하원의장으로서 정치적 중량감이 부족하다는 게 워싱턴 정가의 지적이다.     이날 워싱턴포스트(WP)는 존슨 의장의 선출 소식을 "잘 알려지지 않은 존슨 의원이 하원의장으로 선출됐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그는 2020년 대선 결과 인준에 반대했고 낙태와 우크라이나 원조에도 반대표를 던진 인물이며, 성 소수자 규제를 지지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강경 친트럼프 의원인 그에 대한 당내 온건파의 곱지 않은 시선 때문에 선출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관측도 있었다. 뉴욕타임스(NYT)는 "같은 당 의원에 대한 비난과 폭력적인 위협이 난무하는 '잔인한 내분'에 지친 당내 강경파와 주류 공화당원이 존슨을 당선시키로 합의를 본 것"이라며 "(전임 후보가) 잇따라 낙마하지 않았다면 존슨은 어떤 시나리오에서도 의장으로 선출되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매카시 전 의장 해임 이후 후임 의장 선출에 나섰던 공화당은 첫 번째 후보로 스티브 스컬리스 원내대표를 선출했지만, 당내 반대파의 저항으로 후보를 유지하지 못했다. 두 번째 후보로 선출한 짐 조던 법제사법위원장은 세 차례의 본회의 표결에도 반대표를 넘어서지 못해 결국 후보에서 물러났다. 세 번째 후보였던 톰 에머 원내수석부대표도 당내 초강경파 20여명의 반대를 극복하지 못해 본회의에서 선출투표를 시도조차 하지 못한 채 후보 지명 4시간 만에 사퇴했다. 임성빈 기자하원의장 친트럼프 마이크 존슨 친트럼프 인사 공화당 강경파

2023.10.25. 20:38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