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비밀경호국(Secret Service)이 뉴욕시 전역에서 급증하는 ATM 카드 스키밍 범죄에 대응해 대대적인 단속 작전에 돌입했다. ‘오퍼레이션 플래그십(Operation Flagship)’이라는 명칭의 이번 단속은 연간 약 80억 달러의 피해를 초래하는 전국적 조직 범죄를 겨냥한 것이다. 뉴욕 시내 소형 마켓과 보데가(bodega)에 설치된 ATM 단말기를 중심으로 집중 점검이 이뤄지고 있다. 비밀경호국은 뉴욕시경(NYPD), 농무부(USDA), 주요 신용카드사들과 협력해 스키밍 장비와 몰래카메라가 설치된 ATM을 추적하고 있다. 이들 장치는 단 2~4초 만에 부착 가능하며, 원격으로 카드 정보와 PIN 번호까지 동시에 탈취할 수 있는 정교한 구조로 돼 있다. 스키밍 장치는 주로 ATM 상단에 부착되며, 범죄자들은 양면 테이프나 자기 부착식 부품을 이용해 손쉽게 설치한다. 일부는 작은 몰래카메라를 함께 부착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비밀번호를 영상으로 확보하기도 한다. 당국에 따르면, 스키머 한 대당 평균 30만 달러 이상의 불법 이득을 취할 수 있으며, 피해자 1인당 약 1000달러의 금전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범죄조직은 저소득층 복지카드(EBT)를 주요 표적으로 삼고 있어 사회적 약자를 노린 범죄라는 점에서 더욱 큰 비판을 받고 있다. 이번 작전은 현재 브루클린 지역에서 우선 시행되고 있으며, 향후 퀸즈, 브롱스 등지로 확대될 예정이다. 비밀경호국은 시민들에게 ATM 이용 시 카드 리더기나 주변 장치의 이상 여부를 주의 깊게 확인하고, 정기적으로 계좌 내역을 점검할 것을 당부했다. 서만교 기자 [email protected]비밀경호국 대규모 카드 스키밍 스키밍 장치 스키밍 장비
2025.05.22. 21:38
미국에 불법 체류 중이던 루마니아 및 프랑스 국적 외국인 5명 이 저소득층 복지 수혜자 대상 EBT 카드 스키밍 사기 혐의로 체포됐다. 이들은 ATM 및 카드 단말기에 불법 스키밍 장치를 설치해 EBT 카드 정보를 복제 한 후, 이를 이용해 피해자 계좌에서 현금을 인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캘리포니아 사회복지국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1억 2,700만 달러가 도난 당했다. 2월 2일 로스앤젤레스 전역의 ATM을 감시하는 대규모 단속 작전 에서 이들은 반복적인 현금 인출을 시도하다 체포 되었다. 체포된 용의자들은 최대 58장의 위조 EBT 카드 소지 및 불법 접근 장치 사용 혐의 로 기소됐으며, 하루에 최소 2만 5,500달러 이상 을 인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법무부는 “이들은 불법 체류 신분으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조직적 범죄 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용의자 중 3명은 보석 없이 구금 되었으며, 모두 2월 5일부터 3월 11일 사이 법정 출두 예정이다. AI 생성 속보위조카드 스키밍 위조카드 58장 카드 스키밍 불법 스키밍
2025.02.06. 10:57
가든그로브의 주유소에서 구별이 매우 힘들 정도로 기존과 유사한 가짜 카드 리더기가 발견돼 주의가 요구된다. 가든그로브 경찰국에 따르면 가짜 리더기는 유클리드 스트리트의 한 주유소 주유기에서 발견됐다. 카드 스키밍 장치는 기존 핀 넘버 입력 패드가 있는 카드 리더기 위에 부착됐었다. 경찰은 가짜 장치가 진짜와 매우 유사하게 생겼으며 35센트의 수수료가 붙는다는 경고 문구도 부착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기존 가짜 리더기 식별하기 위해선 장치가 수상하게 튀어나와 있는지로 확인하는데, 이번에 발견된 스캠 장치는 매우 얇아 한눈에 구별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가짜 리더기가 얼마나 오랫동안 설치돼 있었는지 또는 피해자의 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연방수사국(FBI)에 따르면 이와 같은 카드 스키밍으로 인해 매년 전국에서 10억 달러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온라인 뉴스팀한인 캘리포니아 LA 로스엔젤레스 가든그로브 경찰국 카드 리더기 카드 스키밍
2024.09.05. 13:43
LA카운티가 올여름부터 새로운 직불카드(EBT)를 도입한다. LA카운티 수퍼바이저위원회(이하 위원회)는 24일 카운티 공공사회서비스국(DPSS)에 새로운 EBT카드 시행 준비와 관련 홍보 캠페인 개발 등을 담은 보고서를 마련할 것을 요청했다. 앞서 캘리포니아주는 EBT 카드 사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칩 및 탭 기술이 도입된 EBT카드를 올해 여름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힌바 있다. 새로운 EBT 카드는 칩이 내장되어 있어 보다 안전한 결제를 가능하게 하고, 기존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기술보다 높은 보안을 제공한다. LA카운티는 본격적인 시행을 위해 칩.탭 카드로의 전환을 홍보하는 공공 캠페인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LA카운티에 따르면 EBT 카드 사기 피해액은 2021년 약 95만 달러에서 2023년 6130만 달러로 6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의 경우 1~4월까지 4개월 동안 피해액은 이미 2080만 달러에 달한다. 이로 인해 많은 혜택 수혜자와 납세자들이 새로운 보안 조치를 요구했다. 위원회는 칩 및 탭 기술이 도입되면 카드 스키밍 등의 사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최준호 기자 [email protected]칩기술 카드 카드 사기 카드 스키밍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2024.07.24. 20:18
카드 정보를 복제하는 금융사기인 일명 ‘카드 스키밍(Card Skimming)’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연방 재무부은 공공장소나 외부에 설치된 자동지급기(ATM)를 이용할 때는 각별히 조심하라고 당부했다. 23일 연방재무부에 따르면 카드 스키밍 사기범은 일반인이 ATM·주유소 주유기·전자미터기에서 데빗카드 또는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순간을 노린다. 이들은 카드를 넣는 단말기 입구에 복제장치 또는 몰래카메라를 설치해 카드번호, 비밀번호 또는 우편번호 등 개인정보를 도용한다. 특히 카드를 넣는 단말기 입구에 복제장치를 설치한 경우 손쉽게 복제카드를 만들어 피해를 키울 수 있다. 사기범은 단말기 외에 키패드도 가짜로 덧씌워 우편번호 또는 비밀번호를 훔친다. 이와 관련 KTLA5는 노스웨스트 커뮤니티 크레딧 유니언이 제공한 카드 스키머 사진을 공개했다. 사기범이 카드복제를 위해 ATM에 설치한 가짜 단말기는 색깔이 짙고 뭉툭한 모양 등이 특징이다. 하지만 원본과 큰 차이가 없어 사용자가 방심하기 쉽다. 노스웨스트 커뮤니티 크레딧유니언 측은 ATM 단말기 주변에 접착제나 테이프가 보이고, 눈에 띄게 부피가 큰 단말기나 키패드가 부착되고, ATM 주변에 의심스러운 카메라 등이 붙어 있을 경우 스키밍 사기를 의심해야 한다고 전했다. 연방재무부 측은 “사기범은 최신기술을 활용해 개인정보를 훔치고 있다”며 “ATM 등을 사용할 때는 카드를 넣는 단말기 입구와 키패드를 확인하고, 기기 주위에 수상한 카메라가 설치됐는지도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찰은 카드복제 예방법으로 ▶집적회로(IC) 카드 사용 ▶인터넷 쇼핑 시 카드번호 자동저장 금지 ▶전화주문 시 개인정보 제공 주의 ▶카드 사용 시 문자·이메일 통보 서비스 이용 ▶식당 내 카드 직접결제 등을 권고했다. 연방정부는 신용카드 등 은행업무 관련 사기 등 예방법을 웹사이트(HelpWithMyBank.gov)로 안내하고 있다. 김형재 기자스키밍 재무부 카드 스키밍 카드 사용 카드복제 예방법
2024.02.23. 22:04
뉴욕주가 EBT 카드 앱에 ‘잠금’ 기능을 추가했다. EBT 카드 스키밍 범죄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21일부터 EBT 카드 앱인 커넥트EBT(ConnectEBT)에 잠금 도구가 탑재됐다고 밝혔다. 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앱에서 ‘카드 잠금’을 선택하면 구매와 잔액 조회, 거래가 모두 차단된다. 최근 뉴욕주 전역에서 소매점 카드 리더에 스키밍 장치를 설치하는 사례가 급증했다. 결제하는 순간 카드 및 개인 식별 번호 정보를 복사해 잔액을 빼돌리는 방식이다. 지난 6개월간 뉴욕시에 접수된 스키밍 피해 신고만 6만1000건에 달한다. 주정부는 결제 전 카드 리더에 접착제 자국이 있거나 헐거워진 흔적이 있는지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주정부는 작년 8월 EBT 카드 스키밍 피해자들의 구제를 시작했다. 푸드스탬프(SNAP) 등 도난당한 잔액 중 2000만 달러 이상을 상환했다. 스키밍 피해를 본 경우 30일 이내 커넥트EBT 앱이나 헬프라인(888-328-6399)으로 신고할 수 있다. 이하은 기자뉴욕주 카드 카드 스키밍 기능 추가 카드 잠금
2024.02.22. 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