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스 출신 올림픽 대표인 24세의 미국 대표팀 단거리 트랙 선수 샤카리 리처드슨(Sha’Carri Richardson)이 지난 3일(토)에 열린 여자 단거리 100미터 결승전에서 2위로 골인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금메달은 동부 카리브해의 작은 섬인 세인트 루시아(Saint Lucia)의 줄리엔 알프레드(Julien Alfred)가 차지했다. 리처드슨은 강력한 금메달 후보였기에 실망감이 적지 않지만, 도쿄 올림픽 출전권을 박탈당한 뒤 출전한 그의 최초 데뷔전인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이기에 그에게는 의미가 크다. 리처드슨은 지난 금요일 올림픽 첫 데뷔 경기에서 여자 100미터 첫 라운드 예선 경기 중반부터 상대방들보다 앞서 견고한 리드를 유지하면서 10.94초의 기록으로 승리하며 경쟁자들을 압도했다. 리처드슨은 지난달 미국 올림픽대표 선발전에서는 10.71초를 기록하여 올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기록을 세우며 이 종목에서 세계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샤카리 리처드슨은 이번주 8일(목)과 9일(금)에 열리는 여성 4×100미터 릴레이 경기에서도 미국 팀 대표로 뛰며 금메달을 따는 또 다른 기회를 갖게 된다. 토요일 100m 경기가 시작되기 몇 시간 전에 소셜 미디어에는 리처드슨과 자메이카의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가 워밍업을 위해 육상 트랙에 입장하려다가 거부당하는 영상이 올라왔다. 두 육상 스타는 별도의 입구를 사용하라는 말을 들었지만 그곳에 도착하는 데는 한 시간이 걸리고 전날 같은 시간에 같은 게이트를 통해 들어갔지만 허용되었기에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에는 개별로 그 특정 게이트를 통해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야간 규칙이 시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리처드슨이 게이트에서 붙잡혀 다른 곳에서 들어가도록 강요당한 것이 100m 경기 전에 그녀의 집중력을 무너뜨리고 컨디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리처드슨이 스포츠의 가장 큰 무대인 올림픽에 데뷔하기까지의 여정은 짧지 않았다. 리처드슨은 몇 년 동안 트랙 분야에서 상위의 기록을 유지해왔지만 주니어 및 대학 수준에서 거의 모든 우승을 차지했지만, 다른 미국 올림픽 스타들만큼 주목받지 못했다. 리처드슨의 100미터 기록인 2018년의 11.12초와 2017년의 11.28초는 주 챔피언십 역사상 두 번째로 빠른 기록이다. 2018년 200미터에서는 23.02초로 텍사스 주 최고 기록을 달성한 전적이 있다. 하지만, 그는 2021년에 직면했던 당시에 논란의 여지가 있었던 올림픽 출전 자격 정지 조치 때문에 위기를 맞았다. 당시 21세였던 리처드슨은 올림픽 자격을 얻었지만 세계반도핑기구 규정에 따른 금지 물질인 THC(대마초) 양성 반응으로 인해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미국 반도핑 기구는 한 달의 정지 처분을 내렸고, 이로 인해 리처드슨의 2021년 도쿄 올림픽 경기 참가 희망이 좌절되었다. 참고로, 여론조사기관 ‘갤럽’은 지난달 26일 텍사스에서는 총 42명의 선수가 미국을 대표해 이번 파리 올림픽에 출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텍사스는 이번 올림픽에 미국 내에서 2번째로 많은 선수를 보낸 주이다. 각 주별 파리올림픽 출전선수는 캘리포니아 120명, 플로리다 42명, 텍사스 41명, 일리노이 27명, 그리고 펜실베니아 27명 등으로 인구가 가장 많은 캘리포니아가 20%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캐서린 조 기자 카리브해 세인트 세인트 루시아 지난달 올림픽대표 올림픽 출전
2024.08.05. 12:54
총성 잇따르는 멕시코 카리브해 휴양지…"마약조직 10여개 경쟁" 캉쿤·툴룸 등 관광객 몰리는 곳에 마약상도 증가…영역다툼 치열 (멕시코시티=연합뉴스) 고미혜 특파원 = 전 세계 관광객이 많이 찾는 멕시코 카리브해 휴양지에 총격 사건이 잇따르면서 관광객과 현지인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멕시코 동부 킨타나로오주 검찰은 5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에 카리브해 연안 휴양지 일대에서 10여 개의 마약 조직이 영역 다툼을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킨타나로오주엔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캉쿤을 비롯해 툴룸, 플라야델카르멘 등 아름다운 해변을 끼고 있는 휴양지들이 자리 잡고 있다. 리조트 내부 등은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지난달 툴룸에서 총격으로 외국인 관광객 2명이 숨진 데 이어 전날 캉쿤 리조트 앞 해변에서도 총격이 발생해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두 사건 모두 경쟁 마약 조직 간의 충돌이라고 당국은 밝혔다. 전날 캉쿤 호텔존 아래 푸에르토모렐로스의 하얏트 호텔 인근에서 발생한 총격사건의 경우 15명가량의 무장 괴한들이 주차장을 통해 호텔로 진입한 후 해변으로 들이닥쳐 경쟁 조직의 마약상 2명을 살해한 사건이었다. 괴한들은 이후 배를 타고 바다로 달아났다. 갑작스러운 총성에 해변과 수영장 등에 있던 관광객들이 수영복 차림으로 혼비백산 대피하는 모습이 영상과 사진 등에 고스란히 담겼다. 지난달 툴룸에서 발생한 마약 조직 간의 총격 당시엔 식당 야외 좌석에 앉아있던 인도계 미국인 여행 블로거와 독일인이 날아온 총알에 맞아 숨지고, 다른 외국인 관광객 2명이 다쳤다. AP통신에 따르면 오스카르 몬테스 데오카 킨타나로오주 검찰총장은 툴룸에는 최소 10개, 푸에르토모렐로스엔 2개의 마약 조직이 경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마다 킨타나로오주에 2천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면서 마약 수요도 늘어 마약상들이 몰려든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전에도 캉쿤 등에서 강력 사건이 심심치 않게 일어났다. 대부분 조직 간의 다툼이라 민간인을 겨냥하는 것은 드물지만, 지난달 툴룸에서처럼 관광객이 현장에 있다가 총에 맞는 경우도 있고 공포 조장을 위해 무차별 공격을 벌이는 경우도 있다. 지난 2019년 캉쿤의 한 술집에서 총기 난사 사건으로 5명이 숨졌고, 2017년엔 플라야 델 카르멘의 나이트클럽에서 총격이 벌어져 외국인 등 5명이 사망했다. 관광업 의존도가 높은 지방정부는 휴양지 치안 개선을 위해 힘쓰고 있지만, 연이은 총격은 이미지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독일 정부는 지난달 툴룸에서 자국민이 숨진 후 여행 경보를 발령하기도 했다. 툴룸 호텔협회는 당시 사건 이후 예약이 5분의 1로 줄었다고 AFP통신에 전했다. 카를로스 호아킨 킨타나로오 주지사는 전날의 총격이 "주(州) 발전에 심각한 타격"이라며 "지역 이미지를 매우 위태롭게 한다"고 말했다. 영국서 온 관광객 클리프 잭슨은 AP통신에 "마약 카르텔이 관광객들에겐 관심 없다는 건 알지만 관광객이 총에 맞아 숨진 툴룸 사건 같은 일이 벌어질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카리브해 마약조직 멕시코 카리브해 카리브해 연안 외국인 관광객
2021.11.07. 1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