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쿡카운티 병원 집단 소송 피소

쿡 카운티 병원이 작년 발생한 해킹 사건으로 인해 집단소송에 직면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공개된 연방 검찰의 수사 기록에 따르면 쿡 카운티 병원은 지난해 3월부터 5월 사이 네바다 주에 본사를 둔 진료 기록 처리업체의 전산 시스템이 해킹을 당하며 피해를 입었다.     이 해킹으로 인해 쿡 카운티 주민들의 생년월일과 소셜시큐리티번호, 의료 기록 등이 대거 유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 주민들의 숫자는 당초 전국적으로 9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나 이후 1400만명으로 늘어났다. 피해 쿡 카운티 주민들의 숫자는 120만명으로 추산됐다.     이에 연방 검찰이 해킹 사건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고 쿡 카운티 병원이 해킹 사건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지 않아 피해를 키웠다는 집단소송도 쿡 카운티 순회법원과 연방 법원에 제기됐다.     소송에서 쿡 카운티 병원이 해킹 사실을 처음 인지한 것이 7월이었는데 주민들에게 이를 고지한 것은 3개월 후였다면서 이로 인해 주민들이 자신들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시간을 놓쳤다고 주장했다.     최근 시카고를 포함한 주요 도시에서는 병원 관련 해킹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 5월만 하더라도 40건의 개인 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방 보건국은 최소 500명 이상의 환자 정보가 유출된 사건의 경우 이를 공개토록 하고 있다.     올해 일리노이 주에서는 엘름허스트에 본사를 둔 앰뷸런스 회사의 네트워크 서버가 공격을 당해 86만명의 앰뷸런스 사용자 정보가 유출됐다. 또 시카고 대학병원에서도 1만명의 개인 정보가 털렸고 루리어린이병원도 해킹으로 전산시스템이 한달 이상 작동하지 않는 피해를 입기도 했다.     Nathan Park 기자병원 집단 병원 집단 카운티 병원 시카고 대학병원

2024.06.11. 12:24

썸네일

쿡 카운티 주민 2600명 병원 기록 유출

쿡 카운티 주민 2600명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확인됐다.     쿡 카운티 병원에 따르면 지난 3월 27일~5월 2일 쿡 카운티 병원과 커뮤니티 클리닉을 이용한 주민 2600여명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된 개인 정보는 소셜시큐리티번호와 의료보험 정보, 처방약 기록, 치료 정보 등이다. 특히 소셜시큐리티번호가 유출된 것은 당사자는 모르는 사이에 신용카드 발급 등으로 이어져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     하지만 환자의 신용카드나 은행, 아이디와 비밀 번호 등은 유출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쿡 카운티 주민들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경로는 의료 기록(medical transcription)을 처리하는 회사의 네트워크가 뚫렸기 때문이다.     네바다 주에 본사를 두고 있는 페리 존슨사가 쿡 카운티 병원의 업무를 처리하는데 이 곳이 노출된 것이다.     해커들은 이 네트워크에 침투해 쿡 카운티 정부가 운영하는 병원 두 곳과 12곳의 클리닉을 방문했던 주민들의 개인 정보를 훔쳤다. 쿡 카운티 병원을 이용한 주민들의 숫자는 모두 120만명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입은 쿡 카운티 주민들은 곧 페리 존슨사의 편지를 받게 된다. 편지를 받게 되는 주민들은 자신들의 병원 청구서와 크레딧 리포트를 확인해 혹시라도 발생했을 수 있는 피해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쿡 카운티 병원과 페리 존슨사에 따르면 아직까지 개인 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 사례는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쿡 카운티 병원은 이번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페리 존슨 사와의 거래 계약을 즉시 파기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전화 833-200-3558로 연락하면 된다.     Nathan Park 기자카운티 주민 카운티 주민들 카운티 병원 병원 기록

2023.11.06. 16:20

썸네일

카운티-USC병원 이름변경…‘LA제너럴 메디컬 센터’로

‘LA카운티-USC 메디컬 센터’(1200 N. State St., Los Angeles, CA 90033)가 ‘LA 제너럴 메디컬 센터’로 이름이 바뀌었다.     캐런 배스 LA시장과 힐다 솔리스 LA카운티 수퍼바이저는 3일 해당 병원의 개명을 알리고 새로운 병원 모토를 ‘탁월한 케어(Exceptional Care)’로 정했다고 밝혔다.     설립 55주년을 맞이한 이 병원은 기존에 인근에 있던 ‘켁(Keck) 호스피털 오브 USC’와 혼동된다는 지적을 받아왔는데 수퍼바이저 위원회가 논의와 투표를 통해 해당 이름을 새로 확정한 것이다.   특히 기존 이름이 한인들 사이에서는 ‘카운티 USC 병원’(또는 카운티 병원)으로 불렸는데, 새로운 이름은 USC가 빠져서 ‘(LA)카운티 제너럴 병원’으로 불릴 전망이다. 다만 로고는 기존의 것을 계속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LA 제너럴 메디컬 센터에서는 연간 1만4000여 명의 환자가 진료받고 있으며, 매년 1000여 명의 USC 의대 레지던트들이 훈련을 받고 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카운티 제너럴 카운티 병원 카운티 제너럴 카운티 수퍼바이저

2023.05.03. 20:52

캅 카운티 병원서 아기 유골 도난 사건

사산된 아기의 유해가 캅 카운티 병원에서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폭스5뉴스 등 지역매체는마리에타에 위치한 웰스타케네스톤 병원의 전 직원 두 명이 아기의 유골함을 훔치고 유해 또한 없앤 중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고 3일 보도했다.     키런매시의 아내는 지난해 8월 임신 6개월 차에 아이를 사산하고 그 유해를 담은 유골함을 곰인형 안에 넣어 보관했다. 1월 그녀는 케네스톤 병원에 곰인형을 들고 치료차 방문했으나 (정신적 안정을 위해) 병원에서 곰인형을 도난당했다.     체포영장에 따르면 경찰은 침대 시트를 갈던 직원이 곰인형을 훔쳐갔다고 추정하고 사건 당일 병원 세탁실에서 일하고 있던 직원 애너리스프레드릭과 로스니 프레드릭을 최근 체포했으나 이들은 보석금을 내고 석방됐다.     경찰은 병원 수사 후 곰인형과 유골함을 찾을 수 있었지만 함 안에 들어있던 유해는 없어진 채였다.     웰스타는 이번 사건에 대해 "이 주장이 처음 제기됐을 때 해당 사건을 즉시 조사했으며, 연루된 사람들은 더는 병원에서 일하지 않는다"며 "이들은 임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서에서 일한 적 없다"고 전했다.     아이의 아버지인 키런 매시는 채널2액션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도난 사건이 발생했던 날 밤 새 울었다. 정말 적은 양의 유해였다"고 안타까운 심경을 전했다.  윤지아 기자카운티 병원 카운티 병원 아기 유해 케네스톤 병원

2023.04.04. 16:3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