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칸국제영화제가 프랑스 남부 도시 칸에서 지난 13일(현지시간) 개막해 24일까지 12일간 열린다. 올해 78회를 맞이한 칸영화제 개막작은 프랑스 감독 아멜리 보낭의 첫 장편 영화 ‘리브 원 데이’다. 황금종려상 등 주요 상을 놓고 경합을 벌이는 경쟁 부문에선 22편의 작품이 초청됐다. 한국 장편 영화는 올해 칸영화제에 한 편도 초청되지 못했다. 2013년 이후 12년 만의 일이다. 경쟁 부문 심사위원장은 프랑스의 명배우 쥘리엣 비노슈가 맡았다. 한국인으로는 역대 6번째로 심사위원을 맡은 홍상수 감독을 비롯해 미국 배우 할리 베리, 제러미 스트롱, 인도 여성 감독 파얄 카파디아 등과 함께 수상작을 가린다. 수상 결과는 오는 24일 폐막식 행사인 시상식에서 공개된다. 13일 개막식 무대에 오른 심사위원들이 레드카펫 위를 걷고 있다. 왼쪽 끝에 홍 감독이 보인다. [로이터]칸영화제 개막 칸영화제 개막작 올해 칸영화제 개막식 무대
2025.05.15. 18:50
한인 2세가 감독한 디즈니·픽사의 애니메이션 ‘엘리멘탈’이 오는 5월 27일 제76회 칸 국제영화제 폐막작으로 세계 최초 상영된다. 픽사 애니메이션이 칸 영화제에 선정된 건 ‘업’, ‘인사이드 아웃’, ‘소울’에 이어 4번째다. 한인 피터 손 (사진) 감독이 감독한 엘리멘탈은 불, 물, 땅, 공기 거주자들이 함께 사는 엘르멘트 시티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다. 강하고 열정적인 여주인공 엠버와 재미있고 재빠르면서도 변덕스러운 웨이드가 우정을 쌓아가며 그들이 사는 세상에 도전하는 이야기다. 픽사의 최고 크리에이티브 책임자인 피터 닥터는 “비범한 이야기꾼 피터 손이 감독한 엘리멘탈은 너무 재미있고, 마음을 가득 채우며 놀랍다. 관객들이 큰 스크린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작품으로 칸에서 세계 최초로 개봉될 수 있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인 2세인 손 감독은 애니메이션 영화감독이자 각본가이자 아티스트다. 디즈니와 워너브러더스를 거쳐 2000년 9월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 입사한 후 ‘니모를 찾아서’(2003), ‘인크레더블’(2004) 등에서 스토리보드 작업을 했고, 2015년 ‘굿다이노’로 첫 장편 애니메이션 연출을 맡았다. 또 ‘라따뚜이’(2007), ‘몬스터 대학교’(2013)에서는 성우로 활동한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다. ‘업’의 러셀, ‘몬스터 대학교’의 스퀴시는 손 감독을 모델로 만들어진 캐릭터로 알려져 있다. 한편 엘리멘탈은 오는 6월 16일부터 미국에서 개봉한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칸영화제 칸영화제 폐막작 국제영화제 폐막작 한인 피터
2023.04.20. 21:51
“내 인생에는 이제 내리막길만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박찬욱 감독의 말은 뜻밖이었다. 2004년 40대 초반의 그가 ‘올드보이’로 칸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을 받은 직후였다. 당시 한국영화의 칸영화제 수상은 임권택 감독이 ‘취화선’으로 감독상을 받은 이후 사상 두 번째. 더구나 심사위원 대상은 작품에 주는 최고상인 황금종려상 다음으로 큰 상이다. 현장에 있던 취재 기자의 느낌으로는 “고국에 계신 동포 여러분”을 운운하면서 벅찬 감격을 마냥 쏟아내도 될 것만 같았는데, 박 감독은 달랐다. “내리막길”이란 표현에 대해 “지금 정점에 올라 최고로 기쁘다는 뜻”이라고 덧붙이는 말투조차 담담했다. 어쩌면 그는 수상의 영광이 멍에가 되는 일을 경계했는지도 모르겠다. 사실 ‘올드보이’는 칸 경쟁부문 초청작 중에 예외적인 경우였다. 이 콧대 높은 영화제가 주요 작품에 월드 프리미어, 즉 세계 최초 상영을 고집하곤 하는 것과 달리 ‘올드보이’는 그 전년도에 한국에서 개봉해 호평과 함께 흥행 성공을 거뒀다. 한국 관객들에 비하면 칸은 이 영화를 뒤늦게 ‘발견’한 셈이었다. 자조적 예상과 달리 박찬욱의 영화 인생은 내리막길로 치닫지 않았다. 대신 올해 칸영화제에서는 감독상이라는 큰 기쁨을, 오랜 동료 송강호의 남우주연상과 한 무대에서 누렸다. 수상으로만 따지면 송강호야말로 칸의 발견이 한국 관객들에 비해 늦어도 한참 늦은 셈. 전도연에게 여우주연상을 안겨준 이창동 감독의 ‘밀양’에서 보듯, 황금종려상을 받은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에서 보듯 그는 나 홀로 북 치고 장구 치며 연기 잘하는 배우가 아니다. 동료 연기자들과 앙상블을 이루면서, 때로는 한 걸음 뒤에서 동료를 돋보이게 하면서 놀랄만큼 연기 잘하는 배우다. “꼭 상을 받기 위해 어떤 형태의 연기를 해야 하고 어떤 포지션을 갖춰야 한다는 건 의미 없는 얘기 같다. 배우들은 자유로워야 하고 끊임없이 그런 것에서 해방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번 수상 직후 그가 칸에서 했다는 말이다. 두 사람의 이번 수상은 때로는 까칠하고 때로는 열광적인 시선으로 이들의 영화를 수십 년 지켜본 한국 관객들로서도 충분히 자부심을 느낄만한 결과다. 이제 한국 대중문화의 힘은 돌출적인 사건이 아니다. 송강호와 함께 ‘브로커’에 출연한 아이유가 레드카펫 주변에 몰려든 현지 팬들에게 일일이 사인을 해주는 모습도 묘한 감동으로 다가왔다. 그래서 궁금해진다. 칸의 주역들의 젊은 날이 그랬듯 과연 지금 한국 영화의 미래를 위한 씨 뿌리기가, 새로운 재능을 발굴하고 기회를 마련하는 일이 충분히 진행되고 있는지. 물론 그전에, 이번 달 차례로 개봉하는 송강호 주연의 ‘브로커’와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을 보러 극장에 갈 일이 즐겁게 기다려진다. 이후남 / 한국 중앙일보 문화선임기자J네트워크 칸영화제 남자 칸영화제 수상 당시 한국영화 박찬욱 감독
2022.06.02. 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