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국민 5명 중 2명이 코로나 대유행 기간 중 코로나 검사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은 "최근 조사에서 15세 이상 캐나다 국민 39%가 자신이나 가족이 코로나 검사를 받기를 원했지만 받을 수 없었던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며 "이와 같은 경험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고 전했다. 캐나다 통계청은 온라인을 통해 3만 6,857명의 캐나다국민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코로나 검사와 관련 주민들의 불만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22%가 '코로나 검사 비용이 너무 비싸다'라고 답했으며 21%는 '코로나 검사 방법이 너무 어려웠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18%는 '코로나 검사 예약 후 대기시간이 너무 길었다'고 답했으며 필수 직종 종사자들이 비필수 종사자들에 비해 코로나 검사를 받기 더 어려웠다고 응답했다. 통계청은 "코로나 검사를 받기 어려웠다고 답한 필수 직종 종사자의 비율은 42%였으며 이는 비필수 종사자의 37% 보다 높았다"고 밝혔다. 캐나다 국민들이 코로나 검사와 관련된 어려움을 나타내는 동안 온타리오주의 실제 확진 사례가 10만건이 넘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온주 과학자문위원회 피터 주니 박사는 "온주 내 코로나 감염사례가 매일 발표되는 신규 확진자 현황과는 달리 실제로는 10만건이 넘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자문위원회는 최근 하수도 샘플을 채집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예상 확진자를 추정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피터 주니 박사는 "이는 마스크 착용의무 폐지 등 정부의 코로나 방역규제 완화로 인한 요인이 가장 크다"며 "안정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섣부르게 방역조치를 해제했다"고 지적했다. 성지혁 기자코로나검사 캐나다 캐나다 국민들 캐나다 주민 캐나다 통계청
2022.04.08. 12:00
프레이저 연구소가 발표한 불행한 국가 순위에 캐나다가 6위에 선정됐다. 불행한 국가 순위는 35개 선진국의 주요 지표를 비교하여 산정하는 데, 순위가 높을수록 주민들이 살기 좋지 않은 조건을 의미한다. 캐나다는 전체 비교 국가 중 4번째로 높은 물가 상승률을 보였으며 실업률도 8번째로 높았다. 이와 관련 프레이저 연구소는 "캐나다의 물가 상승과 실업률 증가로 캐나다 국민들은 높은 불행지수로 고통받고 있다"며 "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블행지수 상위 5개 국가는 스페인, 그리스, 이탈리아, 아이슬란드, 스웨덴이 각각 선정됐다. 캐나다와 인접한 미국은 11위에 선정되어 캐나다와 격차를 보였다. 박혜원 기자캐나다 불행 국가 순위 캐나다 국민들 프레이저 연구소
2022.01.24. 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