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달러화가 23일(목) 미 달러 대비 큰 변동 없이 마감했다. 유가 급등이 호재로 작용했지만, 소매판매 지표의 엇갈린 결과가 상승폭을 제한했다. 1.3990선서 보합세 이날 루니(캐나다 달러)는 미 달러당 1.3990달러(미화 71.48센트) 수준에서 거의 변동이 없었다. 전날 12일 만의 최고치인 1.3974를 기록한 뒤, 이날 거래 범위는 1.3980~1.4004 사이였다. 8월 판매 회복했지만 9월 전망 부진 캐나다의 8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1% 증가해 예상치에 부합했다. 자동차, 식료품, 의류 소비가 늘어난 덕분이다. 그러나 9월 잠정치는 0.7% 감소로 나타나 소비 둔화 우려를 낳았다. BMO 캐피털마켓의 셸리 카우식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8월 지표는 나쁘지 않지만, 9월 예상치는 소비의 약세를 드러낸다”며 “무역 불확실성으로 캐나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완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유가 급등에도 캐나다 달러 반응 제한적 미국이 주요 러시아 공급업체에 제재를 부과하면서 국제 유가는 배럴당 61.79달러로 5.6% 상승했다. 하지만 캐나다 달러의 반등세는 제한적이었다. 금리 인하 기대 지속 시장에서는 캐나다 중앙은행(BoC) 이 오는 30일 발표할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2.50%에서 추가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는 3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지난달에 이어 두 번째 인하가 될 전망이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캐나다달러 루니 캐나다 미국 미국달러 캐나다중앙은행 금리인하
2025.10.28. 11:59
 
                                금융전문가들이 물가상승으로 여파로 올해 캐나다달러가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4일(금), 로이터 통신은 캐나다 연방중앙은행이 단행한 금리인상으로 인한 물가상승으로 캐나다달러의 환전비율이 3개월 후 미국 달러 1달러당 1.25달러로 지난달 1.2450달러와 비교해 1.6% 가량 상승하고 1년 후에는 1.23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스코샤뱅크 숀 오스본 수석전략가도 "고물가로 중앙은행이 긴축정책을 시행하면 올해 무역수지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캐나다는 석유 등 주요 원자재 생산국이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대한 제재로 세계 석유공급이 긴축될 것이라는 우려로 인해 2008년 9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휘발유값이 급등하고 있다. 외환거래 전문 금융기관 모넥스캐나다 사이먼 하비 FX분석팀장은 "기존 예상보다 높은 기준 유가와 글로벌 성장전망에 대한 기대감이 미국 달러와 캐나다 달러 환율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게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월 캐나다 중앙은행은 30년 만에 최고치인 5.1% 까지 오른 물가상승률을 진정시키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금융시장에서는 연말까지 총 5차례의 추가 금리인상이 예상해 기준금리가 코로나 대유행 이전수준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김원홍 기자캐나다달러 강세 올해 캐나다달러 캐나다 연방중앙은행 캐나다 중앙은행
2022.03.11. 11: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