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캐주얼 레스토랑 식사비 급등…최근 5년간 평균 42% 올라

조류 인플루엔자에 따른 계란 가격 상승으로 많은 가정이 부담을 느끼는 가운데, 인기 아침 식사 체인들에서 지난 몇 년간 가격 상승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금융 정보업체 파이낸스버즈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주요 패스트 캐주얼 레스토랑들의 가격은 전국 평균 42% 상승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폭의 가격 인상을 기록한 곳은 아침 식사 체인들이었다.   메뉴의 평균 가격이 가장 가파르게 오른 체인은 남부를 기반으로 한 와플하우스로, 지난 2020년부터 5년간 가격이 무려 96% 인상됐다.     와플하우스는 최근 달걀값 상승 탓에 계란이 들어가는 메뉴에 가장 먼저 추가금을 청구하기로 결정한 업체 중 하나로 화제가 된 바 있다. 와플하우스는 현재 가주에는 매장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그 뒤를 바로 잇는 체인은 가주에서도 친숙한 IHOP이었다. 1958년 버뱅크에서 처음 문을 열고 현재 글렌데일에 본사를 둔 IHOP은 지난 5년간 메뉴 가격이 82% 인상됐다.     이는 전국 평균 상승 폭의 두 배 수준으로, 같은 기간 인플레이션 수치인 22%와 비교해서도 4배 가까이 차이 나는 것이다.   이어 텍사스 로드하우스(46%), TGI 프라이데이(45%)가 전국 평균 이상으로 가격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가주에 곳곳에 매장이 있는 애플비스는 가격을 41%, 치즈케익 팩토리는 40% 올려 평균 인상 폭을 소폭 밑돌았다.   또다른 아침 식사 체인인 데니스의 경우 36%, 레드랍스터와 버팔로 와일드 윙스는 각각 34%, 29%씩 비싸져서 전국 평균보단 상승 폭이 낮았지만, 물가 상승 수준보다는 가파르게 올랐다.   우훈식 기자레스토랑 캐주얼 캐주얼 레스토랑 식사 체인들 물가 상승

2025.03.19. 0:12

썸네일

캐주얼 레스토랑 ‘반사이익’

최근 패스트푸드 가격이 오르면서 고객들이 캐주얼 레스토랑 체인으로 몰리고 있다.     20일 CNBC는 애플비, 올리브가든, 칠리스 등 캐주얼 레스토랑 체인을 이용하는 고객이 증가세라고 보도했다. 고공행진하는 패스트푸드 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크고 이 두 체인간 가격 차가 좁혀지면서 패스트푸드보다 캐주얼 레스토랑에서의 외식 선호도가 상승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연방 노동부 데이터에 따르면, 5월 기준 지난 1년 동안 캐주얼 레스토랑 체인을 포함한 풀서비스 레스토랑의 메뉴 가격은 3.5% 상승했다. 반면, 패스트푸드 체인의 가격은 4.5%가 올랐다. 이는 같은 기간 소비자 물가 지수 3.3% 상승률보다 높은 수치다.   이처럼 패스트푸드 체인의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면서 캐주얼 다이닝 업체들이 마케팅 공세를 펼치고 있다.     칠리스의 모회사인 브링커 인터내셔널은 맥도날드의 빅맥과 같은 패스트푸드의 버거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내용의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또 애플비 모회사 다인 브랜드의 존 페이튼 최고경영자(CEO)는 “가격에 민감한 고객들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가격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외식 경험과 음식 품질 면에서 패스트푸드보다 훨씬 가치가 있다는 걸 홍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올리브가든, 롱혼 스테이크하우스 등의 모회사 다든레스토랑은 패스트푸드 체인 이용 고객의 유입으로 2025 회계연도에 매장 매출이 1%~2%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패스트푸드 캐주얼 캐주얼 다이닝 패스트푸드 체인들 패스트푸드 버거

2024.06.23. 19:0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