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이자율과 주택 재고 부족으로 인해 가주 주택 구입능력이 16년 만에 최저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가주부동산중개인협회(C.A.R)에 따르면 2023년도 4분기 싱글패밀리 하우스의 중간가격은 83만3000달러이며 중간 주택을 구입할 여력이 있는 가구는 전체 15%에 불과하다.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 7.39%로 싱글패밀리 하우스 중간가격인 83만3000달러의 하우스를 구입할 경우 원금과 이자 그리고 보험료와 세금을 포함해서 월 5570달러를 지불해야 하며 이를 위한 현실적인 연 소득은 20만 달러가 훌쩍 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싱글패밀리 하우스보다 다소 가격이 낮은 콘도미니엄과 타운하우스의 중간가격은 65만 달러로 같은 조건으로 구입할 경우 월 4350달러를 지불해야 하며 이를 위한 연 소득은 17만 달러가 돼야 할 것이라고 한다.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높은 주택가격과 최근 높아진 이자율에 인플레이션의 영향까지 겹치며 늘어난 생활비용 증가로 인해 젊은 세대의 내 집 장만은 정말 힘겨운 때이다. 대학에 진학하며 부모 곁을 떠나 독립을 선언했던 자녀들이 대학 졸업 후 취업을 하거나 결혼하여 완전 독립을 했더라도 높아진 렌트비에 학자금 대출 상환을 비롯한 각종 생활비용의 부담이 증가하면서 최근 부모님 집으로 다시 돌아와 생활하는 신흥 캥거루족이 증가하고 있다. 캥거루족(Kangaroo Tribe)은 캥거루 배에 달린 주머니에 새끼 캥거루를 넣고 다니는 캥거루 특유의 생태구조를 연상해서 붙여진 말로 성인이 되어서도 어미 배에 달린 주머니에 들어가 사는 젊은이들로 부모에게 정신적, 경제적으로 기대어 사는 젊은이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최근 증가하는 신흥 캥거루족은 경제적 자립을 이미 했으나 최근 내 집 마련 상황이 힘들어지자 주택 구입을 위한 다운페이먼트를 마련하고 좀 더 유리한 주택 구입 시기를 맞추기 위해 당분간 부모 집에서 공동 거주를 선택하는 자녀들을 말한다. 최근 높아진 렌트비용과 생활비용을 감안하면 2~3년간 부모와 거주를 선택한다면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으나 최소 7만에서 15만 이상 목돈을 쉽게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계산된다.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주거비용 절약은 물론 좋은 학군선택, 편리한 생활환경 개선 등의 장점을 누릴 수 있고 무엇보다 가족 간의 화목과 유대관계 향상으로 큰 행복을 맞을 수 있는 기회인 만큼 세대 간 정확한 의사 표현과 확실한 세대 간 배려심이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제적 부담이 적당해야 하는데 자칫 세대 간 상대의 경제력을 과대평가해서 경제적 부담이 서로 높아진다면 공동 거주가 오히려 세대 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먼저 세대 간 부담 없는 경제적 상황을 정확히 상의해서 결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2세대 이상이 거주하는 것을 고려하여 세대 간 프라이버시의 존중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로 방과 화장실의 위치 그리고 리빙룸과 패밀리룸, 패티오 등이 다세대 간에 생활의 편리성도 꼭 염두에 두어서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 집 마련을 위해서 결정한 사항인 만큼 세대 간어느 정도의 불편은 상호 감수할 것을 미리 염두에 둬서 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이러한 공동거주 형태의 증가세는 모기지 이자율 하락과 저가 주택 공급이 증가할 때까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문의:(213)500-5589 전홍철 WIN Realty& Properties에이전트 노트 캥거루족 신흥 신흥 캥거루족 생활비용 증가 공동 거주가
2024.02.27. 22:46
#. 퀸즈에 거주 중인 한인 약사 김 모 씨(29)는 취업 후 몇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부모님과 한 지붕 아래 살고 있다. 고공행진하는 뉴욕시 렌트 가격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김 씨는 “렌트가 워낙 비싸져서 독립하면 숨만 쉬어도 한 달에 최소 3000달러는 쓰게 될 텐데, 막상 나가 살 생각을 하면 그 돈이 아깝게 느껴진다”고 전했다. #. 몇 년 전 결혼 후 브루클린에서 2살 아이를 키우고 있는 한 모 씨(33)는 맞벌이 부부지만 베이비시터를 따로 두지 않았다. 부모님이 함께 거주하며 퇴근 전까지 아이를 돌봐 주기 때문이다. 그는 “베이비시터를 고용하면 시간당 40~50달러는 줘야 하는데, 아이 미래 교육비를 생각하면 지금 돈을 아껴 두는 게 낫다는 판단에 부모님께 생활비를 드리고 함께 거주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지는 고물가에 독립 대신 부모님과 함께 살기를 선택한 ‘캥거루족’ 한인들이 늘고 있다. 허리띠 매도 버티기 힘든 뉴욕의 렌트 가격과 생활비를 감안했을 때 독립의 필요성을 못 느낀다는 판단에서다. ‘캥거루족’은 성인이 된 후에도 독립하지 않고 부모 집에서 함께 사는 이들을 일컫는다. 주목할 만한 점은 자유롭고 독립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 사이 캥거루족이 급증했다는 것이다. 최근 온라인 렌트 조사업체인 ‘렌트카페(RentCafe)’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시에 거주 중인 Z세대(1997~2012년생) 215만 명 중 79%, M세대(1981~1996년생) 124만 명 중 28%가 부모 등 가족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평균 Z세대 캥거루족 비율 68%, M세대 20%보다 높은 수치다. 한인들은 독립을 늦추는 가장 큰 원인으로 ‘비싼 렌트 가격’을 꼽았다. 김 씨는 “예전에는 맨해튼 거주자들만 큰 렌트 부담을 느꼈다면, 지금은 그 범위가 외곽 지역까지 넓어졌다”며 “이제는 플러싱 등 퀸즈 외곽 지역 스튜디오에 살아도 1000달러 후반~2000달러가량 내야 하니, 혼자 살면 미래를 위해 저축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삶을 영위할 비용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외곽 지역도 더 이상 고물가 안전지대가 아니란 얘기다. 이와 같은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렌트카페는 뉴욕시 MZ세대 40% 이상(Z세대 47%, M세대 41%)은 최소 향후 2년 동안 캥거루족 생활을 이어갈 것으로 분석했다. 한 20대 한인은 “부모님과 함께 살면 취미 생활도 즐기고 재테크도 할 수 있는데, 굳이 그걸 포기해 가면서까지 독립할 이유가 있나 싶다”며 “자유를 희생하면 그에 따른 혜택이 크기 때문에 당분간은 독립할 생각이 없다”고 전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캥거루족 고물가 한인 캥거루족 캥거루족 비율 사이 캥거루족
2023.11.26. 1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