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 재선 포기 후 커티스 슬리와 공화 후보에도 사퇴 압박

재선 도전에 나섰던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이 전격 중도 하차 선언을 한 가운데, 공화당 뉴욕시장 후보인 커티스 슬리와에게도 경선을 포기하라는 압박이 커지고 있다. 급진 사회주의자로 분류되는 조란 맘다니 민주당 뉴욕시장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정치 세력이나 기업 등 중도 성향의 민주당 유권자들은 ‘반 맘다니’ 진영 단일화로 맘다니 후보 당선을 막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반 맘다니’ 진영 단일화를 통해 온건 민주당 성향의 앤드류 쿠오모 전 뉴욕주지사가 당선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29일 지역 매체 고다미스트(Gothamist)는 “이제 반 맘다니 세력이 슬리와 후보에게도 경선 사퇴를 압박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미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와 같은 압박 구도가 이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억만장자 헤지펀드 투자자 빌 애크먼은 엑스(X)에서 “뉴욕시를 위해 적절한 시기에 물러난 아담스 시장에게 감사하다”며 “슬리와 후보도 아담스의 뒤를 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학부모 권익 옹호 단체인 ‘플레이스 뉴욕시’ 역시 “이제 맘다니 후보가 뉴욕시를 망치지 못하도록 슬리와도 물러나야 할 때”라며 “단결해서 쿠오모 후보를 지지해야만 맘다니 후보를 이길 수 있다”고 밝혔다. 대기업이나 비영리단체는 시장후보 펀딩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들의 의견은 중요하다.     전통적인 민주당 유권자들은 맘다니 후보의 보육·버스 무료 정책, 유틸리티 비용 통제, 공공주택 제안 등을 급진적이라고 보고 있다. 고물가와 경기 침체에 지친 젊은 층에서는 새로운 민주당의 얼굴인 맘다니 후보 지지도가 높지만, 중도 성향의 고연령층 민주당에서는 안정적이 시정 운영을 하려면 쿠오모 후보가 낫다고 여기는 것이다.     그러나 블룸버그통신은 지금은 단일화를 한다 해도 맘다니 후보 지지율이 워낙 높아 선거 판세를 뒤집기가 어렵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이번달 시에나칼리지와 뉴욕타임스(NYT)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맘다니 후보는 유권자 48% 지지율로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쿠오모는 44% 지지율을 기록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맘다니 후보가 당선되면 그는 어떤 (연방정부) 자금도 받지 못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아울러 “그가 당선되면 뉴욕시 역사상 어떤 시장도 겪지 못했던 워싱턴DC와의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시장 커티스 민주당 뉴욕시장 에릭 아담스 시장후보 펀딩

2025.09.29. 20:49

앤디 김 vs. 커티스 버쇼, 낙태·이민 두고 격돌

뉴저지주 연방상원의원 선거에 출마한 한인 정치인 앤디 김(42·민주·뉴저지 3선거구) 연방하원의원이 커티스 버쇼(63·공화) 후보와의 첫 토론에 나선 가운데 김 의원실은 토론 결과 사실상 승리했다고 자축했다.   6일 뉴저지주 소재 사립 라이더대학 산하 레보비치 인스티튜트 포 뉴저지 폴리틱스·지역매체 뉴저지글로브가 주최한 1차 토론회에서 버쇼는 돌연 굳더니 연단을 잡고 휘청였다. 눈을 카메라에 고정했고, 그를 부르는 소리에 반응하는 듯했지만 대답하지 못했다. 이에 김 의원이 자리를 이탈, 그에게 다가가 “괜찮냐”고 물었고, 어렵게 “그렇다”고 답했다. 사회자는 서둘러 장내를 정리, 10분간 재정비했다. 돌아온 버쇼는 “종일 먹지 못했다”고 이유를 밝혔다.   이어진 토론에서 두 후보는 낙태권·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 문제·이민 등을 두고 격돌했다.   김 의원은 게이에 트럼프 지지자인 버쇼가 여성의 자기결정권 및 낙태권을 정말 뒷받침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로 대 웨이드 판결을 지지한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용어 선택에 문제가 있다는 등의 비판을 이어갔다. 뿐만 아니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되는 것을 지지한다는 건 그의 판단력을 드러내는 대표적 사례”라고 비꼬았다.     버쇼는 이민 문제에 대해서는 “뉴저지의 문제”라며 “주차원의 세금을 낭비하고 있다. 나는 온건파로서 뉴저지 주민들에게 도움되는 선택을 할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2025년말 만료되는) 지방세(SALT) 공제 상한선이 부활하지 않게 하겠다”고 했고, 버쇼 후보도 이에 동의했다.     김 의원은 “자기결정권을 침해해 여성이 죽어나가선 안 된다”며 “이민자의 아들이 미국서 연방상원의원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 못했다. 이번 일은 (다음 세대를 위한) 출발선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토론 후 김 의원실은 “여성의 자기결정권 회복 및 의료비 절감, 뉴저지 주민들의 삶 개선을 위해 일할 유일한 후보임을 증명했다”며 “누가 좋은 선택인지 명확하게 보인 토론이었다”고 자평했다.   한편 뉴저지 일간 스타레저는 7일 편집위원회 바이라인으로 올린 글을 통해 “트럼프를 지지하는 것과 다름없는 버쇼 후보가 이긴다면 공화당이 더 강해질 것”이라며 “공화당이 집권하면 제2의 ‘잔혹사’가 벌어질 것이다. 트럼프를 지지하는 이유를 납득시키려는 궤변을 하는 모습도 혼란스럽다”며 김 의원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커티스 낙태 뉴저지주 연방상원의원 이민 문제 뉴저지주 소재

2024.10.07. 19:4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