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케이블TV 없는데…아카데미상 시상식, 어떻게 볼까

세계 최고 권위 영화 시상식이라 불리는 아카데미상(오스카) 시상식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3월 2일 LA 돌비 극장서 열리는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올해도 역시 ABC방송에서 생중계된다. 오후 3시 30분(동부시간)부터 레드카펫 행사가 시작되며, 6시 30분부터 사전 쇼가, 7시부터 시상식이 진행된다. ABC방송은 1976년부터 아카데미 시상식을 독점 중계해왔으며, 공중파나 케이블TV에서 ABC방송이 시청 가능하면 채널만 맞추면 레드카펫 행사와 아카데미 시상식을 생방송으로 볼 수 있다.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는 한 가지 주목할 점이 있다. 반세기 가량 ABC가 독점 중계해온 전통을 깨고 사상 처음으로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을 통해 생중계된다는 것. 지난해 12월 전국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는 OTT 플랫폼인 ‘훌루(Hulu)’를 통해서도 시상식을 생중계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ABC와 ESPN 등 95개 넘는 라이브 채널을 제공하는 ‘훌루+라이브 TV(Hulu + Live TV)’는 현재 회원가입 이후 3일 동안 무료 체험이 가능하며, 이후 월 82달러99센트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 있다면 앱 스토어(안드로이드의 경우 ‘구글 플레이’)에서 앱을 다운받아 이용이 가능하다. TV로 시청하고 싶은 경우, 스마트TV를 사용한다면 앱을 다운받으면 되고 아닌 경우 ‘아마존 파이어 스틱(Amazon Fire Stick)’ 또는 ‘로쿠 스트리밍 스틱(Roku Streaming Stick)’ 등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 스틱은 일반TV를 스마트TV로 변환하거나 스마트TV에 추가적인 스트리밍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으로, 스틱을 TV에 연결하면 인터넷 연결을 통해 영화·TV프로그램·음악·앱·게임 등 다양한 컨텐트를 이용할 수 있다.   올해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 영화들 역시 각종 OTT 플랫폼에서 볼 수 있다. 먼저 역대 최다인 13개 부문 후보에 오르며 주목받는 ‘에밀리아 페레즈’는 ‘넷플릭스(Netflix)’에서 시청 가능하다. 브로드웨이 뮤지컬 히트작을 영화화해 10개 부문 후보에 오른 ‘위키드’는 아마존 프라임에서 대여·구매 가능하며, ▶지난해 가장 큰 흥행을 기록한 작품 중 하나인 ‘듄:파트2’는 ‘맥스(Max)’에서 ▶배우 ‘데미 무어’를 처음으로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려준 영화 ‘서브스턴스’는 ‘무비(Mubi)’에서 스트리밍 가능하다. 현재 영화관에서 볼 수 있는 나머지 작품들도 추후 OTT 플랫폼에 제공될 예정이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아카데미상 케이블tv 아카데미상 후보 아카데미 시상식 스트리밍 스틱

2025.02.27. 21:05

케이블TV 정크 수수료 단속…기타요금 등 액수 표시 의무화

정부가 케이블 TV 업체들의 정크 수수료 단속에 나섰다.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지난 14일 열린 공개회의에서 소비자 관련 이슈 중 하나로 새로운 케이블 TV 정크 수수료 규정을 발표했다고 CNN 비즈니스가 보도했다.   새 규정은 케이블 및 위성 TV 공급업체들이 소비자들에게 보내는 청구서 및 홍보물에 스포츠 프로그램 또는 로컬 방송 채널 등과 같은 기타 요금을 포함한 종합(All-In) 요금 액수를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FCC의 이 같은 조치는 TV 서비스 공급업체가 단일하고 포괄적인 가격을 공개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모든 추가 비용을 포함한 서비스 이용료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소비자옹호단체들이 FCC에 보고한 바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받는 청구서 요금의 24~33%가 이 같은 수수료인 것으로 전해졌다.   FCC는 새 규정은 여러 공급업체를 비교 쇼핑하는 과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소비자들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컨수머리포트의 보고서를 인용해 업체들이 고객 유인을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기본요금”으로 광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시카 로젠워셀 FCC위원장은 “요금 청구서를 보고 놀라길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광고된 서비스 가격은 청구서가 도착했을 때 고객이 지불하는 가격과 같아야 한다. 서비스 가입 시 들었던 가격과 별개로 예상치 못한 정크 요금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케이블 업계는 ‘올인’ 요금 규정은 불필요하며, 요금을 개별 항목으로 나눠서 부과하는 현재의 관행이 소비자에게 도움이 되는 더 투명한 접근 방식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케이블 업체를 대표하는 협회 NCTA는 FCC에 접수한 보고서를 통해 “우리 회원사들은 적용되는 구체적인 수수료와 지불하게 되는 서비스 총액을 명확히 공개함으로써 고객이 예상치 못한 요금에 놀라지 않도록 보장한다”고 주장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케이블tv 기타요금 정크 수수료 수수료 규정 정크 요금 TV 수수료

2024.03.17. 19:00

썸네일

스트리밍 시청률, 케이블 앞섰다

케이블TV 시대는 지고 스트리밍의 시대가 도래했다. 사상 처음으로 가정 내 넷플릭스 등 스트리밍 플랫폼의 시청률이 케이블TV를 넘어섰다.     주요 언론은 이런 변화를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이정표(milestone)’라고 평가했다.   18일 월스트리트저널(WSJ)과 LA타임스는 전국 가정에서 넷플릭스, 훌루, 아마존프라임, 디즈니+, 애플TV, 유튜브, HBO맥스 등 스트리밍 플랫폼 시청률은 34.8%로 1위를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반면 케이블TV 시청률은  34.4%로 처음으로 스트리밍 플랫폼에 역전당했다. 지상파는 21.6%이었다.     스트리밍 플랫폼 시청률은 1년 전보다 22.6%나 급증했다. 반면 케이블 시청률은 1년 전과 비교해 8.9%나 줄었다. 1주일 평균 시청 시간은 1909억 분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 4월 집계치(1699억 분)를 넘었다. 이런 변화에 대해 WSJ은 소비자들이 케이블TV를 끊고 스트리밍 플랫폼에 가입하는 모양새라고 평가했다.   특히 스트리밍 플랫폼은 코로나19팬데믹 기간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다. 무료 이용 기간 제공 등 여러 당근을 제시해 가입자를 늘렸다.     현재는 늘어난 가입자가 최대한 탈퇴하지 않도록 최고의 콘텐츠 만들기 경쟁에 한창이다. 갈수록 케이블TV가 설 자리가 좁아지는 셈이다.   스트리밍 플랫폼이 시청자 호응을 얻는 것과 달리 지상파는 인기를 잃고 있다. 지난 7월 지상파 시청률은 21.6%로 1년 전과 비교해 9.8% 감소한 수치다.   한편 7월 한 달간 시청자들이 가장 많이 본 스트리밍 플랫폼은 넷플릭스였다.   전체 스트리밍 시청률 중 넷플릭스 비중은 8.0%로, 인기 드라마 ‘기묘한 이야기’ 흥행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구글의 유튜브는 7.3%, 디즈니의 훌루(3.6%),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3.0%), 디즈니 플러스(1.8%), HBO 맥스(1.0%) 등이 뒤를 이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스트리밍 케이블tv 스트리밍 플랫폼 전체 스트리밍 스트리밍 시대

2022.08.18. 22:5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