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K타운 맛따라기] 타운 새벽을 지킨 소울푸드, Pho

월남국수 혹은 쌀국수라고 불리는 ‘Pho(포)’의 기원은 프랑스 식민지 시절 베트남 북부 하노이에서 유래했다. 프랑스의 쇠고기 스튜 ‘포토푀(Pot-au-feu)’가 베트남식으로 현지화된 것이다. 쌀국수 면 위에 소뼈와 향신료로 우려낸 맑은 국물, 그리고 숙주, 실란트로(고수), 라임이 어우러진 이 한 그릇은 식민의 흔적을 품은 음식이면서도, 전쟁 이후 세계로 흩어진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각국에 남긴 ‘기억의 음식’이기도 하다.   그 소울 푸드는 한인들에게도 자연스럽게 스며들었다. LA 한인타운 최초의 월남국수집은 6가와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세븐일레븐 쇼핑몰 내 90년대 후반 문을 연 전설적인 ‘Pho LA’였다.   24시간 영업으로, 새벽 2시 술집들이 문을 닫는 시간 손님들이 해장을 위해 몰려들던 곳이었다. 쓰린 속을 달래던 그 한 그릇의 국물은 타운의 또 다른 밤 문화를 만들었다.   고수(실란트로)의 강한 향과 라임의 신맛은 처음 접하는 한인들에게 낯설었지만, 한번 맛을 들이면 끊을 수 없는 중독성으로 다가왔다. 지금은 가정의 필수품이 된 스리라차 소스를 타운에 본격적으로 알린 곳도 바로 포 LA였다. 이때 월남국수의 매력에 빠진 수많은 유학생이 한국으로 돌아가 유행을 주도하기도 했는데, LA의 저렴하고 서민적인 스타일과 달리 한국에서는 월남쌈을 곁들인 고급 요리로 변형된 점은 흥미롭다.   이후 4가와 웨스턴에 ‘Pho Western’이 문을 열며 타운 1등 자리를 꿰찼다. 지금의 ‘Cali Pho nia’ 자리다. 영업을 마친 웨이터들과 단골들이 모여 새벽까지 불야성을 이루던 곳으로, 타운 사람들에게는 ‘새벽 국물집’으로 각인됐다.   1999년에는 드디어 진짜 베트남인 주인이 운영하는 ‘Pho 2000’이 1가와 웨스턴, HK마켓 맞은편에 문을 열었다. 대표 메뉴는 진한 옥스테일(소꼬리) 포. 한국인들이 흉내낼 수 없는 정통 베트남식 국물맛으로 타운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이후 버몬트, 올림픽, 코리아타운플라자 푸드코트 등으로 확장하며 월남국수의 대중화를 완성했다. 지금도 웨스턴점과 코타플 지점은 같은 상호로, 같은 레시피로 명맥을 잇고 있다.   한때 그보다 더 진한 국물의 ‘Pho 4000’도 등장했다. 4가 웨스턴 코너의 작은 식당이었지만, 깊은 국물 맛에 타인종 손님들까지 줄을 섰다. 타운이 지금처럼 다인종화되기 전, 이 음식은 LA의 새벽 공기를 타고 주류의 입맛도 매혹시켰다.   시간이 흘러도 ‘새벽의 월남국수’는 여전히 타운의 문화적 상징이다. 8가 옥스포드의 ‘Thank U Pho’, 6가의 ‘Pho 24’, 버몬트의 ‘Good Pho U’, 그리고 3가의 ‘Pho Legend’까지 이제 한인타운 곳곳에서 국적을 넘나드는 향신료와 국물이 섞인다.   특히 Pho Legend의 ‘분차(Bun Cha)’는 오바마 대통령이 베트남 방문 중 먹으며 화제가 된 메뉴로, 불향 입은 돼지고기와 국물 없는 쌀국수를 느억맘 소스에 버무려 먹는 별미다.   9가와 웨스턴의 ‘K-Town Pho’에서는 월남 샌드위치인 ‘반미’를 투고할 수 있어, 점심 한 끼의 일상식으로 자리잡았다.   타운의 월남국수 지도를 다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웨스턴 길을 따라 2가에는 Pho 2000, 4가의 Cali Pho nia, 7가의 Pho Gyu, 9가의 K Town Pho가 있다. 또 버몬트길을 따라 3가의 Pho Legend, 7가의 Good Pho U가 유명하다. 8가와 옥스포드 Thank U Pho, 6가와 켄모어의 Pho 24, 코타플 푸드코트내 Pho 2000 역시 강자다.   이 월남국수집들은 이국적이지만 한인의 식탁에서 서로의 문화를 포용한다. 그리고 국경을 넘어선 이민자들만의 향기가 배어있다. 라이언 오 / CBC 윌셔프로퍼티 대표K타운 맛따라기 소울푸드 타운 한인타운 곳곳 la 한인타운 코리아타운플라자 푸드코트

2025.10.26. 19:00

썸네일

물가 부담에 팁·발렛 없는 푸드코트 인기

#. LA한인타운에 부동산업을 하는 한인 김 모 씨는 최근 팁이라도 아껴보자는 마음에 푸드코트에서 점심을 먹고 있다. 그는 “직원들과 외식을 하면 음식 4종류와 팁에다 발렛파킹 비용까지 하면 130달러는 훌쩍 넘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푸드 코트는 다양한 음식이 있고 비용도 30% 정도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고물가에 생활비 부담이 커진 소비자들에게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푸드코트가 인기다.     푸드코트의 경우, 음식값은 다른 식당들의 동일 음식에 비해서 대체로 저렴하며 특히 15~20% 정도의 팁 부담도 없는 데다 3~5달러인 발렛파킹 비용도 아낄 수 있다. 또 궂은 날씨에도 우산을 쓰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어서 인기라는 게 푸드코트 업계의 설명이다.     코리아타운플라자 푸드코트 내 돈까스하우스의 제이 김 사장은 “요즘 외식비용이 치솟는데 푸드코트는 상대적으로 저렴해서 이전보다 더 많이 고객들이 찾고 있다”고 웃음을 지었다.   LA한인타운에 거주하는 한인 이 모 씨는 “고물가에다 렌트비와 유틸리티 비용 부담으로 생활비를 한 푼이라도 아껴야 해서 주차가 쉽고 장도 볼 수 있는 푸드코트가 주말 외식 장소가 됐다”고 말했다.     이씨처럼 푸드코트를 자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음식값 외에 추가 비용 없이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골라 즐길 수 있는 것을 장점으로 꼽았다.   가족과 함께 LA 한인타운 내 푸드코트를 방문한 50대 정 모 씨는 “요즘 식당에 가면 발렛파킹 비용으로 4달러, 많게는 그 이상도 받는다. 이것도 쌓이다 보면 한두푼이 아니다. 그럴 바엔 차라리 푸드코트에 오는 게 낫다”고 설명했다.   60대 이 모 씨는 “세금과 팁을 계산하면 결국 점심 한 끼에 25~30달러는 우습다”며 “그렇다고 팁을 적게 줄 수도 없어 계산서를 보고 곤란할 때가 많다”고 덧붙였다.     푸드코트에서 판매 중인 돈까스의 경우 1인분 기준 세금 포함 약 15달러, 타운에서 판매 중인 일반적인 돈까스의 가격은 보통 세금을 포함해 약 18달러가 넘는다.   4인 가족 식사 시 푸드코트에선 60달러로 해결할 수 있지만, 일반식당에선 팁 15%를 더한 83.72달러를 내야 한다. 일반식당이 최소 39.5% 더 비싼 셈이다. 여기에 팁을 더 주거나 주차비가 별도일 경우 가격 차이는 더 벌어진다.   한편 최근 계속 상승한 외식비 자체에 불만을 가진 이들도 있었다. 혼자 푸드코트를 방문한 60대 박 모 씨는 “요즘 밥값이 비싸서 먼저 식사 약속을 잡기도, 누가 물어봐도 부담”이라며 “푸드코트처럼 가격이 저렴하고 팁 눈치를 보지 않고 편하게 먹을 수 있는 곳이 더 많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푸드코트 물가 푸드코트 인기 코리아타운플라자 푸드코트 푸드코트 업계

2023.03.05. 19:1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