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식당서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관람하던 시민들 '집단 난투극'

14일 밤 LA의 한 지역에서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을 관람하는 행사가 열린 가운데, 과음 등의 이유로 폭력사태가 발생, 여러 명이 병원에 이송되는 일이 발생했다.     KTLA 방송에 따르면 이날 사건은 피코 유니언 지역에 위치한 콜롬비아 식당 인근 주차장에서 일어났다.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등 수백 명의 팬들이 대회 결승전인 콜롬비아와 아르헨티나의 경기를 보기 위해 모인 상황이었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경기가 끝난 후 폭력사태가 발생했다. 한 목격자는 “많은 사람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냈었다”며 “그러나 너무 많은 사람들이 술을 마셨고 결국 폭력사태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현재까지의 보도에 따르면 유리병이 던져졌고 최소 한 명이 칼에 찔렸다. LA 경찰국(LAPD)은 자상 환자를 포함한 여러 명이 병원에 이송됐고 여러 건의 폭행 신고가 접수됐다고 설명했다.     15일 오전 7시 현재까지 해당 사건으로 체포된 사람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날 결승전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연장 승부 끝에 콜롬비아를 1대 0으로 꺾었다. 아르헨티나는 통산 16번째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15번 우승한 우루과이를 제치고 코파 아메리카 최다 우승 국가가 됐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아메리카 폭력사태 코파 아메리카 콜롬비아 식당 우승 국가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결승전

2024.07.15. 14:58

썸네일

LA로 '절도 투어' 온 콜롬비아인 일당 4명 체포

주택침입 절도를 위해 글렌데일 주택가에 위장 카메라를 설치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경찰은 지난 20일 글렌데일에서 헤드라이트를 끄고 주행하는 차량을 멈춰 세웠다. 차량 수색 결과 나뭇잎으로 위장한 카메라 및 배터리가 발견됐다. 또 주민 신고 및 의심을 피하기 위해 착용하려 한 공사 헬멧과 조끼도 발견됐다.   경찰은 27~29세인 콜롬비아인 4명을 절도 미수 혐의로 체포했다. 이들은 미국 입국 심사에 관광을 목적으로 허위로 기재하고 들어와 절도 범죄를 벌이고 도주하는 '절도 투어' 일당으로 밝혀졌다. 일당은 주택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주택이 비는 시간을 기록하려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한인 캘리포니아 LA 로스엔젤레스 콜롬비아 카메라 위장 카메라 콜롬비아 일당 절도 투어

2024.05.23. 13:38

썸네일

[보석상의 보석이야기] 머니 런드리 콜롬비아를 흔들다

 친구야! 이런 얘긴 내 안의 허물을 보이는 거라 누구에게나 쉽게 할 수 있는 얘긴 아니야. 하지만 너한텐 말하고 싶다. 지난 얘기라도 부끄럽지만 당당하기도 해. 들어봐.   내가 콜롬비아에서 에메랄드 사업을 한창 할 때야. 너는 콜롬비아 하면 뭐가 가장 먼저 떠오르니? '마약과 마피아?', '커피?', '미녀?', 아니면 아마도 '에메랄드?' 한국에서 IMF 사태가 터지기 전, 90년대 중반의 일이야. 그때는 한국이 올림픽 이후 막 성장할 시기라 돈이 좀 있는 여자들이라면 보석을 하나씩 장만하고 싶어 했었지. 그때만 해도 원산지 콜롬비아에서 에메랄드를 하는 한국인은 손으로 꼽을 정도였어. 경쟁도 없고, 그저 내가 물건 주기만 손꼽아 기다리는 바이어들만 줄을 섰으니 그야말로 누워서 떡 먹기였지. 그 바람에 한국에 나가면 난 그들의 VIP였어. 내가 다른 바이어와 거래라도 틀까 봐 전전긍긍하며 내 비위 맞추기 바빴지. 그 덕분에 자고 일어나면 은행 계좌에 0이 하나 더 찍히더라. 그러면서 은근히 걱정되더라 이러다 돈벼락 맞는 거 아닌가 하고….   그렇게 한창 전성기를 구가하던 어느 날 내 콜롬비아 친구가 나에게 이것보다 수십 배 많이 벌 수 있는 달콤한 사업을 제안하는 거야. 내가 너니까 뜸 들이지 않고 바로 말할게. 다름 아닌 '돈세탁'이야. 고상하게 영어론 '머니 런드리'라고 하지. 넌 이런 범죄 패턴에 대해 무지하니까 내가 간단하게 요약해서 설명해 줄게. 마약을 팔면 돈이 생기지 그런데 마약은 불법이다 보니 판매대금을 정식으로 은행 계좌를 통해 콜롬비아로 송금할 수 없겠지. 하지만 난 그 당시 콜롬비아에서 정식 면허를 가진 에메랄드 중계회사를 했기 때문에 에메랄드 수출 대금을 은행을 통해 합법적으로 받을 수가 있었어. 이들의 제안은 간단해. 내가 수출하는 물량에 매달 400만 달러를 더해 허위로 수출액을 부풀려서 은행을 통해 돈을 받으면 400만 달러에 대한 15%의 커미션을 내게 주겠다는 거였어. 한마디로 한 달에 60만 달러 1년이면 720만 달러의 불로소득이 생기는 거지.    너 같으면 고민이 되니 안 되니? 하지만 난 고민 안 했다. 내 대답은 바로 'NO'였지. 나름 내가 한국에 있을 땐 뼈대 있는 안동 김씨 가문에 종손 아니겠니. 그런 내가 이런 양아치들과 돈벼락 한번 맞겠다고 그 일을 할 순 없지. 그리고 앞에서 언급했지만 에메랄드 하나만 갖고도 먹고살 만했거든, 그런데 더 솔직히 말하면 돈은 탐이 났는데 겁이 너무 나서 못 하겠더라. 원래 내가 새가슴이거든….   그러다 시간이 흘러 한국에 IMF 사태가 터진 거야. 1달러에800원 하던 환율이 하루가 다르게 오르더니 급기야는 1800:1이 되니, 그때부터 손님들이 돈 지급을 미루더니 결국에는 배 째라고 나오는 거야. 그래서 나는 돈을 받기 위해 한국을 찾아갔지만 이전의 한국은 나에게 더 이상 없더라. 공항에서부터 마중 나오고, 최고급 식사에 몇백만 원씩 하는 강남 유흥접대는 먼 나라 이야기가 되어버리고, 30대 중반인 나에게 꼬박꼬박 '김 사장님' 하며 존대를 해주던 나의 50대 바이어들은 "어이 미스터 김! 오는데 고생 많았지" 하면서 소주에 순댓국 하나 사 주더라. 결국 여기저기서 뜯기고, 매출은 제로가 되는 사면초가에 몰리게 되니, 양반집 종손이고 나발이고 다 소용없더라.    다급함에 나는 콜롬비아 친구에게 예전의 그 양아치(마피아)를 다시 찾아 달라 부탁했지만 개똥도 약에 쓸려면 없다고, 내가 간절해지니 연락이 안 되더구나. 결국 나는 한순간 마음속에 품었던 크리미널 마인드를 타의에 의해 포기해야 했고, 본의 아니게 열심히 일해서 IMF를 극복했지.    그래서 지금도 난 당당하다.     해리 김 K&K Fine Jewelry  보석상의 보석이야기 콜롬비아 런드리 런드리 콜롬비아 콜롬비아 친구 원산지 콜롬비아 안동김씨 에메랄드

2023.11.30. 9:31

죽을 날 받아놓자 되찾은 웃음…콜롬비아 여성에 안락사 재허가

죽을 날 받아놓자 되찾은 웃음…콜롬비아 여성에 안락사 재허가 루게릭병 앓는 50대…콜롬비아서 말기 환자 아닌 안락사 첫 사례     (멕시코시티=연합뉴스) 고미혜 특파원 = 난치병을 앓고 있는 콜롬비아 50대 여성이 두 번의 투쟁 끝에 존엄하게 생을 마무리할 권리를 얻어냈다. 28일(현지시간) 일간 엘티엠포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전날 콜롬비아 법원은 마르타 세풀베다(51)에 대한 안락사 절차를 진행하라고 명령했다. 법원은 관계기관에 48시간 이내에 세풀베다와 안락사 일시를 협의하라고 지시했다. 사실 세풀베다가 안락사 허가를 받은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루게릭병으로 불리는 근위축성측색경화증을 앓고 있는 세풀베다는 지난 8월 안락사를 요청해 허가를 받았다. 콜롬비아는 중남미에서 유일하게 말기 환자의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다. 세풀베다의 경우 콜롬비아에서 말기 환자가 아님에도 안락사를 허가받은 첫 사례였다. 지난 7월 헌법재판소는 죽음을 앞둔 말기 환자가 아니더라도 극심한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수반하는 심각한 난치병 환자도 안락사 허용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판결한 바 있다. 운동신경세포가 파괴되는 루게릭병은 서서히 몸이 마비되면서 사망에까지 이르는 퇴행성 질환으로, 세풀베다는 2018년 첫 진단을 받았다.   지난 10일로 안락사 날짜를 받아놨던 세풀베다는 죽음을 앞두고 언론 인터뷰에서 여러 차례 환한 웃음을 보여줬다. 그는 현지 카라콜TV에서 "내가 겁쟁이일 수도 있지만 더는 고통받고 싶지 않다. 지쳤다"며 "안락사 허가를 받은 후에 마음에 평화가 찾아왔다. 더 잘 웃고 잠도 잘 잔다"고 말했다. 세풀베다의 아들도 "어머니가 행복해하신다"고 말했다. 그러나 예정된 안락사를 불과 36시간 앞두고 의료당국이 안락사를 진행하지 않겠다며 결정을 뒤집었다. 인터뷰에서 보인 세풀베다의 상태가 안락사 허가 결정 당시에 알고 있던 것보다 좋아 보인다는 이유에서였다. 세풀베다는 반발하며 안락사 결정을 얻어내기 위해 계속 투쟁하겠다고 했다. 아들도 "어머니가 전처럼 절망적이고 슬픈 상태가 되셨다"며 "어머니의 존엄성을 위해 싸울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이번 법원 결정으로 세풀베다는 곧 두 번째 안락사 날짜를 받게 된다. 콜롬비아에선 1997년 안락사가 처벌 대상에서 제외됐으며 2015년 안락사가 법제화된 뒤 지금까지 157명이 당국의 허가를 받아 생을 마감했다. 콜롬비아 외에 캐나다, 벨기에, 네덜란드, 스페인 등에서 안락사가 허용되고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콜롬비아 안락사 안락사 재허가루게릭병 콜롬비아 여성 안락사 허가

2021.10.28. 21:4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