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크로거, 미전역 60개 매장 폐쇄 계획

 미국의 대형 식료품 체인 크로거(Kroger)는 이번 달 1분기 실적 발표에서 향후 18개월 동안 실적이 저조한 약 60개 매장을 폐쇄할 계획이며 동시에 올해와 내년에는 새로운 매장도 개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폐쇄 대상 매장에는 텍사스 맥키니 소재 매장 1개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AP통신, 달라스-포트워스 a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크로거 회장이자 임시 CEO인 로널드 서전트(Ronald Sargent)는 지난 6월 20일 실적 발표에서, “우리는 사업을 단순화하고 향후 성장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지 않는 부문의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현재 모든 매장이 우리가 필요로 하는 지속 가능한 성과를 내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결정을 쉽게 내리지는 않지만 이를 통해 회사는 더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이며 폐쇄 매장에 근무 중인 직원 전원에게는 다른 매장에서의 근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폐쇄 대상이 될 구체적인 매장 목록은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 그러나 abc 뉴스를 비롯한 일부 지역 언론들은 텍사스, 일리노이, 켄터키, 조지아, 인디애나, 위스콘신, 웨스트 버지니아, 버지니아, 테네시 등 여러 주에서 폐쇄 대상 매장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텍사스의 경우는 맥키니 시내 1707 W. University Drive에 위치한 매장 1개가 폐쇄될 예정이라고 abc 뉴스가 보도했다.   메릴랜드, 버지니아, 워싱턴 D.C., 웨스트 버지니아, 오하이오, 켄터키, 테네시 등에서 3만5천여명의 조합원을 대표하는 유나이티드 푸드 & 커머셜 워커스 로컬 400(UFCW Local 400)은 자신들이 대표하는 매장 중 4곳이 폐쇄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UFCW Local 400의 마크 페데리치(Mark Federici) 대표는 “이들 매장에서 근무하는 조합원들이 제공하던 서비스는 크로거가 고객과 직원보다 월가 투자자를 우선시하면서 지역사회로부터 사라지게 될 것이다. 이번 폐쇄는 좋은 노동조합 일자리 기회를 줄일 뿐만 아니라 식료품 구매 대안이 거의 없는 농촌 지역에서는 식품 접근성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다. 이는 결국 크로거의 ‘작은 재정적 이득’을 위한 결정”이라고 성명을 통해 지적했다. 한편, 크로거는 2026년과 그 이후에도 신규 매장을 계속 오픈할 계획이라고 아울러 밝혔다. 새 매장의 구체적인 위치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회사 측은 경쟁력이 있거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전국의 지역을 우선 고려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4년 2월 1일 현재, 크로거는 총 2,7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번 폐쇄 계획은 전체 매장의 약 2.2%에 해당한다. 회사 측은 세이프웨이(Safeway)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앨버트슨스(Albertsons)와의 합병 추진 과정에서 폐쇄 결정을 미뤄왔다고 설명했다. 크로거와 앨버트슨스는 2022년에 합병을 처음 제안했으며 월마트(Walmart)나 코스코(Costco) 같은 대형 소매업체들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연방거래위원회(FTC)와 워싱턴주, 콜로라도주는 이 합병이 경쟁을 줄이고 가격을 올리며 노동자의 임금을 낮출 수 있다며 지난해 이를 저지하기 위한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크로거 측은 매장 폐쇄를 통해 ‘어느 정도의 재정적 이익’을 기대하고 있으며 절감된 비용은 고객 경험 개선에 재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손혜성 기자크로거 미전역 폐쇄 매장 소재 매장 매장 목록

2025.06.30. 8:51

썸네일

알버슨 인수 추진 크로거, 매장 매각 579개로 늘려

수퍼마켓 체인 알버슨의 인수를 추진 중인 랄프의 모기업 크로거가 매장을 총 579개를 매각하기로 했다. 이는 오랫동안 진척 없는 합병 상황을 가속하기 위한 조치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크로거와 알버슨이 C&S 홀세일 그로서와의 계약 수정으로 매각할 매장 수가 166개 더 늘었다”면서 “매장 인수 업체인 C&S는 이번 계약 수정으로 총 579개 매장을 매입하게 됐다”고 22일 보도했다.     새로운 합의는 연방거래위원회(FTC)가 크로거의 250억 달러 규모의 알버슨 인수를 막기 위해 소송을 제기한 후 나온 것이다.     FTC는 소송에서 두 회사의 합병이 식품 가격 인상과 노동자들의 교섭단체권을 저해할 수 있는 데다 매각할 매장 수도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은영 기자크로거 인수 매장 인수 매장 매각 인수 추진

2024.04.23. 22:48

FTC, 크로거-앨버트슨 인수 합병에 제동…"식료품 추가인상 이어질 것"

연방거래위원회(FTC)가 크로거와 앨버트슨 컴퍼니스의 인수 합병을 막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다.   26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FTC는 수퍼마켓 체인 크로거가 250억 달러에 경쟁사 앨버트슨을 인수하려던 계획을 저지하기 위해 오리건주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소장에 따르면 FTC는 이번 거래가 식품 가격 상승과 노동자들의 임금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반독점을 근거로 거래를 막아달라고 법원에 요청했다.   FTC는 워싱턴, 콜로라도 및 그 외 지역에서 수백개 매장을 매각해 정부의 우려를 해소하려는 이들 계획으로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며 “이번 인수는 일상 식료품의 추가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오늘날 전국 소비자들이 직면한 재정적 부담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메릴랜드, 네바다, 뉴멕시코, 오리건, 와이오밍, 워싱턴DC 등 9개 지역 검찰 총장도 이번 제소에 동참했다.   수퍼마켓 체인 크로거는 2022년 10월에 경쟁사 앨버트슨을 인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거래는 246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딜로 합병이 성사되면 월마트 다음으로 큰 수퍼마켓 체인이 탄생하게 된다.   크로거 대변인은 FTC의 결정은 더 높은 식료품 가격, 식료품점 축소, 비조합 소매업체의 득세를 강화할 것이라며 법정에서 이를 다툴 것이라고 밝혔다.   앨버트슨 대변인도 이번 합병으로 소비자들에게 더 낮은 가격을 제공하고, 근로자들에게는 더 높은 임금을 제공하며, 경쟁사인 아마존, 월마트 등과는 더 나은 경쟁에 나서게 해줄 것이라고 항변했다.   이번 FTC의 결정은 올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바이든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을 계속하는 가운데 나왔다.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소비자들은 식료품에 높은 가격을 지급해야 한다.추가인상 크로거 식료품 추가인상 인수 합병 크로거 대변인

2024.02.27. 22:58

식품업체 크로거, 주얼(앨버슨) 인수

시카고 지역의 대표적인 식품 체인 마리아노스가 주얼과 통합한다.    14일 오전 마리아노스를 소유한 크로거(Kroger)와 주얼의 모회사인 앨버슨 (Albertson's) 이사회는 각각 크로거의 앨버슨 인수를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인수 가격은 246억 달러이며 크로거가 앨버슨의 부채 47억 달러도 함께 인수하는 조건이다. 이번 합병으로 크로거는 미 전역에 직원 수 71만명, 5000개 지점, 물류 센터 66곳을 갖춘 초대형 식품 기업이 된다.     크로거의 앨버슨 인수로 시카고 식품업계는 큰 변화가 예상된다.     신시내티에 본사를 둔 크로거는 지금까지 35개 주에서 2750개의 지점을 운영해왔다. 시카고에서는 마리아노스가 대표적이다. 올해 매출은 1500억달러로 예상되며 시가 총액은 330억달러에 달한다.     아이다호주 보이시에 본사를 둔 앨버슨의 올해 매출은 760억달러, 시가 총액은 140억달러 규모다.     크로거는 사실 시카고 지역에서는 다소 생소한 업체다. 1883년 설립됐다가 1970년대 시카고 시장에서 철수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98년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Food 4 Less를 인수한 데 이어 마리아노스까지 인수하면서 시카고 시장에서의 마켓 지분을 크게 올렸다.     그동안 시카고서 가장 유명한 식품업체는 주얼이었다. 1899년 Jewel Tea이라는 이름으로 오픈한 주얼은 커피와 티를 말로 배달하면서 성장했다.     현재 시카고 지역에 188개 지점을 확보하고 있는데 2013년 매각되면서 앨버슨의 자회사가 됐다.     이번 크로거의 앨버슨 인수로 시카고 지역에서는 주얼과 마리아노스의 지점이 인접한 곳은 통폐합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 독점을 피하기 위해 일부 지점에 대해서는 매각 명령이 내려질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된다면 시카고 주민들은 마트 선택의 폭이 좁아지고 편의성도 낮아질 수밖에 없다.     한편 크로거, 앨버슨과 같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마트들은 월마트와 아마존이 온라인 식품 판매를 강화하면서 합병 필요성이 커졌다고 업계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특히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전국의 온라인 그로서리 매출은 56%이나 성장했고 2025년까지 14%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크로거와 앨버슨의 온라인 매출 비중은 전체의 10%와 4%에 머물러 통합으로 이를 늘려야 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Nathan Park•Kevin Rho 기자식품업체 크로거 이번 크로거 시카고 식품업계 인수 가격

2022.10.14. 15: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