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리틀 크릭<샌버나디노카운티>서 규모 4.2 지진

5일 LA 인근 지역에서 규모 4.2의 지진이 발생했다.   연방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오전 10시 55분쯤 LA다운타운에서 북동쪽으로 약 60마일 떨어진 샌버나디노카운티 리틀 크릭에서 규모 4.2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북위 34.27도, 서경 117.51도이며, 진원의 깊이는 약 5마일이다.       USGS는  LA시를 포함해 롱비치, 리버사이드, 오렌지 카운티 등에서 남가주 지역의 주민 약 6만1000명이 4등급의 ‘가벼운(Light)’ 흔들림을, 약 1803만6000명이 2∼3등급의 ‘약한(Weak)’ 흔들림을 느낀 것으로 확인했다. 3등급 진동은 건물 실내에 있는 사람들이 분명히 느낄 수 있고 서 있는 차가 약간 흔들리는 정도이며, 4등급 진동에는 자는 사람이 깰 수 있고 창문이 눈에 띄게 흔들리며 벽에 금이 가는 듯한 소리가 난다.     해당 지역은 지난 1970년에 규모 5.2의 지진이 기록된 바 있다.     USGS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인한 구조물 손상이나 부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 한편, 지난 1일 오전 8시 27분쯤에 랜초팔로스버디스 인근에서도 규모 4.1의 지진이 발생했다.   김예진 기자지진 크릭 리틀 크릭 남가주 지역 롱비치 리버사이드

2024.01.05. 22:03

귀넷 북쪽에 '밀 크릭' 시 신설 추진

"카운티가 주민 의견 제대로 수렴 못해" 주민들, 카운티 개발정책에 강한 불만 "무리한 개발로 교통혼잡·과밀화 초래”   조지아 주 하원의 공화당 지역구 의원들이 귀넷 카운티 북쪽에 새 도시를 신설하는 법안을 상정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가칭 '밀 크릭'(Mill Creek)이란 이름의 새 도시 예정지는 귀넷 카운티 동북부 지역이다. 북쪽과 동쪽으로 카운티 경계선과 브래질턴 시와 맞닿으며, 서쪽과 남쪽으로는 엡스트스레이션 지구 경계와, 리지 로드, 해밀턴 밀 로드, 브래질턴 하이웨이, 오번 로드, 베일리 우즈 로드 등과 인접해 있다.   시의 대부분은 주 하원 다수당 원내대표인 척 엡스트스레이션 의원의 지역구이며, 브래질턴 인근 일부는 데릭 맥콜럼 의원(공화·게인스빌)의 지역구이다.   이 지역이 시로 승격되면 귀넷 카운티에서 2번째로 주민이 많은 시가 된다. 현재 이 구획 내 거주하는 주민은 3만2000~4만명 정도. 주민을 대표할 시 의원 5명을 선출, 도시 기획과 조닝 등의 의사결정을 맡는다.    엡스트스레이션 의원은 밀 크릭 시 신설의 필요성에 대해 애틀랜타 저널(AJC)과의 인터뷰에서 "주택 건설 공사와 관련한 민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으나 카운티 당국이 주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해밀턴 밀 지역에 아파트 700 유닛 규모의 복합단지 개발이 카운티의 승인을 받고 추진되고 있으나 상당수 주민들이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엡스트스레이션 의원은 구체적인 법안 상정 일정을 검토 중이며, 일단 법안이 통과되면 시 경계 내 주민들의 투표로 최종 확정된다.   다만, 지난 2년간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서 추진된 도시 승격 법안들이 폐기된 점을 감안하면,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스트 캅과 바이닝스를 합쳐 로스트 마운틴 시로, 또 애틀랜타에서 벅헤드를 분리시켜 시로 승격시키는 법안이 주 의회에 상정됐으나 모두 통과되지 못했다.   인구 유입이 지속되고 있는 귀넷에서 가장 최근에 신설된 시는 피치트리 코너스로 2012년 탄생했다.   귀넷 주민들은 카운티 정부가 인프라 부족을 고려하지 않고 인구 증가를 수용하기 위한 개발 정책을 추진하면서 교통혼잡과 학교 과밀화를 초래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토머스 공 기자북쪽 크릭 카운티 북쪽 카운티 개발정책 카운티 경계선

2023.11.03. 15:4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