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타운 맛따라기] ‘불판 혁명’ 선도한 이씨 형제들
1980~90년대만 해도 미국의 식당 내부 구조는 철저히 분업화되어 있었다. 조리는 주방에서만 가능했다는 뜻이다. 손님이 테이블에서 생고기를 굽는다는 개념은 생소함을 넘어 불법 영업으로 간주됐다. 당시 LA 시건물안전국은 고기를 테이블 위에서 구우려면, 테이블마다 스프링클러와 자동 소화 시스템을 갖춘 주방 수준의 후드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대부분이 포기했지만, 이를 정면 돌파한 식당이 있었다. 버몬트길 현재 ‘국대고집’ 자리에 1983년에 개업한 ‘해운대 왕갈비’다. 과도하다고 할 만큼 완벽한 시설을 갖춘 이 식당은, 결과적으로 한식 테이블 바비큐 문화를 정착시킨 1세대 식당으로 기록된다. 이 식당에서 시작해 한인타운의 요식업계에 큰 획을 그은 이들이 이인천씨 형제들이다. 해운대 왕갈비가 대박을 거둔 이후 한동안 한인타운 요식업계는 이씨 형제들이 운영하는 식당과 그 나머지로 분류될 정도로 이들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현재는 대부분의 형제들이 라스베이거스로 활동 무대를 옮겼지만 이들이 타운에 남긴 역사는 아직도 뚜렷하게 남아있다. 이씨 형제의 식당 계보를 정리하면 대단하다는 말밖에 나오지 않는다. 먼저 해운대 왕갈비를 시작한 사람은 큰 누나다. 큰형은 ‘황태자’, ‘신라부페’, ‘수라원’, 할리우드의 ‘란제리’ 클럽, 라스베이거스의 ‘김치바비큐’를 열었다. 둘째는 원산면옥, 진주곰탕, 미스터 순두부, 콜로라도의 ‘서울바비큐’, 라스베이거스의 ‘진주설렁탕’을 개업했다. 셋째가 이인천 사장인데 LA에서 ‘주막74’를 비롯해 클럽 ‘6th Ave’, 클럽 ‘360’, ‘노량진 회센터’를 운영했고 라스베이거스로 이주해서는 ‘진생바비큐’, ‘대장금’, ‘김치바비큐’에 이어 ‘야마 스시’로 성공 가도를 달렸다. 넷째는 ‘알배네’와 ‘미아리 칼국수’를 개업했다. 이씨 형제들의 사촌도 요식업계의 큰손이다. 바로 북창동순두부 창업자 고 이희숙씨의 남편 이태로씨다. 이씨 형제의 사돈의 팔촌이자 동네 친구도 LA서 식당을 열었다. 양지설렁탕과 양지감자탕의 이기영 사장이다. 이제는 2세들까지 가세해서 북창동 순두부의 경우 고 이희숙 사장의 세 아들이 경영에 참여하고 있고, 큰형의 수라원은 딸이, 셋째의 딸도 라스베이거스 김치바비큐와 야마 스시의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이씨 형제들이 불을 지핀 테이블 쿠킹 문화는 이제 미국 전역은 물론 다양한 민족 요리에서도 일반화됐다. 양꼬치, 야키니쿠, 데판야끼, 샤부샤부, 핫팟 등 다양한 형태로 재탄생하고 있다. 불판의 기술적인 진화는 경이롭다. ‘타입1 시스템’은 기름과 연기를 걸러내는 고성능 후드를 뜻한다. ‘타입2 시스템’은 수증기를 위주로 배출하고 ‘다운 드래프트 시스템’은 연기를 테이블 아래로 흡수하는 장치다. 코끼리코처럼 천장에서 내렸다 올렸다 하는 자바라 스타일 후드도 최근 주목받고 있다. 앞으로는 후드없이 자동 소화 시스템도 생략되고 간단한 필터시스템만 갖춘 전기 인덕션 스타일이 일반화 될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한식당의 불판에서 시작된 도전 정신은 이제 외식 산업의 경계를 넘어섰다. 노래방, K-뷰티, K-팝까지 미국 대중문화 전반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다. 모두가 어렵다고 고개를 저은 규제를 뚫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낸 한인 1세대 개척자들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오늘날 한인타운의 풍성한 식문화는 이들이 흘린 땀과 도전의 결과물이다. 이씨 형제들에게 깊은 경의를 표하며, 그들의 이야기가 앞으로도 한인 이민사의 한 페이지로 길이 남기를 바란다. 라이언 오 / CBC 윌셔프로퍼티 대표K타운 맛따라기 혁명 선도 라스베이거스 김치바비큐 클럽 라스베이거스 이씨 형제들
2025.06.29. 1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