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시 전철과 통근열차 시설의 노후화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먼저 뉴욕시 전철 시스템부터 살펴보면, 전철 시스템이 사용하는 신호기 10개 중 7개가 100년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시 전철 시스템 신호기 69%가 100년 이상 사용돼 잦은 지연과 고장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신호시스템은 각 열차의 운행 상황을 통제하고 조정하는 장치기 때문에, 이 시스템이 고장나면 운행 자체가 불가능하다. 또 자칫하면 신호시스템 오류 및 고장이 큰 사고를 야기할 수도 있다. 통근열차 역시 대대적인 수리가 필요한 시설이 다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교량, 터널 등 구조물 중 80개가 열악하거나 상태가 좋지 않은 등 ‘심각한 노후화’ 상태에 직면한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이중 수리 계획이 잡힌 구조물은 일부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MTA 관계자에 따르면, 80개 중 수리 계획이 잡힌 구조물은 12개뿐이다. 구조물별로 보면, LIRR ▶지하 교량 504개 중 13% ▶지상 교량 56개 중 19% ▶터널 4개 중 75%가 ‘불량’이거나 ‘한계에 직면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메트로노스 열차의 경우 ▶지하 교량 181개 중 46% ▶지상 교량 313개 중 23% ▶터널 9개 중 11% ▶철도 레일의 39%가 ‘불량’이거나 ‘한계에 직면한’ 상태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메트로노스 할렘 라인의 플랫폼 중 절반 이상인 53%가 ‘상당한 수리가 필요한’ 상태였다. 문제는 예산이다. 노후화된 시스템을 개선하고 수리하려면 막대한 수리 비용이 드는데, MTA가 지난 9월 발표한 2025~2029년 인프라 계획에 따르면 모든 시설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연간 230억 달러의 투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MTA는 무임승차 등의 이유로 매년 적자를 보는 상황이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정부가 수 세대에 걸쳐 인프라에 대한 적절한 투자를 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통근열차 노후화 통근열차 노후화 뉴욕시 전철 뉴욕 전철
2024.12.12. 21:02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관할하는 뉴욕일원 통근열차 승객 수가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5일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실에 따르면, 14일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이용객 수는 26만745명으로 코로나19 이후 (평일 기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LIRR 승객 수는 지난주 1일 평균 21만2466명으로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이번 주 그 기록을 넘어선 것이다. 메트로노스 이용 승객 역시 지난 13일 20만9000명으로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14일 이용객 수까지 합치면 이틀 동안 약 50만 명의 승객이 메트로노스를 이용했다. 호컬 주지사는 “이 기록적인 승객 수는 대중교통에 대한 꾸준한 투자를 통해 뉴욕 주민들이 이제는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교통 수단을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재노 리버 MTA 회장은 “MTA 통근 열차 서비스는 그 어느 때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다”며 “특히 그랜드센트럴매디슨을 이용하는 통근자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MTA에 따르면 저소득층 밀집지역의 LIRR 이용률도 전년 대비 28% 증가했으며, 메트로노스 열차의 정시 운행률은 99%를 기록했다. LIRR의 올해 정시 운행률은 메트로노스보다 약간 낮은 96%인 것으로 파악됐다. 캐서린 리날디 메트로노스 사장은 “올해 1분기 통근열차의 정시 운행 실적은 역대 최고였다”고 전했으며, LIRR과 메트로노스는 지난 한 주 동안 각각 약 14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하며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기록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윤지혜 기자통근열차 승객수 통근열차 승객수 뉴욕일원 통근열차 역대 최다
2024.05.16. 21:22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운영하는 메트로노스 열차와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등 통근열차 승객 수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팬데믹 이후 북부 뉴욕이나 롱아일랜드 등 인구밀도가 높지 않은 도심 외곽으로 이주한 뉴요커들이 많아진 가운데, 기업들이 잇따라 일주일에 적어도 2~3회 가량은 대면근무를 권장하면서 통근열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덕이다. 주말이면 통근열차를 이용해 외곽으로 나들이를 떠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점 역시 통근열차 승객 수 회복에 영향을 미쳤다. 20일 MTA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메트로노스 열차에 하루동안 탑승한 승객 수는 총 19만5086명이었다. 지난 15일 기준으로 메트로노스 7일 평균 일일 탑승객 수는 15만7499명이었다. 뉴욕에서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급증하기 직전이었던 2020년 3월 7일 기준 7일 평균 메트로노스 승객 수(15만7160명)를 웃도는 수준이다.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탑승객 수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15일 기준 7일 평균 LIRR 탑승객 수는 16만8726명으로, 2020년 3월 7일 기준 7일 평균 탑승객 수(7만6072명)의 두 배를 넘어섰다. LIRR 탑승객 수는 지난 2월 27일 이후 16일 연속 매일 20만명 이상을 기록하기도 했다. LIRR의 경우 차편을 지속해서 늘렸고, 최근 그랜드센트럴매디슨역으로도 운행하기 시작한 것이 승객 수를 늘리게 된 배경이다. 캐서린 리날디 메트로노스·LIRR 임시 사장은 “많은 사람들이 통근열차가 빠르고 효과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라는 것을 인식하면서 탑승객 수도 크게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하이브리드 근무가 늘어났다는 점을 반영, 월간 승차권 할인과 20회 승차권 등을 판매하기 시작한 것도 뉴요커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한편 이처럼 통근열차 이용객이 크게 늘어난 반면, 뉴욕시 전철 탑승객 수는 여전히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15일 기준 7일 평균 전철 탑승객 수는 308만3179명으로, 2020년 3월 7일(456만1574명)과 비교하면 100만명 이상 적다. 여전히 전철 내 범죄, 노숙자 등에 대한 우려 때문에 전철 탑승을 꺼리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김은별 기자통근열차 승객수 통근열차 승객수 통근열차 이용객 평균 탑승객
2023.04.20. 21:14
노스 카운티 교통국(NCTD)이 커뮤터 열차 '코스터(COASTER)'의 디스카운트 프로그램을 도입, 관심을 끌고 있다. 향후 1년간 시범적으로 운영될 이 디스카운트 프로그램은 10일권과 5일권 등 두 가지로 나눠 티켓이 발행되는데 10일권은 1일 무제한 탑승권인 '리저널 데이 패스'(Regional Day Pass)와 비교했을 때 그 절반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즉 일반 성인 가격이 15달러인 리저널 데이 패스를 10장 구입하면 150달러를 내야 하지만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50% 할인된 75달러에 구입할 수 있다. 또 5일권은 리저널 데이 패스의 5장 가격에 비해 40%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단 이 디스카운트 프로그램을 통해 10일권을 구입했을 경우는 구입일로부터 60일 안에 모두 사용해야 하며 5일권은 30일 안에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해당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일수는 자동 폐기된다. 이밖에 이 프로그램은 ▶스프린터(SPRINTER) ▶브리즈(BREEZE) ▶플렉스(FLEX) ▶MTS 버스 ▶트롤리 ▶MTS 래피드 익스프레스(Rapid Express) 등 로컬의 다른 대중 교통수단과의 환승 혜택도 포함하고 있어 학생과 직장인은 물론 일반인까지 폭넓은 계층으로부터 각광 받게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주로 재택근무를 하면서 비정기적으로 출근하는 직장인 일명 '하이브리드 워커'(hybrid worker)로부터는 이 프로그램이 첫 선을 보인 지난 15일부터 문의가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프로그램의 10일권과 5일권은 모바일 앱인 '프론토'(PRONTO)를 통하거나 코스터 정차역에 설치돼 있는 자동판매기 또는 NCTD의 고객 서비스 센터 등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코스터는 샌디에고 카운티 서쪽 해안을 따라 오션사이드부터 샌디에이고 다운타운을 연결하는 기차 노선으로 지난 1995년 운행을 시작했다. ▶문의: https://gonctd.com/ 김영민 기자통근열차 프로그램 프로그램 각광 통근열차 코스터 디스카운트 프로그램
2023.02.17. 20:03
팬데믹 후 급감한 통근열차 이용자 수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가운데에도 정작 승객들은 출퇴근 시간에 앉을 자리가 없어 감염 위험을 느낄 정도라며 불안해하고 있다. 팬데믹 후 전철·버스·통근열차 등 뉴욕의 모든 대중교통 이용자가 급감했다. 이는 많은 직장이 재택근무로 전환했고, 다른 이동 수요도 뚝 끊겼기 때문이다. 팬데믹 이전 롱아일랜드 포트워싱턴에서 맨해튼까지 매일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를 이용해서 출퇴근했던 한인 K씨는 현재 주 2회만 출근한다. 그는 “이전에는 월 270달러를 내고 정기권을 구입했는데, 이제는 10회권을 끊어서 이용한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하면 주 2회 출근할 경우 한달에 126달러가 들어 굳이 월 정기권을 구입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LIRR·메트로노스 등의 통근열차는 롱아일랜드나 웨스트체스터 등 뉴욕시 외곽에 사는 맨해튼 근무 직장인들이 월 정기권을 구매해 이용하는 비중이 상당했었다. 팬데믹 이전 LIRR·메트로노스는 각각 월 20만개, 9만5000개의 월 정기권을 판매했고, 이는 전체 매출의 40~50%를 차지할 정도였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 월 정기권 판매는 75%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승객은 줄었지만 열차 운영 축소와 잦은 변경으로 승객 불편은 오히려 더 커졌다는 의견이 많다. 매일 퀸즈 우드사이드에서 롱아일랜드 그레잇넥까지 LIRR을 이용하는 한인 P씨는 “월 300달러 가까이 내고도 펜스테이션에서 탄 사람들로 꽉차서 매일 서서 퇴근한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비집고 앉을 자리도 거의 없지만 감염이 무서워서 서 있는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불과 1달여 전까지 LIRR 주요라인의 경우 낮 시간대는 30분 간격으로 배차된 반면, 정착 열차가 붐빌 시간인 오후 5시 이후에는 1시간씩 시간이 벌어져 있었다. 이는 최근들어 심야를 제외하고는 30분 간격으로 조정됐지만, 열차 운행은 팬데믹 이전의 85%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한편, 올해 말까지 뉴욕 대중교통 요금 인상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지난주 발표한 2022~2023회계연도 행정예산안에는 올해 말까지 대중교통 요금을 동결하기 위한 지원 자금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오는 3월부터 팬데믹 후 LIRR 전 시간대 승차권을 오프피크 요금으로 하던 것이 폐지돼 실질적 승객 부담은 늘게 됐다. MTA측은 월 정기권 10% 할인과 20회권 신설 등을 시행할 계획이다. 장은주 기자통근열차 승객 통근열차 이용자 대중교통 이용자 정작 승객들
2022.01.21. 20:12
지난 13일 발생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통근열차 성폭행 사건 당시 승객들이 범행을 방관했다는 보도는 오보라고 미 검찰이 주장했다. 21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잭 스톨스타이머 델라웨어 카운티 지방 검사는 이날 기자회견을 하고 "승객들이 자리에 앉은 채 (범행을) 지켜보거나 휴대전화로 영상을 찍으며 방관했다는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당시 두 사람이 휴대전화로 영상을 촬영했고 이중 한 명이 펜실베이니아 남동부 교통국(SEPTA) 경찰대에 익명으로 신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NYT는 검찰의 이 같은 주장이 사건 발생 초기에 나온 당국 설명과 거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성폭행 당시 승객들이 외면해 피해자가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던 교통 당국과 현지 경찰은 기자회견 후에도 여전히 같은 입장을 유지했다. 한편, NYT가 입수한 사건 진술서에 따르면 가해자인 피스턴 응고이(35)는 사건 발생 당일 오후 9시 16분께 열차에 탑승해 옆자리 여성을 상대로 30여 분간 부적절한 신체접촉을 시도하다가 급기야 성폭행을 시도했다. 피해자는 약 6분 뒤 경찰이 출동한 뒤에야 구조돼 병원으로 이송됐다. 경찰에 따르면 사건 현장 주변에는 10명가량의 승객이 있었다. 다만, 피해 여성이 다른 사람들이 알아챌 정도로 도움을 요청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NYT는 전했다. 사건 발생 이후 현재까지 검경에 당시 상황을 진술한 목격자는 한 명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현지 법원은 성폭행 혐의로 기소된 응고이에게 18만 달러의 보석금을 책정했다. 응고이에 대한 첫 재판은 오는 25일 열린다. 이종원 / 변호사성폭행 통근열차 펜실베이니아주 통근열차 승객 보도 당시 승객들
2021.10.22.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