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젊은 통기타 가수의 노래를 들으면서 한 발자국 뒤로 물러서 산다는 것이 참 아름답다는 생각을 했다. 노래 뒤를 편안히 뒤따라오며 전체를 아우르는 기타 반주 때문이었다. 행여 늦을까? 처져 있는 느낌이 되지 않을까?의 염려를 무색하게 드러나지 않으면서 단단하게 뒤를 받쳐주는 편안함을 느껴보았다. 삶의 보조를 맞춰 걸음을 옮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 보았다. 삶의 고난 속에서 거친 발걸음으로 걸어보기도 하고 삶의 어려운 고비마다 발끝에 힘을 모아 뛰어보기도 한다. 때로 기쁨으로 다가오는 순간에는 두 손을 모으고 무릎을 꿇어 나를 지으신 이에게 기도하기도 한다. 나를 필요로 하는 것들이 있다는 사실은 나를 고무케 한다. 나를 기다리는 것들이 굉장히 많아지는 정원의 아침이 밝아올 때. 다시 오겠다던 약속을 저버리지 않는 것들, 가령 예를 들자면 작은 묘목, 잔가지를 많이 가진 나무, 스스로 씨를 뿌릴 줄 아는 들꽃들이지요. 약속을 지키고 있어요라고 말하듯 잎을 펼치고 주먹만 한 꽃망울을 터뜨린다. 조용히 그들의 곁에 다가가면 반가움의 인사를 내 눈에 마구 쏘아대는 것이 아침햇살처럼 따스하다. 바람에 손을 흔드는 건지 잎사귀가 앞뒤로 팔랑거린다. 아침을 뒤따르며 저들의 걸음을 따라 한걸음 물러 걸어본다. 잘 살았다고 행복했다고 말할 수 있다면 그 걸음은 바른 걸음이 되었을 것이다. 숨을 고르고 흘러가는 계절을 바라보다 보면 세상의 행복은 다 나의 행복이 된다. 무슨 세상의 행복이 다 자기 행복이냐고 반문하겠지만 그건 사실이다. 작은 꽃 한 송이 피어나는 데에도 몇 계절이 바뀌어야 하고 수많은 낮이 지나고 밤이 찾아와야 한다. 꽃 한 송이 속에는 바람과 햇살과 밤하늘 별빛과 아침을 기다리는 그리움과 기대어 함께 자라고 피어나는 연민과 쏟아지는 빗줄기의 시원함과 한나절의 목마름이 층층이 배어있기 때문이다. 그 떨림이 내게서 사라지는 날이 오면 나는 사라진 존재로 남겨질 것이다. 모든 생명 있는 것들 앞에서 나의 숨이 거칠어진다면 나는 죽은 것이나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살아가면서 뒤돌아 계절을 배웅하면서 점점 더 소중해지는 건 찰나 같은 시간이다. 그 시간을 나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살아간다면 그 시간 속에 펼쳐지는 모든 것은 내 것이 된다. 시간이 빨리 흐른다고 세월을 탓하지 말자. 그 시간을 소중히 함께 걷다 보면 시간은 어느 새 나의 손을 잡고 시간의 은밀한 첫 시작부터 나에게 주어진 마지막 순간까지 친밀한 손잡음으로 연결해 줄 것이다. 퀼트의 조각처럼 엮어 이어지는 일상의 아름다운 모습을 그려낼 것이다. 나이 들면서 소중한 것 하나는 노동이다. 노동은 거룩한 것이다. 그리고 노동의 결과는 늘 정직하다. 헛되게 부풀려지지도 않고 그렇다고 고무풍선처럼 김빠지는 일도 없을 것이다. 땀 흘리며 일 한 후 찾아오는 보람이랄까. 아니 행복이라 말해야 옳을 것이다. 아침이 밝아 정원에 호미 한 자루 들고 시작한 정원일은 정오를 훨씬 넘긴 후에야 허리를 편다. 소쿠리에는 한 움큼의 잡초와 시든 꽃가지와 부러진 나뭇가지와 마른 잎사귀들로 가득하다. 불필요한 삶의 찌꺼기들도 광주리에 가득 걸러지는 아침을 맞이하자.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당신의 정원에서 당신이 보내준 것들을 가꾸다 어느 날 당신이라는 나라로 돌아가고 싶다. 봄이 가고 다시 뜨거운 여름이 왔다. (시인, 화가) 신호철신호철 풍경 밤하늘 별빛과 통기타 가수 묘목 잔가지
2025.06.30. 14:16
한국의 통기타 가수 김세돈씨가 지난 18일 미주중앙일보 강당에서 ‘7080 음악과 함께하는 추억과 낭만의 노래’ 무료 콘서트를 진행했다. 김씨는 2007년 MBC 창작 포크가요제에서 은상을 받으며 이름을 알렸고, 2008년에는 첫 번째 앨범 ‘무정’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김상진 기자김세돈 콘서트 무료 콘서트 가수 김세돈 통기타 가수
2025.01.19. 2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