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동대응 실패가 산불 피해 키워
올해 초 발생한 팰리세이즈 산불 당시 LA경찰국(LAPD)과 LA소방국(LAFD)의 부실한 지휘체계와 기관 간 혼선이 피해를 키운 것으로 드러났다. 통신 두절과 불협조, 기록 부실 등이 겹치며 초동 대응 체계가 사실상 마비됐다는 지적이다. LA타임스는 4일 LAPD 사후보고서를 인용해 “산불이 전례 없는 규모였지만 대응 과정에서 구조적 문제들이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7일 산불 초기, LAFD와 LAPD는 같은 지휘본부에 있었음에도 ‘통합 지휘체계(Unified Command)’를 구축하지 못했다. 공동 목표와 임무, 작전이 공유되지 않은 채 대응이 이뤄졌고 지휘권도 불분명했다. 여기에다 임무와 지침이 불분명한 상태에서 주방위군이 투입되며 현장 혼선이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현장은 이미 통신망이 붕괴된 상태였다. 불길은 분당 300야드 이상 확산됐고, 지휘본부는 화세가 가까워지자 여러 차례 위치를 옮겨야 했다. 무전기와 휴대전화 기지국이 불에 타 지령 전달이 끊기자, 경찰은 지휘소에서 20마일 떨어진 주마비치(Zuma Beach)까지 문서를 직접 운반해 전달했다. LAPD는 하루 최대 700명을 투입했지만, 인력의 출입과 배치 기록이 제대로 남지 않아 “현장에 몇 명이 실제로 투입됐는지조차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생명을 위협하는 긴급 상황에서 행정 절차가 뒤로 밀린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그로 인해 지휘부의 현장 상황 파악 능력이 크게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산불 직후 LAPD에는 160건이 넘는 구조 요청이 접수됐다. 대부분 고령자와 장애인의 대피 문의였지만, 통신 두절로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웠다. 이후 대피 지역에서는 빈집을 노린 절도와 침입 사건이 잇따라 총 90건이 신고됐으며, 19명이 체포됐다. 이 같은 구조적 문제가 드러난 가운데, LA카운티 수퍼바이저 위원회는 4일 기존 이튼 산불 지역에 한정됐던 무료 토양 검사 프로그램을 팰리세이즈 산불 지역까지 확대하는 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이번 안건에는 캘리포니아 보험국 리카르도 라라 국장에게 보험사가 토양 검사 및 정화 비용을 지원할 방안을 검토하도록 촉구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발의자인 캐서린 바거 수퍼바이저는 “산불이 발생한 지 10개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주민 상당수가 자택 부지의 안전 여부조차 알지 못하고 있다”며 “보험업계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튼 산불 지역에서는 초기 검사에서 납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했지만, 재검사에서는 주·연방 기준치 이하로 확인됐다. 카운티는 이번 확대안을 통해 팰리세이즈 산불 피해 지역 주민까지 검사 대상을 넓힐 계획이다. 강한길 기자통합지휘 난맥상 산불 대응 산불 지역 산불 초기
2025.11.05. 20:13